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아임플란트 시술 후 삼차신경에서의 전류인지역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of Trigeminal Nerve after Tooth Implantation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2 no.2 = no.67, 2007년, pp.187 - 200  

임현대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이정현 (대전 선치과병원 구강내과) ,  이유미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치과임플란트 시술후에 발생할수 있는 감각이상의 평가를 위하여 뉴로미터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임플란트 시술후의 감각신경 평가에 개관적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6년 대전 썬 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중에 임플란트 술식을 시행한 환자 44명과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Neurometer^{(R)}$ CPT/C (Neurotron, Inc., Baltimore, Maryland, U.S.A.)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전과 시술후 발사시에 2000 Hz, 250 Hz, 5 Hz,주파수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측정 부위는 임플란트 시술부위에 따라 삼차신경의 상악신경 분지와 하악신경 분지에 적용하였다. Neurometer는 세가지의 주파수 (2000 Hz, 250 Hz, 5 Hz)를 적용할 수 있는데, 각 주파수별로 대상자가 감각을 느낄 수 있는 가장 낮은 전류의 세기를 전류인지역치로 기록하였다. 각 신경섬유별 전류인지역치는 $A{\beta}$섬유의 경우 2000 Hz, $A{\delta}$섬유의 경우 250 Hz의 전류자극 하에서 특징적으로 반응하며, C섬유의 경우 5 Hz의 전류자극 하에서 반응한다. 전류인지역치 검사는 삼차신경 영역에 있어서도 말초신경 손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말초신경부위에 특징적인 주파수의 전류를 발생시켜 선택적인 신경 섬유를 자극한다. 서로 다른 굵기의 신경 섬유들은 각기 다른 빈도의 전류자극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데, 각기 다른 주파수의 전류자극을 적용하며, 각 전류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A{\beta},\;A{\delta}$, C신경 섬유의 반응 역치를 개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전류인지역치를 통한 평가에서는 전류인지 역치의 증감을 측정하여 감각과민이나 감각감퇴등의 감각이상을 진단할 수 있다. 임플란트 시술전후의 전류인지역치를 평가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플란트 시술 전후의 평가에서는 좌우 상하악 각각의 2000 Hz, 250 Hz, 5 Hz에서의 전류인지역치는 전반적으로 수술 후가 증가되었으며, 하악에서는 2000 Hz와 5 Hz에서 수술후에의 전류인지역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전신질환을 가지고있거나 그로 인하여 투약중인 군에서는 임플란트 수술 전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조군에 비해서는 좌측 2000 Hz와 5 Hz에서 임플란트 시술군이 전류인지역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조군과 임플란트 수술군의 수술전의 전류인지역치 측정치의 비교에서는 우측 2000 Hz, 5 Hz에서 임플란트 시술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대조군과 임플란트 수술후의 전류 인지 역치 평가에서는 2000 Hz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남자가 여자보다는 전류인지역치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으며, 임플란트 시술군내에서도 남녀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군에서 좌측 2000 Hz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임플란트 시술 전후의 전류인지 평가에서 남녀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자군에서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고, 여자군에서 우측 5 Hz, 좌측 2000 Hz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5. 감각신경이 있다고 호소하는 군과 아닌 군과의 비교에서는 감각이상을 호소하는 군이 전체적으로 전류인지역치가 증가했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VAS상에 증가를 보이는 군의 수술전후의 전류인지측정 평가에서는 우측 5 Hz에서 임플란트 시술후 전류인지역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VAS 표시가 수술전후에 모두 0 인 경우에 좌측 2000 Hz에서 수술후의 전류인지역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contribute to the clinical application of implant operation by making a quantitative nerve examination using a neurometer for the evaluation of sensory disturbances that could be incurred after the implantation in the dental clinics, and it intended to establish an objectiv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부분 현재까지의 온도나 터치 또는 설문지 등을 이용하여 검사자나 피검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임플란트 후 감각변화에 대한 고찰을 뉴로미터를 이용하여 정량적 신경 평가를 함으로써, 임상적으로 널리 시술되는 치과 임플란트 시술 후에 나타날수 있는 감각신경의 변화에 대하여 객관적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ranemark PI, Hansson BO, Adell R et al.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Experience from a 10 year period. Scand J Plast Reconstr Surg 1977;11(suppl 16):1-132 

