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RRS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 재발환자의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Life Changes of Recurred TMD Patients Through SRRS 원문보기

대한구강내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v.32 no.1 = no.66, 2007년, pp.81 - 90  

노곤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안용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고명연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 9월부터 2006년 8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 구강안면통증 클리닉에 측두하악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재발환자 33명과 초진환자 32명(대조군)을 대상으로 사회적 재적응 평정척도 설문지를 이용하여 생활변화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TMD 재발환자와 대조군의 생활변화량, 즉 LCU 총점은 $7{\sim}12$개월 이내에는 각각 평균 51.61점과 20.38점으로 재발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2. TMD 재발환자군은 최근 1년간 생활상의 변화를 대조군에 비해 좀 더 많이 경험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연령 및 학령에 따른 TMD 재발군과 대조군의 차이와 고령층과 저령층간 생활변화의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4. 미혼자군과 기혼자군간 생활상의 변화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ife changes of TMJ patients were evaluated through the Social Readjustment Rating Scale (SRRS) questionnaire. 33 recurred TMD patients and 32 new TMD patients were studied at the TMJ clinics, Department of Oral Medicine, PNUH from September 2005 to August 2006.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내지 악화될 수 있는 정신신체질환 중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된 환자와 재발된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생활상의 변화를 파악하여 스트레스가 측두하악장애증상을 재발시키는 데 얼마나 관여하는 가를 평가함으로써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으므로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재발 측두하악장애환자가 초진 측두하 악장애환자에 비해 신체적 요인이나 정서적 요인외의 어떤 외부의 생활변화, 즉 스트레스요인이 더 많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시도되었다. 대체적으로 재발군의 생활변화량이 대조군에 비해 많이 겪긴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ell W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lassification, Diagnosis, Management. 3rd edi., Chicago, 1990, Year Book Medical Publishers, pp. 166-176 

  2. Clark GT, Solberg WK. Perspectiv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1987, Quintessence Co., pp. 13 

  3. Kaplan AS, Assael LA.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Diagnosis, Treatment. 1991, W.B. Saunders Co., pp. 190 

  4. 김기석. 악관절장애의 기여요인.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91;29(5):354-358 

  5. Arey LB. Dorland's Illustrated Medical Dictionary. 23rd ed. Philadelphia. 1960, W.B. Saunders Co., Inc 

  6. Agerberg G, Osterberg T. Maximal mandibular movements and symptoms of mandibular dysfuction in 70-year-old men and women. Swed Dent J 1974;67:147 

  7. Helkimo M. Studies on function and dysfunction of masticatory system IV. Age and sex distribution of symptoms or dysfunction of the masticatory system in apps in north of Finland. Acta Odont Scand 1974;32:255 

  8. Harriman LP, Snowdon DA, Messer LB, Rysavy DM, Ostwald SK, et al.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and selected health parameters in the elderl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0;70:406 

  9. Ingervall B, Mohlin B, Thilander B. Prevalence of symptoms of functional disturbances of the masticatory system in Swedish man. J Oral Rehab 1980;7:185 

  10. Williamson EH.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in pretreatment adolescent patients. Am J Orthod 1979;41:76 

  11. 김용란, 이승우. 한국인의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역학적 연구. 서울치대논문집 1987;11:151-176 

  12. 고상진, 한경수. 전북지역 초 중등학생의 두개하악장 애증상 유병률에 관한 연구. 대한두개하악장애학회지 1993;5(2):51-63 

  13. 조영준, 김인권. 서울지역 고등학생의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역학적 연구. 대한악기능교합학회지 1995;11(2): 273-288 

  14. Butler JH, Folke LA, Bandt CL : A descriptive survey of signs and symptoms associated with the myofascial pain dysfunction syndrome. JADA 1975; 90:635 

  15. Weinberg LA, Lager LA : Clinical report on the etiology and diagnosis of TMJ dysfunction-pain syndrome. J. Prosthet. Dent 1980;44:642 

  16. The American Academy of Orofacial Pain edited by Charles McNeill. Temporomandibular Disorders, Guidelines for Classif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2nd ed., Chicago, 1993, Quintessence Publishing Co., pp. 62 

