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asonal distribution of insects, birds, fishes, and benthos for Gongji stream in Chuncheon and to explore some strategies towards creating a desirable close-to-nature stream.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in the study stream was 23 for butterflies and 149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asonal distribution of insects, birds, fishes, and benthos for Gongji stream in Chuncheon and to explore some strategies towards creating a desirable close-to-nature stream.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in the study stream was 23 for butterflies and 149 for other insects, 23 for birds, 15 for fishes, and 47 for benthos. The study stream was dominated by Artogenia rapae, Polygonia caureum, Cyntia cardui for butterflies, and Passer montanus, Anas crecca, Anas platyrhynchos for birds. The dominant species were Rhynchocypris oxycephalus, Zacco plutypus, Carassius auratus for fishes, and Limnodrilus sp. 2, Chiranumus sp. 2, Hydropsyche KUb for benthos. Attracting insect species of higher density requires planting of host plant species and stabilization of plant coverage against disturbances. To enhance species diversify and density of birds, it is desirable to provide diverse habitats including preservation of downstream wetland and natural vegetation, creation of sand bars and islands with sand and gravel, and restriction or traffic passing and parking. Restoring fish and benthos habitats needs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layout of gravels and stones on sand-dominant streambed, and use of close-to-nature revetment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asonal distribution of insects, birds, fishes, and benthos for Gongji stream in Chuncheon and to explore some strategies towards creating a desirable close-to-nature stream. The number of species occurred in the study stream was 23 for butterflies and 149 for other insects, 23 for birds, 15 for fishes, and 47 for benthos. The study stream was dominated by Artogenia rapae, Polygonia caureum, Cyntia cardui for butterflies, and Passer montanus, Anas crecca, Anas platyrhynchos for birds. The dominant species were Rhynchocypris oxycephalus, Zacco plutypus, Carassius auratus for fishes, and Limnodrilus sp. 2, Chiranumus sp. 2, Hydropsyche KUb for benthos. Attracting insect species of higher density requires planting of host plant species and stabilization of plant coverage against disturbances. To enhance species diversify and density of birds, it is desirable to provide diverse habitats including preservation of downstream wetland and natural vegetation, creation of sand bars and islands with sand and gravel, and restriction or traffic passing and parking. Restoring fish and benthos habitats needs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layout of gravels and stones on sand-dominant streambed, and use of close-to-nature revetment techniqu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 친화형 하천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춘천시의 공지천을 대상으로, 곤충, 조류, 어 류, 저서생물 등 하천에서 식하는 야생동물상을 계절별로 조사 분석하여, 자연친화형 하천조성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부가적으로 사업 후의 적부성을 판단할 동물상 대조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춘천시의 주요 도시하천인 공지천을 대상으로 곤충, 조류, 어류, 저서생물 등의 계절별 분포를 파악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제안 방법
2). 육상곤충상은 연중 5~10월 사이에 최성기를 나타내는 특성이 있고, 특히 나비류의 경우 6~9월 사이에 최대 우화기를 보이기 때문에, 비교조사 자료의 풍부함을 반영하기 위하여 하계인 6월과 8월의 2회에 걸쳐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는 B/L trap 법을 이용하여 12V/20W 의 UV(black light)를 20:00~24:00까지 노출시켜 유인하였고, transect method를 적용하여 조사대상 지점에서 폭 10m, 길이 200m 구간을 이동하며 관찰되는 나비류를 준비한 조사표로 작성하였다. 채집 포획된 개체는 현장에서 아세트산으로 고정한 후, 실험실로 옮겨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분류 동정을 실시하였다.
준비한 조사표로 작성하였다. 채집 포획된 개체는 현장에서 아세트산으로 고정한 후, 실험실로 옮겨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분류 동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구간 전체를 대상으로 조류상 조사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인 선조사법을 적용하여, 5 월, 7월, 10월 2월의 계절별로 출현 장소와 개체 수를 파악하고 육안 및 사진 촬영을 통해 서식종을 확인하였다. 조류종의 동정이 필요한 경우 야외 원색도감(2)을 참조하였다.
조류종의 동정이 필요한 경우 야외 원색도감(2)을 참조하였다.