  2. Adell R, Lekholm U, Rockler B et al. A 15years study of osseointegrated implants in the treatment of the edentulous jaw. Int J Oral Surg 1981;10:387-416 

  3. 이동한, 김우형, 설규식 등. 골유착성 임플란트 성공적 인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alpha$ 에서 $\Omega$ 까지. 서울, 2002, 신흥 인터내셔날, pp. 15-140 

  4. 이종호, 김영진. 치과임플란트 길라잡이. 서울, 2002, 도서출판 신세림, pp. 141-147,178-185 

  5. 김명래. 임프란트 식립과 관련된 합병증과 대책.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2;30(10):719-731 

  6. Goodacre CJ, Kan JY, Rungcharassaeng K. Clinical complications of osseointegrated implants. J Prosthet Dent 1999;81(5):537-552 

  7. Berman CL. Osseointegration Complication prevention recognition treatment. Dent Clin North Am 1989;33(4):635-663 

  8. Davies JM, Campbell LA. Fatal air embolism during dental implant surgery: a report of three cases. Can J Anaesth 1990;37(1):112-121 

  9. Garg AK. Handling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implant surgical procedures - Part I. Dent Implantol Update 1995;6(8):62-64 

  10. Krenkel C, Holzner K. Lingual bone perforation as causal factor in threatening hemorrhage of the mouth floor due to a single tooth implant in the canine region. Quintessenz 1986;37(6):1003-1008 

  11. Mordenfeld A, Andresson L, Bergstrom B. Hemorrhage in the floor of the mouth during implant placement in the edentulous mandible: a case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7;12(4):558-561 

  12. Regev E et al. Maxillary sinus complications related to endosseous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5;10(4):451-461 

  13. 정진우, 박영욱. 하악골 골절 후의 삼차신경영역에서의 전류인지역치의 변화.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2;27(2): 211-217 

  14. Chaushu G, Taicher S, Halamish-Shani T et al. Medicolegal Aspects of Altered Sensation Following Implant Placement in the Mandibl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2;17:413-415 

  15. Ellies LG, Hawkerawker PB. The Prevalence of Altered Sensation Associated With Implant Surgery.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3;8:674-679 

  16. Dao TTT, Proth D, Mellor A. Sensory Disturbances Associate with Implant Surgery. Int J prothodont 1998;11:462-469 

  17. Ellies LG. Altered sensation following mandibular implant surgery : A retrospective study. J Prosthet Dent 1992;68:664-671 

  18. Ferrigno N, Laureti M, Fanali S. Inferior Alveolar Nerve Transposition in implant place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5;20:610-619 

  19. Walter JM, Gregg JM. Analysis of post surgical neurologica alternation in tregeminal nerve. J Oral Surg 1979;37:410-414 

  20. Campbell RL, Shamaskin RG, Harkins SW. Assessment of recovery from injury to inferior alveolar and mental nerv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7;64:519-526 

  21. Robinson PP. Observations on the recovery of sensation following inferior nerve injuries, Br J Maxillofac Surg 1988;26:177-189 

  22. Stewart JD. Elcetrodiagnostic technique in the evaluation of nerve compressions and injuries in the upper limb. Hand Clin 1986;26:677-686 

  23. Bennet AJ, Wastel DJ, Barker GR et al. Trigeminal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7;16:408-415 

  24. Gruencer G, Dyck PJ.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Methodology, ap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J Clin Neurophysiol 1994;11:568-583 

  25. Masson EA, Boulton AJ, The neurometer: validation and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test for diabetic neuropathy. Diabet Med 1991;8:63-66 