  17. Nilner M. Prevalence of functional disturbance and diseases of the stomatognathic system in 15-18 year olds. Swed. Dent 1981;5:189-197 

  18. 이동주, 김기석. 구강내과 내원환자에 관한 역학조사- 충남지역에 대한-.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6;31(1):101 -111 

  19. 한경수, 김영구, 정성창 역. 악관절장애와 두개안면동통의 진단과 치료. 초판, 서울, 1995, 지성출판사, pp19-25 

  20. Agerberg G, Inkapool I. Craniomandibular disorders in an urban Swedish population. J Craniomandib Disord 1990;4:154-164 

  21. Grosfeld O, Jackowska M, Czarnecka B. Results of epidemiological examination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 Oral Rehab 1997; 4:193 

  22. Agerberg G, Carlsson GE. Functional disorders of the masticatory system. II. Symptoms in relation to impaired mobility of the mandible as judged from investigation by questionnaire. Acta Odont Scand 1973;31:335 

  23. 정성창, 임용한. 악관절 및 저작계 기능장애에 관한 연 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2;7:32-40 

  24. Magnusson T, Egermark-Eriksson I, Carlsson GE. Four year longitudinal study of mandibular dysfuction in childre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85;13:117-120 

  25. Okeson JP. Fundamentals occlusion and TMJ disorders. 2nd ed., 1985, Mosby Co., pp9, 167, 209, 310 

  26. Agerberg G, Bergenholtz A. Craniomandibular disorders in adult populations of West Bothnia, Sweden. Acta Odont Scand 1989;47:129-140 

  27. Solberg WK, Woo MW, Houstan JB. Prevalence of mandibular dysfuction in young adults. J Am Dent Assoc 1979;98:25-34 

  28. Heloe B, Heloe LA.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myofascial pain dysfunction syndrome in a population of 25 year old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79;7:357-360 

  29. Agerberg G, Carlsson GE. Functional disorders of the masticatory system. I. Distribution of symptoms according to age and sex as judged from investigation by questionnaire. Acta Odont Scand 1972;30:597 

  30. Tallents R, Catania J, Sommers E. Temporomandibular joint findings in pediatric populations and young adults : A critical review. Angle Orthod 1991;61:7-16 

  31. Wanman A, Agerberg G, Temporomandibular joint sounds in adolescent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0;69:2 

  32. Milam SB, Aufdemorte TB, Sheridan P, Triplett RG, Sickels JEV, Holt G. Sexual dimorphism in the distribution of estrogen receptors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complex of the babo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7;64:527-532 

  33. Pullinger AG. The significance of condyle position in normal and abnormal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In Clark GT(ed). Perspectiv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hicago, 1987, Quintessence, pp. 89-103 

  34. Abdel-Fattah RA. Preventing temporomandibular joint and odontostomatognathic injuries in dental practice. BocaRaton, 1993, CRC Press 

  35. 김선희. 일반인에 있어서 측두하악장애의 인지도 조사 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0;25(4):371-382 

  36. Helkimo M. Studies on function and dysfunction of the masticatory system II. Swed Dent J 1974;67: 100-109 

  37. Rieder CE, Martinoff JT, Wilcox SA. The prevalence of mandibular dysfuction. Part I : Sex and age distribution of related signs and symptoms. J Prosthet Dent 1983;50:81 

  38. Pullinger AG, Montiero A, Lui S. Etiologic factors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Dent Res 1985;64:269 

  39. Haber JD et al. Assessment and treatment of stress in myofascial pain dysfunction syndrome : A moder for analysis. J Oral Rehabil 1983;10:187 

  40. Thomas LJ, Tiber N, Schireson S. The effects of anxiety and frustration on muscular tension related to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yndrome. Oral Surg 1973;36:763 

  41. Helkimo M. Studies on function and dysfunction of the masticatory system III. Swed Dent J 1974;67:165-182 

  42. 정성창, 고명연, 김연중. 악관절 기능장애의 원인에 관 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3;8:69-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