자연 친화형 하천조성 기본계획의 공간배치山를참조하여 하천의 상류, 중류, 하류를 대표하는 지점을 선정 하고, 각 조사지 점의 상 . 하류부 40m 구간에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채집은 투망(망목 5x5mm), 족대(망목 5><5mm), 3 중 자망(망목 15x15mm) 등을 사용하였으며, 채집 즉시 현장에서 10% 포르말린 액으로 표본을 고정하여 실험실에서 분류하였다. 동정은 원색 한국 어류도감 13)과 한국동식물도감0을 참조하였다.
저서생물 조사는 5월, 7월, 9월의 총 3회에 걸쳐, 연구대상 구간의 상류, 중류 및 하류를 대표하는 총 7개 지점에서 실시되었다(Fig. 2). 조사지점은 수환경의 변동이 큰 곳, 즉 사구의 발달, 수초대 발달, 오폐수 유입, 유속 및 수폭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D-frame-net(mesh size: 500mn) 와 hand-net(mesh size: 500um)를 사용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정량 채집하였으며, 일부 미소 생태계별 특성파악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정성 채집을 병행하였다. 채집 물은 다시 지름 lOOum체를 이용하여 시료를 확보하고 1차 분류한 재료는 formalin 10% 용액으로 고정하여, 실험실에서 한국동식물도감⑸ 및 수서곤충검색도 설 的 등에 준하여 해부현미경 x40, x80 또는 광학현미경 하에서 동정하였다.
채집 물은 다시 지름 lOOum체를 이용하여 시료를 확보하고 1차 분류한 재료는 formalin 10% 용액으로 고정하여, 실험실에서 한국동식물도감⑸ 및 수서곤충검색도 설 的 등에 준하여 해부현미경 x40, x80 또는 광학현미경 하에서 동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연구대상지의 공간적 범위는 춘천시의 석사동에서 강남동 방향으로 흐르는 거 두 교~호반교 구간의 공지천으로서, 그 유로 연장은 총 3.5km이다(Fig. 1 참조). 상류 거두 교에서는 거두 천이 합류하며 하류 호반교에는 의암호가 바로 인접해 있다.
상류 거두 교에서는 거두 천이 합류하며 하류 호반교에는 의암호가 바로 인접해 있다. 연구 기간은 자연 친화형 하천조성 사업 전인 2003년부터 2004년까지 이 었다.
하류(13), 공지교 상 . 하류(14), 온의교 하류(15) 등 5개 지점에서 각각 200m를 조사구간으로 선정하였다(Fig. 2). 육상곤충상은 연중 5~10월 사이에 최성기를 나타내는 특성이 있고, 특히 나비류의 경우 6~9월 사이에 최대 우화기를 보이기 때문에, 비교조사 자료의 풍부함을 반영하기 위하여 하계인 6월과 8월의 2회에 걸쳐 조사를 진행하였다.
선정 하고, 각 조사지 점의 상 . 하류부 40m 구간에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은 거두교(F1), 퇴계천 합수점 (F2), 남춘천교 상류(F3) 및 하류(F4), 온의교 상류(F5), 호반교 상류(F6) 등 총 6개이었고 (Fig.
하류부 40m 구간에서 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조사지점은 거두교(F1), 퇴계천 합수점 (F2), 남춘천교 상류(F3) 및 하류(F4), 온의교 상류(F5), 호반교 상류(F6) 등 총 6개이었고 (Fig. 2), 5월, 7월, 10월, 12월 등 4회에 걸쳐 계절별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2). 조사지점은 수환경의 변동이 큰 곳, 즉 사구의 발달, 수초대 발달, 오폐수 유입, 유속 및 수폭의 변화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계절별로는 10월에 17종 213개체로서 가장 많은 종과 개체가 출현하였는데, 이는 겨울 철새인 오리류가 유입된 것에 기인한다. 가장 많은 개체가 관찰된 구간은 하류부의 공지교~호반교로서 254개체이었다. 특히, 자연퇴적습지가 분포하고 버드나무류를 비롯한 습생식물이 자생하는 온의교~호반교 구간에서 타 구간에 비해 조류의 출현 빈도가 높았다.
이론/모형
실험실에서 분류하였다. 동정은 원색 한국 어류도감 13)과 한국동식물도감0을 참조하였다.
