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곤충비행에서 갑작스런 추력발생의 공기역학적 원인 Part 1: 와류 정지 및 와류 짝 현상
The Aerodynamic Origin of Abrupt Thrust Generation in Insect Flight (Part 1: Vortex Staying and Vortex Pairing Phenomena)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35 no.1, 2007년, pp.1 - 9  

이정상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대학원) ,  김진호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대학원) ,  김종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검정금파리 날개의 “8자 운동”에 의한 공기역학적 힘의 발생에 관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날개운동은 자유류가 있는 tethered flight 실험에서 관찰된 결과에서 인용하였다. 해석결과 양력은 downstroke 중일 때 주로 발생하였고 추력은 upstroke 끝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력과 추력 발생의 이러한 특성을 후류에서의 와류구조와 에어포일 주위의 압력장을 통해 물리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양력발생은 유효받음각의 증가에 따른 앞전와류와 관계있었으며, 추력발생은 유동장 형태의 측면에서 와류 짝(vortex pairing)현상과 압력장 측면에서 와류정지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merical simulation is conducted to investigate aerodynamic force generation mechanism for the "figure-of-eight" motion of Dipteran fly, Phormia-Regina. Wing trajectory is referred to experimental result, which was observed from the tethered flight under freestream condition. Numerical simulatio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그림 6에 나타난 와류 짝현상이 실험에 의해 관찰될 때, 정량적으로 큰추력의 발생을 유추할 수는 있겠지만, 실제 추력을 만들어 내는 에어포일 표면의 압력과 유동장의 형태에 관해서는 어떤 정보도 주지 못한다.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의 장점을 이용하여 추력발생과 관계된 압력장이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그림 4-(a)는최대 양력이 발생하는 그림 3-(a)을 확대하여 앞전와류를 압력장과 속도벡터로 나타낸 것이고, 그림 4-(b)는 이때 시위에 따른 익형표면 압력분포를 보여준다. 그림 4-(a)의 앞전와류중심과 그림 4-(b) 의 suction 위치가 일치하며, upper 와 lower surface들의 벽면압력분포 차이로부터 앞전와류가 양력증가의 결정적 원인임을 보여주고있다.
  • [17] 에 의해 pitching운동을 하는 에어포일의 실험결과[18, 19]와 비교되어 검증되었다. 해석대상인 검정금파리의 chord 레이놀즈수의 크기가 IO? 정도이므로 전 유동을 층류로 가정하여 난류모델은 적용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odsky, A. K, 'The Evolution of Insect Flight', Oxford Univ. Press, 1994 

  2. Dickinson, M. H., 'Come Fly with Me', ENG. & SCI., No.3, 2003, pp. 10-19 

  3. Dickinson, M. H., 'Solving the Mystery of Insect Flight', Scientific American, Vol. 284(6), 2001, pp. 48-57 

  4. Sane, S. P., 'The Aerodynamics of Insect Flight', J. Exp. Biol. Vol. 206, 2003, pp. 4191-4207 

  5. Alexander, R. M., 'Smokescreen Lifted on Insect Flight' NATURE, Vol. 384, 1996, pp. 609 

  6. Wang, Z. J., 'Two Dimensional Mechanism for Insect Hovering', Phy. Rev. lett., Vol. 85, 2000. pp. 2216-2219 

  7. Willmott, A. P., Ellington, C. P., and Thomas, A. R, 'Flow Visualization and Unsteady Aerodynamics in the Flight of the Hawkmoth, Manduca Sexa', Phil. Trans. R. Soc. Land. B, Vol. 352, 1997, pp. 303-316 

  8. Lehmalm, F., 'The Mechanism of Lift Enhancement in the Insect Flight', Naturwissenssenschaften, Vol. 91, 2004, pp. 101-122 

  9. Ennos, R, 'Unconventional Aerodynamics', NATURE, Vol. 344, 1990, pp. 491 

  10. Ward-smith. A. J., 'Biophysical Aerodynamic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John Willy & Sons, 1984 

  11. Ellington, C. P., Berg, C. van dan, Willmott, A. P., and Thomas, A. L. R, 'Leading-edge Vortices in Insect Flight', NATURE, Vol. 384, 1996, pp. 626-630 

  12. Dickinson, M. H., Lehmann, F., and Sane, S. P., 'Wing Rotation and the Aerodynamic Basis of Insect Flight', SCIENCE, Vol. 284, 1999, pp. 1954-1960 

  13. Birch, J. M., and Dickinson, M. H., 'Spanwise Flow and the Attachment of the Leading -edge Vortex on Insect Wings', NATURE, Vol. 412, 2001, pp. 729-733 

  14. Liu, H., and Kawachi, K., 'A Numerical Study of Insect Flight', J. Comp. Phy., Vol. 146, 1998, pp. 124-156 

  15. Nachtigall, W., 'Insects in Flight', McGraw-Hill, 1974 

  16. Kim, C., 'Sensitivity Analysis for the Navier-Stokes Equations with Two-Equation Turbulence Models and Its Applications', PH. D. Dissertation, Dept. of Aerospace Eng., Seoul Nan Univ., Seoul, Korea, Feb. 2001 

  17. Lee, J. S., Kim C., and Kim K. H, ' Design of Flapping Airfoil for Optimal Aerodynamic Performance in Low-Reynolds Number Flows', AIAA Journal, Vol. 44, No.9, 2006, pp. 1960-1972 

  18. Anderson, J. M., Streitlien, K., Barrett, D. S., and Triantafyllou, M. S., 'Oscillating FoiIs of High Propulsive Efficiency', J. Fluid Mech., Vol. 360, 1998, pp. 41-72 

  19. Koochesfahani, M. M., 'Vortical Patterns in the Wake of an Oscillating Airfoil', AIAA Journal, Vol. 27, No.9, 1989, pp. 1200-1205 

  20. Wang, Z. J., Birch, J. M., and Dickinson, M. H, 'Unsteady Force and Flows in Low Renolds Number Hovering Flight: Two-Dimensional Computation vs Robotic Wing Experiments', J. Exp. Biol. Vol. 207, 2004, pp. 449-460 

  21. Sun, M., and Lan, S. L., 'A Computation Study of the Aerodynamic Forces and Power Requirements of Dragonfly(Aeshna Juncea) Hovering', J. Exp. Biol. Vol. 207, 2004, pp. 1887-1901 

  22. Lugt, H. J., 'Vortex Flow in Nature and Technology', John Wiley & Sons, 1983 

  23. 이정상, 김종암, 노오현, '저 레이놀즈수 유동에서Flapping-Airfoil의 수치적 공력특성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지, 제30권, 제4호, 2002, pp. 44-52 

  24. Lee, J. S., 'Numerical Study on Flapping-Airfoil Design and Unsteady Mechanism of Two-Dimensional Insect Wing', PH. D. Dissertation, Dept. of Aerospace Eng., Seoul Nat'l Univ., Seoul, Korea, Aug.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