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랜드스케이프 건축개념의 재유형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ategorized the architectural notion of Landscap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6 no.2 = no.61, 2007년, pp.105 - 114  

윤갑근 (조선대학교 디자인학부) ,  김기완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result of imminent recognition on nature from modern world, the need for the combin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nature has been raised as another topic in architectural arena, and this kind of work is being conducted under the notion of Landscape. As the term 'Landscape' emerges as the key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이트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작은 벽돌 광장으로 상징화하였고 광장은 역사적인 장소로 거듭나게 되었다. "Igualada Cemetery'에서 땅의 절삭된 단면을 그대로 드러낸 것은 과거에 채석장으로 쓰였던 사이트의 지질학적인 특성을 탐구하고 땅의 역사를 보여주고자 함이다.
  • 된다. 개념상으로 기존의 땅이 가지고 있는 기억을 되살리고자 한다. 지형적 건축에서는 '땅'이 보여주는 시간의 흔적-땅의 역사성-을 건축적 구축행위를 통해 나타내기도 '땅'이 가지는 의미를 다양하게 조명하기도 한다.
  •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다고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면에서 제기되고 있는 랜드스케이프적 특성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공통적 개념 언어들을 추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건축적 구현 방식을 표현하는 언어들을 통해 보다 체계적 이론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의 영향 하에 랜드스케이프의 개념이 적용된 다양한 건축적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랜드스케이프 건축물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사례비교 . 분석을 통해 현대 건축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개념 재유형화하여 체계적으로 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 이상과 같이 Eduard Bru의 분류유형에 따른 랜드스케이프개념의 건축적 구현방법과 시대 흐름의 영향에 따라 표현된 랜드스케이프 개념의 건축적 구현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대해서는 아직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다고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면에서 제기되고 있는 랜드스케이프적 특성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공통적 개념 언어들을 추출해보고자 하였다.
  • 이 같은 시도는 해체주의 이후 아방가르드건축가들에 의해 제안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벽과 바닥의 구조를 탈피하거나 수평으로 확장해 건축물 스스로 대지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의 영향 하에 랜드스케이프의 개념이 적용된 다양한 건축적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랜드스케이프 건축물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사례비교 . 분석을 통해 현대 건축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개념 재유형화하여 체계적으로 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가설 설정

  •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가 통합된 경관으로서의 건축인, 지형적 건축'이다.6)이는 현대 건축의 한 유형으로 자리잡은 지형적 형상의 건축을 대변하기에 적절한 어휘가 될 것이다. 실제로 랜드스케이프 사전적 의미에는 지형적 건축의 의미 역시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rlds Jencks, Landform Architecture-Emergent in the Nineties : Architecture Design Vol 67, 1997 

  2. Charles Jencks, New paradigm in Architecture 

  3. Eduard Bru, The long-distance Gaze, New Territorties, New Landscape, ACTAR, 1997 

  4. El Croquis 77(i)+99 : Kazuyo Sejima + Ryue Nishizawa, El Croquis Editorial, 2000 

  5. Manuel Gausa, Land Arch, Quaderns, 1997 

  6. 김종규, 랜드스페이스, 건축과 환경, 9605 

  7. 김광현, 건축과 자연, 이상건축, 9907 

  8. 강형규, 현대건축의 인공화된 자연도입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5 

  9. 배우영,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나타난 경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4 

  10. 유승범, 현대건축에서 지형적 건축의 형성 배경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2002 

  11. 윤정원, '흐름'을 통해 '도시의 건축화'를 조직하는 체계와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3 

  12. 홍지학, 현대건축에 나타난 landscape 개념의 층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3 

  13. 황성희, 도요이토 건축의 신체 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3 

  14. 배우영,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나타난 경계의 불확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3권 2호, 2003.10 

  15. 육광동, 판의 조작에 의한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2권 2호, 2002.10 

  16. 이인원, Landscape Architecture의 불확정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5권 1호, 2005.10 

  17. 전상규, 자연과의 관계를 통한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표현양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2호, 2004.10 

  18. 홍지학, 현대건축에서 랜드스케이프개념을 구성하는 의미의 층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 제22권 22호, 2002.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