성능/효과
조사 결과 총 5과 23종의 나비 종이 서식하였고 대부분 초지성 나비 종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배추흰나비(/Irtogem'a rapae)가 총 261개체, 네발나 u] (Polygonia aaureum)가 43개체의 순으로 다른 나비 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배추흰나비는 비교적 활동성이 강하면서 초지에 흔히 자생하는 십자화과 식물 종 모두를 기주식물로 하고, 네발나비는 주요 기주식물인 환삼덩굴이 주변에서 국지적으로 자생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점별로는 온의교 하류(15)에서 총 117개체가 관찰되어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고, 거 두 교 하류(II)는 87개체로 가장 낮은 밀도를 나타냈다. 온의교 하류에서 서식밀도가 높은 이유는 자연퇴적에 의해 넓은 면적의 습지대가 발달되어 있고, 습생 및 수생식물이 양호한 서식환경을 제공한 것에 기인한다.
분포하였다(Table 2). 유인 채집된 전체곤충류 중, 인시 목이 약 74%로서 가장 우세하게 서식하였고, 다음으로 딱정벌레목과 노린재목이 각각 8%, 메뚜기목 4% 등의 순이었다. 인시 목 중 밤나무과 곤충이 총 57종으로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자나방과 19종, 명나방과 11종 등의 순이었다.
유인 채집된 전체곤충류 중, 인시 목이 약 74%로서 가장 우세하게 서식하였고, 다음으로 딱정벌레목과 노린재목이 각각 8%, 메뚜기목 4% 등의 순이었다. 인시 목 중 밤나무과 곤충이 총 57종으로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자나방과 19종, 명나방과 11종 등의 순이었다. 우점종은 독나방과의 독나방(瓦zprocfc subflaoa) 이 23개체, 흰무늬밤나방(P况ia nebulosd) 14개처}, 끝검 은말매 미 충CBcif/mgoma japonicd) 11개 체 의 순이었다.
인시 목 중 밤나무과 곤충이 총 57종으로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자나방과 19종, 명나방과 11종 등의 순이었다. 우점종은 독나방과의 독나방(瓦zprocfc subflaoa) 이 23개체, 흰무늬밤나방(P况ia nebulosd) 14개처}, 끝검 은말매 미 충CBcif/mgoma japonicd) 11개 체 의 순이었다. 독나방이 비교적 식생 환경이 열악한 공지천에서 많이 출현한 것은 종 자체가 가지는 폭넓은 기주범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독나방이 비교적 식생 환경이 열악한 공지천에서 많이 출현한 것은 종 자체가 가지는 폭넓은 기주범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노린재목 곤충은 총 5과 14종, 딱정벌레목은 6과 12종, 그리고 메뚜기목에서는 6과 6종이 분포하였다.
3. 조류
조사 기간 동안 총 23종 535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우점종은 전체 개체 수의 53.6%를 차지하는 참새 (Passer momanizs)이고, 이어서 쇠오리(/Mas creccd) 10.8%, 청둥오리 (4nas platyrhynchos) 7.5%, 흰뺨검둥오리 Glrzas poecilorhyncha) 5.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 계절별로는 10월에 17종 213개체로서 가장 많은 종과 개체가 출현하였는데, 이는 겨울 철새인 오리류가 유입된 것에 기인한다.
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계절별로는 10월에 17종 213개체로서 가장 많은 종과 개체가 출현하였는데, 이는 겨울 철새인 오리류가 유입된 것에 기인한다. 가장 많은 개체가 관찰된 구간은 하류부의 공지교~호반교로서 254개체이었다.
조사 결과 총 4과 15종 1, 544개체가 출현하였고, 일부 특정종이 우점하며 종 다양성이 그다지 양호한 편은 아니었다(Table 4). 우점종 및 아우점종은 (Rhynchocypris oxycephalus), 피라미 (Zacco platypus), 붕어((力rassMs auratus), 참붕어 (.
편은 아니었다(Table 4). 우점종 및 아우점종은 (Rhynchocypris oxycephalus), 피라미 (Zacco platypus), 붕어((力rassMs auratus),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 등이었다. 10월 조사 시 가장 많은 종들이 출현하였는데, 이는 우기가 지난 후수 질이 회복되고 어류의 서식 범위가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저서생물의 서식은 총 3문 5강 9목 22과 47종 2, 893개체로 확인되었다(Table 5). 절족동물문이 64% 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이어서 환형동물문 및 연체동물문이 각각 33%, 3%를 차지하였다.
