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심혈관질환 특이형 삶의 질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3, 2007년, pp.313 - 323  

이은현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  탁승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  신준한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송라윤 (충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 has rarely been studied, mostly due to the lack of a psychometrically validated disease-specific instru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ardiovascular specific-HRQOL ques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술적 측면에서 볼 때, 기존의 심혈관질환자 삶의 질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에서 사용된 고전적인 방법 이외에 최소 2차원의 공간에 문항(개념) 세트가 점으로 표시되어 상대적인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주는 방법으로서 요인 분석에서 문항 적재에 대한 의사결정 시 보조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MDS나 다속성-다문항 매트릭스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방법론상의 확대를 하였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심혈관질환 특이형 삶의 질 측정 도구(CD-QOL)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도구의 Likert 척도에 3과 4에 응답한 비율이 75% 이상인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외에도 서로 비슷한 의미를 나타내는 문항, 심장질환자 삶의 질과 관련이 없는 문항,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에 중요하지 않은 문항, 극소수의 환자에게 만 나타나는 드문 현상을 나타내는 문항 등이 있는지에 대해 개방적 질문을 하였고, 또한 첨가되어야 할 문항이 있으면 기술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3). Heart and stroke statistics2003 update. Dallas: American Heart Association 

  2. Avis, N. E., Smith, K. W., Hambleton, R. K., Feldman, H. A., Selwyn, A., & Jacobs, A. (1996).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index of life quality: A quality of life measure for cardiovascular disease. Med Care, 34(11), 1102-1120 

  3. British Heart Foundation Health Promotion Research Group (2000). European cardiovascular disease statistics. London: BHF 

  4. Cho, M. J., & Kim, K, H. (1998). Us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Depression (CES-D) scale for Korea. J Nerv Ment Dis, 186(5), 304-310 

  5. Fayers, P. M., & Machin, D. (2000). Quality of life: Assessment, analysis, and interpretation. Chichester, UK: Wiley 

  6. Ferrans, C. E., & Powers, M. J. (1992).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Res Nurs Health, 15, 29-38 

  7. Green, C. P., Poter, C. B., Bresnahan, D. R., & Spertus, J. A. (200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Kansas City Cardiomyopathy Questionnaire: A new health status measure for heart failure. J Am Coll Cardio, 35, 1245-1255 

  8. Harvey, R. M., Doyle, E. F., & Ellis, K. (1974). Major changes made by the Criteria Committee of the New York Association. Circulation, 49, 390 

  9. Hillers, T. K., Guytt, G. H., Oldridge, N., Crowe, J., Willan, A., Griffith, L., & Feeny, D. (1994). Quality of life after myocardial infarction. J Clin Epidemiol, 47(11), 12871296 

  10. Hofer, S., Doering, S., Rumpold, G., Oldridge, & Benzer, W. (2006). Determinant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Eur Society Cardio, 13, 398-406 

  11. Hofer, S., Lim, L., Guyatt, G., & Oldridge, N. (2004). The MacNew heart diseas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A summary. Health Qual Life Outcomes, 2(3), 1-8 

  12. Kemmler, G., Holzner, B., Kopp, M., Dunser, M., Greil, R., & Hahn, E. (2002). Multidimensional scaling as a tool for analysing quality of life data. Qual Life Res, 11, 223133 

  13. Lee, E.-H., Tahk, S. J., & Song, Y. S. (2005). Analyses of the studies on cardiovascular 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reported in Korea. J Korean Acad Adult Nurs, 17(3), 5-21 

  14. Lee, E.-H., Cheong, J. Y., Cho, S. W., Hahm, K. B., Kim, H, Y., Park, J. J., Lee, D. H., Kim, S. K., Choi, S, R., Lee, S, T., & Moon, S. M. (2007, in-press).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chronic liver disease-specific quality of life (CLD-QOL) questionnaire. J Gastroenterol Hepatol 

  15.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3). Yearly report for the causes of mortality. Seoul: Author 

  16.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17. Oldridge, N., H. Saner, H., & McGee, H. M. (2005). The Euro-QOL project. An international study to develop a core heart diseas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the HeartQoL. Eur J Cardio Preven Rehabil, 12, 87-94 

  18. Padilla, G. V., & Grant, M. M. (1984). Quality of life as a cancer nursing outcome variable. Adv Nurs Sci, 8, 45-60 

  19.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yion. Appl PsychoI Meas, 1, 385-401 

  20. Schipper, H., Clinch, J., & Qlweny, C. L. M. (1996). Quality of life studies: Definitions and conceptual issues. In Spilker, B. (Ed.), Quality of life and phamacoeconomics in clinical trials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Publishers, 11-23 

  21. Schmidt, S., & Bullinger M. (2003). Current issues in crosscultural quality of life instrument development. Ach Phys Med Rehabil, 84(suppl 2), S29-S34 

  22. Spertus, J. A., Winder, J. A., Dewhurst, T. A., Deyo, R. A., Prodzinski, J., McDonell, M., & Fihn, S. D. (199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eattle angina questionnaire: A new functional status measure for coronary artery disease. J Am Coll Cardiol, 25, 333-341 

  23. Subramanian, S. V., Kim, D., & Kawachi, I. (2005) Covariation in the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self-rated health and happiness: A multivariate multilevel analysi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e USA.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9, 664-669 

  24. Sung, J. D., Oh Y. K., Kim H. S., Chae I. H., Sohn D. S., Oh, B. H., Lee, M. M., Park, Y. B., Choi, Y. S., & Lee Y. W. (2000).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y Scale/ Index (KASI). Korean Circulation J, 30(8), 1004-1009 

  25. Tabachnick, B. G., & Fidell, L. S. (1996).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3ed ed.). New York: Harper Collins 

  26. Talley, N. J., Haque, M., & Wyeth, J. W. (1999).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 Pharm. Therap, 13, 225-35 

  27. Thompson, D. R., & Roebuck, A. R. (2001).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J Cardiovasc Nurs, 16(1), 28-33 

  28. Varoneckas, G., & Strnuite, M. (2005). Depression, anxiety, sleep disturbances and quality of life in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Euro J Cardio Preven Rehabil, 12(3), 302 

  29. Ware, J. E., Josinski, M., & Gandek, B. (2000). SF-36 $\circledR$ Health survey: Manual & interpretation guide. Lincoln, Rhode Island: QualiMetric 

  30. Ware, J. E., Snow, K. K., Kosinski, M., & Gandek, B. (1993). SF-36 Health survey: Manual and institute. New England Medical Cente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