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두하악관절 원판변위 환자의 보존적 치료결과
Outcome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Disc Displac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2 no.3 = no.68, 2007년, pp.305 - 318  

김경희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김익환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고명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  안용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측두하악관절에 나타나는 가장 흔한 질환인 원판변위를 보이는 환자들에서 보존적 치료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1994년부터 2006년까지 13년간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관절장애로 진단받은 후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중 88명의 정복성 관절원판변위환자와 60명의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환자를 실험군으로, 74명의 근육장애환자를 대조군으로 하여 초진시와 치료종결시의 주관적 증상 및 임상소견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 근육장애 환자군은 행동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안정장치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에 의해 통증, 관절음, 개구제한, 편이개구량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2. 초진시 통증은 근육장애군에서, 관절음은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개구제한은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매우 심했고, 편이 개구량은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가장 컸으며 치료종결시 통증은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군에서, 관절음은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개구제한은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가장 심했고, 편이 개구량은 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군에서 가장 컸다. 3. 초진시 관절음을 호소했던 환자가 보존적 치료로 관절음이 완전히 사라진 경우는 약 60%였다. 4. 정복성 및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환자에게는 행동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교합안정장치치료를 시행했을 때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였고, 근육장애 환자에게는 치료방법에 따른 결과는 별 차이가 없었다. 5. 보존적 치료에 따른 결과는 성, 연령, 급, 만성별로 차이가 없었다. 6. 근육장애는 6개월 미만, 10회 정도의 치료에 양호한 예후를 보였으나, 원판변위는 6개월 이상 2년 이하의 기간, 10-20회 정도의 치료에 예후가 좋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TMJ disc displacement which is the most common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opathy, the subjects were chosen among the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i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ontroversy exists because of the limited knowledge regarding the etiology and natural history or cours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Therefore the treatment is focused on reduction of pain and adverse loading, improvement of function, and restoration of normal daily activities. The majority of patients suffering TMD achieve good relief of symptom with conservative therap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cNeill C.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oncepts and controversies. J Prosthet Dent 1997;77:510-522 

  2. Carlsson GE. Long-term effects of treatment of craniomandibular disorders. J Craniomand Pract 1985;3:337-342 

  3. Randolph CS, Greene CS, Moretti R et al. Conservativ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posttreatment comparison between patients from a university clinic and from private practic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0;98(1):77-82 

  4. Skeppar J, Nilner M. Treatment of craniomandibular disorder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J Orofac Pain 1993;7:362-369 

  5. Okeson JP. Orofacial Pain : guidelines for assessment, diagnosis, and management. Illinois, 1996,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pp.142 

  6. Okeson JP, Hayes DK. Long-term results of treatment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 evaluation by patients. J Am Dent Assoc 1986;112:473-478 

  7. Greene CS, Laskin DM. Long-term evaluation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ndrome. J Am Dent Assoc 197 ;89(6):1365-1368 

  8. Hodges JM. Managing temporomandibular joint syndrome. Laryngoscope 1990;100:60-66 

  9. Albino JEN. The Institutes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Conference Statement on th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al Rehabil 1996;127:1595-1599 

  10. McNeill C.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Guidelines for class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2nd ed., Illinois, 1993,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pp 43 

  11. Clark GT, Lanham, Flack V. Treatment outcome results for consecutive TMJ clinic. J Craniomand Pract 1988;2:87-95 

  12. Park JS, Ko MY. Long-term evaluation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craniomandibular disorders. Korean J Oral Med 1993;18:81-96 

  13. Apfelberg DB, Lovey E, Janetos G, Maser MR, Lash H.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Results of a ten-year study. Post Graduate Med 1979;65:167-172 

  14. Greene CS, Laskin DM. Long term status of TMJ clicking in patients with myofascial pain dysfunction. J Am Dent Assoc 1998;17: 461-465 

  15. Clark GT, Seligman DA, Solberg WK, Pullinger AG.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Craniomandib Disord Facial Oral Pain 1990;4:80-88 

  16. de Leeuw R, Boering G, Stegenga B, de Bont LG. Clinical signs of TMJ osteoarthrosis and internal derangement 30 years after nonsurgical treatment. J Orofac Pain 1994;8:18-24 

  17.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5th ed., St. Louis, 1993, Mosby, pp.369-372,438 

  18. Ko MY. Treatment outcome of patients with closed lock by conservative therapy. J PNUH 1997;1: 265-271 

  19. Kaplan AS and Assael LA.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iagnosis and treatment. LA, 1991, W.B. Saunders company, pp.136 

  20. Lee HJ, Park JS, Ko MY. A prediction on the conservative treatment outcome of TMD patients by prognostic factors. . Korean J Oral Med 2001;26: 133-146 

  21. Deardorff MW, Butteworth J. Psychometric profiles of craniomandibular pain patients. Part II. A multidisciplinary case report. J Craniomand Pract 1987;5: 367-370 

  22. Kim KH, Ahn YW, Park JS, Ko MY. Clinical effect of a combination of physical therapy modalities on TMD patients. Korean J Oral Med 2003;28:379-391 

  23. Ko MY, Cho SH, Ahn YW. Prognosis of conservative therapy on the TMD patients with noise. Korean J Oral Med 2003;28:91-110 

  24. Chung SC, Kim YJ, Lee JW. Effect of conservativ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I). Korean J Oral Med 1989;14:113-1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