893개체로 확인되었다(Table 5). 절족동물문이 64% 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이어서 환형동물문 및 연체동물문이 각각 33%, 3%를 차지하였다. 5월이나 7월에 비해 9월에는 종수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개체수의 경우 현저히 급감하였다.
상 . 하류(B4)에서 32종이 관찰되어, 공지천 중류부가 상류 및 하류부에 비해 저서생물 서식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류부의 온의교(B6) 및 호반교(B7) 인근에서는 각각 10종, 17종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저서성 무척추동물이 서식하기에 부적합한 수하상 구조를단순한 하상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1) 나비류는 총 5과 23종이 분포하고 우점종은 배추흰나비, 네발나비 등의 순이었다. 타 일반 곤충은 7목 34과 149종 493개체가 서식하고, 인시목의밤나무과 곤충이 과(family) 단위에서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냈다.
2) 조류는 총 23종 535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우점종은 전체 개체 수의 약 54%를 차지하는 참새이고, 이어서 쇠오리 11%, 청둥오리 8%, 흰뺨검둥오리 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류의 종다양성과 서식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류부의 현존 자연퇴적 습지 보존과 생태습지의 추가유치, 모래나 자갈이 있는 사주 및 중도의 유지와 보강, 둔치의 식물생장.
3) 어류는 총 4과 15종 1, 544개체가 출현하였고, 일부 특정종이 우점하며 종 다양성이 그다지 양호한 편은 아니었다. 우점종 및 아우점종은 버들치, 피라미, 붕어, 참붕어 등이었다.
우점종 및 아우점종은 버들치, 피라미, 붕어, 참붕어 등이었다. 저서생물은 총 9목 22과 47종 2, 893개체로 확인되었다. 저서 생물군 중 절지동물에 해당하는 수서곤충류가 전체의 약 64%를 차지하였다.
4) 어류 및 저서 생물상 회복을 위해서는 수질 개선, 하상구조 안정하', 다양한 산란 및 서식처 제공과 더불어 인근 하천에서 서식종을 이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재료가 모래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하상에는 거석, 자갈 등을 도입하고, 하안에는 식물이나 자연석을 이용한 자연형 공법을 적용하여 서식 기회를 증진해야 한다.
1). 배추흰나비(/Irtogem'a rapae)가 총 261개체, 네발나 u] (Polygonia aaureum)가 43개체의 순으로 다른 나비 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배추흰나비는 비교적 활동성이 강하면서 초지에 흔히 자생하는 십자화과 식물 종 모두를 기주식물로 하고, 네발나비는 주요 기주식물인 환삼덩굴이 주변에서 국지적으로 자생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가장 많은 개체가 관찰된 구간은 하류부의 공지교~호반교로서 254개체이었다. 특히, 자연퇴적습지가 분포하고 버드나무류를 비롯한 습생식물이 자생하는 온의교~호반교 구간에서 타 구간에 비해 조류의 출현 빈도가 높았다. 중류부의 남춘천교~공지교 구간에서는 가장 적은 종과 개체가 관찰되었는데, 이 구간의 경우 빈번한 주차 및 통행에 따른 시민의 접근이 조류의 서식활동을 방해한 것으로 판단된다.
후속연구
이는 대상지의 식생 조건이 하천 양측으로 비교적 단조롭고 특히초화류의 분포가 적어, 기주식물(host plant)에 의한 자생조건 및 나비류 성충의 흡밀(sucking) 유인조건이 비교적 열악하기 때문이다. 향후, 나비류의 서식 및 흡밀에 안정적인 조건이 형성될 경우 서식종 및 밀도가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정착 및 안정화가 용이한 흰나비과와 호랑나비과의 나비류를 대상으로 하는 주요 기주식물의 식재가 바람직하다.
일반 곤충의 우점종은 독나방, 흰무늬밤나방, 끝검은말매미충 등의 순이었다. 향후, 기주식물의 식재와 안정적인 식물 서식 여건을 확보하여 높은 밀도의 곤충상을 유도함이 바람직하다.
5) 식생은 하천의 자연성 회복은 물론 육상 및 수생동물의 서식자원으로서, 향후 홍수피해를 대비한 안정적 생장기반 조성, 인위적 식생 훼손 규제 및 피도 증진, 자생식물을 피압하는 외래종 생장제어 등을 통해 다양한 야생동물종의 서식 기회 및 밀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