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보존적 치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TMJ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2 no.2 = no.67, 2007년, pp.227 - 239  

손대은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옥승준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고명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안용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초록

1994년부터 2006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측두하악골관절염으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101명과 저작근장애로 진단받고 보존적 치료를 받은 환자 74명의 진료기록부를 통해 초진 시와 치료 종결 시의 증상, 시행된 치료방법, 치료기간, 치료횟수에 따른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초진 시 방사선 사진, 전산화 단층사진 및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 관절잡음의 치료 전후 변화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관절염군은 보존적 치료에 의해서 치료 결과가 좋았으나, 치료 종결 시 근육장애군에 비해서 증상의 개선이 미흡하였다. 2. 골관절염군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경두개 촬영사진의 양성도는 60%정도였으나, 전산화 단층사진과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의 양성도는 90%이상이었다. 3. 치료 종결 시의 골관절염군의 관절잡음은 초진 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골관절염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 교합안정장치로, 근육장애군은 대부분 물리치료, 투약으로 증상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5. 골관절염군은 6개월에서 2년의, 근육장애군은 6개월 미만의 치료가 필요하였다. 6. 골관절염군은 10회 이상으로, 근육장애군은 10회 미만의 치료로도 예후가 좋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the TMJ(OA), the subjects were chosen among the patients who presented to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iagnosed as osteoarthritis of the TMJ, and treate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측두하악관절의 골관절염환자의 초진 시 및 치료 종결 시의 임상 증상,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진단 시 파노라마, 경두개 촬영(transcranial projection), 전산화 단층사진(computed tomography, CT) 및 단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사진(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y, SPECT)의 유용성,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의 관절잡음의 치료전후의 변화, 측두하악골관절염 환자에게 투약, 물리 치료 및 교합안정장치 등의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후 치료 결과 및 성, 연령, 만성도, 치료방법, 치료기간 및 치료횟수 등에 따른 치료결과를 저작근장애 환자들과 비교하여 증상 및 치료 상의 유의점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가설 설정

  • 3) 이것은 관절면이 관절원판변위와 원판후조직염에 의해서 손상을 받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진성 염증 반응이 아니며, 관절면과 하부 골조직이 파괴되는 일종의 비염증성 질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정성창, 김영구, 고명연 등. 악관절장애와 교합의 치료. 제5판, 서울, 2004, 대한나래출판사, pp. 462-471 

  2. 기우천, 최재갑, 윤창륙, 고명연. 구강안면통증. 서울, 1996, 지성출판사, pp. 144-147 

  3. 이승우, 윤창근. 두개하악장애 서울, 1987, 고문사, pp. 86-87 

  4. 정성창, 김영구, 고명연 등. 구강안면동통과 측두하악장애, 서울, 1996, 신흥인터내셔널, pp. 149-153 

  5. Linda LeResche, Michael R, Von Korff, et al.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J Cranimandib Disord Facial & Oral Pain 1992;327-334 

  6. Rasmussen OC. Clinical findings during the course of temporomandibular arthropathy. Scand J Dent Res 1981;89:283-288 

  7. Stegenga B, de Bont LG dB, Boering G. Osteoarthrosis as the cause of craniomandibular pain and dysfunction: a unifying concept. J Oral Maxillofac Surg 1989;47:249-256 

  8. Boering G. Temporomandibular joint arthrosis: a clinical and radiographic investigation. Groningen, 1966, University of Groningen, pp. 500-502 

  9. 기우천, 최재갑, 고명연. 측두하악장애. 서울, 1993, 지성 출판사, pp. 51-56 

  10. 박준상, 고명연. 두개하악장애 환자의 보존적 치료에 관한 장기평가.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3;18:81-96 

  11. 고명연. 보존적 처치에 따른 폐구성 과두걸림환자의 예후.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7;22:7-13 

  12. 이혜진, 박준상, 고명연.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보존적 치료결과의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1;26:133-146 

  13. Greene CS, Laskin DM. Long-term evaulation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myofascial paindysfuntion syndrome : a comparative analysis. J Oral Rehabil 1983;107:235-238 

  14. Magnusson T, Carlsson GE. A 2 1/2-year follow-up of changes in headache and mandibular dysfunction after stomatognatic treatment. J Prosthet Dent 1983;49:398-402 

  15. Cohen SR. Follow-up evaluation of 105 patients with myofascial pain-dysfunction symdrome. J Oral Rehabil 1978;97:825-828 

  16. Carraro JJ, Caffesse RG. Effect of occlusal splints on TMJ symptomatology. J Prosthet Dent 1978;40: 563-566 

  17. Marciani RD, Ziegler RC. Temporomandibular joint surgery: A review of fifty one operations. Oral Surg 1983;56:472-476 

  18. Clark GT, Lanham, Flack V. Treatment outcome results for consecutive TMJ clinic. J Cranimand Pract 1988;2:87-95 

  19. McNeill C. Tempromandibular Disorders Guidelines for Class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Chicago, 1993, Quintessence Publ Co., pp. 23-30 

  20. Hansson T, Nilner M. A study of the occurrence of symptom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masticatory musculature and related structure. J Oral Rehabil 1975;2:13-24 

  21. 고명연, 조수현, 안용우.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관절음에 대한 보존적 처치의 예후.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3;28: 91-110 

  22. 김창용, 안용우, 박준상, 고명연. 측두하악관절의 관절염 진단에 있어서 골스캔과 전산화 단층촬영의 유용성에 대한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5;30:107-119 

  23. 김병수, 안용우, 고명연, 박준상. 골관절염을 가진 측두 하악장애 환자의 치료 전, 후 골스캔과 SPECT의 평가.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5;30:57-67 

  24. 정희정, 조봉혜, 정연화.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의 평면 골스캔 및 Bone SPECT 소견과 임상적 및 영상학 적 소견과의 비교.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지 2004; 34:91-97 

  25. Okeson JP, Hayes DK. Long-term results of treatment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 evaulation by patients. JADA 1986;122:473-478 

  26. Wedel A, Carlsson GE. Retrospective review of 350 patients referred to a TMJ clinic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83;11:69-73 

  27. Randolph CS, Greene CS. Conservativ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posttreatment comparison between patients from a university clinic and from private practic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0;98:77-82 

  28. Williamson EH, Rosenzweig BJ.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hrough repositioning splint therapy: a follow-up study. Cranio 1998;16: 222-225 

  29. Sato S, Kawamura H, Nagasaka H, Motegi K. The natural course of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follow-up at 6,12 and 18 months. J Oral Maxillofac Surg 1997; 55:234-238 

  30. Mejersjo C. Therapeutic and prognostic considerations in TMJ osteoarthrosis : a literature review and a long-term study in 11 subjects. Cranio 1987;5: 69-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