  26. Massson EA, Veves A, Fernando D et al.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A new, quick and reproducible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in diabets mellitus. Diabetologia 1989;32:724-728 

  27. Lerner TH, Goldstein GR, Hittelman E. Quantitative sensory nerve conduction threshold(sNCT) evaluation of the trigeminal nerve at the mental foramen area. J prosthet Dent 2000;84(1):103-107 

  28. Walton JN. Altered sensation associated with implnats in the anterior mandible: A prospective study. J Prosthet Dent 2000;83(4):443-449 

  29. Bartling R, Freeman K, Kraut RA. The incidence of altered sensation of the mental nerve after mandibular implant placement. J Oral Maxillofac Surg 1999;57:1408-1410 

  30. Wesely SA, Sadler BT, Katims JJ. Current perception: Preferred test for evaluation of peripheral nerve integrity. Transact Am Soc Art Intern Org 1988;34: 188-193 

  31. Katims JJ, Naviasky E, Ng LKY et al. New screening device for the assess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J Occupa Med 1986;28:1219-1221 

  32. Chado H. Th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evaluation of sensory nerve function in pain management. Pain Digest 1995;5:127-134 

  33. Chung JW. The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electroacupuncture stimualtion therapy on th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of orofacial region. Korean J Oral Med 1999;24(3) :301-313 

  34. Guyton AC, Hall JE.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0th ed., Philadelphia, 2000, Saunders, pp. 512-539 

  35. Van Hees J, Gybels J. C nociceptor activity in human nerve during painful and non-painful skin stimulation.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1;44: 600-607 

  36. Purves D, Augustine GJ, Fitzpatrick D et al. Neuro sicence. 2nd ed., Massachusetts, 2001, Sinauer Associates Inc., pp. 189-222 

  37. Okeson JP. Bell's Orofacial pains. The clinical management of orofacial pain. 6th ed., Chicago, 2005,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pp. 13-62 

  38. Doston RM. Clinical neurophysiology laboratory tests to assess the nociceptive system in human. J Clin Neurophys 1997;14:32-45 

  39. Katims JJ. Electrodiagnostic functional sensory evaluation of the patient with pain: A review of the neuroselectiv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CPT) and pain tolerance threshold(PTT). Pain Digest 1998;8:219-230 

  40. Takekuma K, Ando F, Niino N et al.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skin sensory threshold assessed by current perception in community-dwelling Japanese. J Epidemiol 2000;10:S33-S38 

  41. Katima JJ, Long DM, Ng LKY. Transcutaneous nerve simulation (TNS): frequency and waveform specificity in humans. Appl Neurophysiol 1989;49: 86-91 

  42. Veves A, Malik R, Townsend C et al. Unmyelinated fibre pathology in diabetic patients with mild neuropathy. Diabetologia 1992;35(supp 1):A16 

  43. Matsutomo R , Takebayashi K, Aso Y. Assess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Using Measurement of th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with the Neurometer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2005;33:442-453 

  44. Oishi M, Mochizuki Y, Suzuki Y et al.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and Sympathetic Skin Response in Diabetic and Alcoholic Polyneuropathies. Internal Medicine 2002;41:819-822 

  45. 김철홍, 이병훈, 권혜연 등. 요추추간판탈출증군와 단순 요통군간의 Current Perception Threshold상의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1;18 :59-69 

  46. 전재우, 김경희, 고명연 등. 하악 이공부에 조사된 Nd:YAG 레이저가 감각신경전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5;30:447-455 

  47. Hegodus F, Diecidue RJ. Tregeminal nerve injuries after mandibular implant placement-practical knowledge for clinicians. Int J. oral maxillofacial implants 2006;21:111-116 

  48. Kim HS, Kho HS, Kim YK et al. Reli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Current Perception Thresholds in the Territory of the Infraorbital and Inferior Alveolar Nerves. Journal of Orofacial Pain 2000;14:286-292 

  49. 이영철, 안용우, 고명연 등.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의 전류인지역치와 동통내성역치.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4;29:41-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