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분석
The Case Analysis of Teacher's Questioning and Feedback through Vernal Interactions in the Classes of the Gifted in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7 no.9, 2007년, pp.881 - 892  

정민수 (서울대학교) ,  전미란 (서울대학교) ,  채희권 (서울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 수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발문과 피드백,학생들의 응답에 대한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교사-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한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발문과 피드백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과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8차시 24시간 분량의 수업을 비참여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교사와 학생간의 상호대화를 전사 분석하고,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업 분석 결과,교사들은 대체적으로 기억회상과 인지 기억의 질문과 즉각적 피드백을 사용한 반면,학생들은 단답형 응답을 선호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교사-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수업의 특징은 도입단계에서 개방적 질문을 사용하였고,발문의 처리단계를 높였으며, "왜"와 "어떻게"의 질문을 많이 사용하였고,평가질문을 사용한다는 것이었다. 피드백의 특정으로는 학생의 응답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고,지연피드백을 많이 사용하였으며,칭찬과 격려로 다음 문제해결에 자신감을 부여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classify teachers' questions and feedbacks as well as students' responses in term, of type and frequency, and speculat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verbal interactions including teachers' questions and feedbacks performed actively in the classes of the gifted in science. The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울 ":재 대학의 과학영재교육센터의 과학 심화반 수업(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에서 각 분야별로 8개의 과학영재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물리교사 2명, 생물교사 3명, 지구과학 교사 2명, 화학교사 1명이며, 인터뷰를 통한 각 교사의 배경정보는 Table 1과 같다.
  • 따라시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수업에서 교사들의 발문 믘 피드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관찰. 분석하。' 이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과학영재 수업에서 활발한 교사-학생의 언어작용을 유도하는 교 +의 발문과 피드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补였다.
  • 분석하여 이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교사..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유도된 수업에서 나타나는 발문과 피드백의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과학영재 수업에서 효과적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 구체적인 발문전략을 알아보는 연구는 비교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시 본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수업에서 교사들의 발문 믘 피드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관찰. 분석하。' 이에 대한 구체적인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과학영재 수업에서 활발한 교사-학생의 언어작용을 유도하는 교 +의 발문과 피드백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자 补였다.
  • 어떠한 내용의 것。'!라도 잠정적으로 그것을 수용하고 받아들이면서 “二 렇군”과 같은 말로 받아들이고 학생들이 직접 실험하고 자신들의 응답이 맞는지 직접 알아보게 하였다.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고, 이러한 교사의 수용적인 태도는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 하거나 제시할 때 거리낌 없이 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 본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서 교사들의 발문과 피드박I, 그리고 학생의 반응 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관찰.분석하여 이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교사.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교육 수업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사들의 발문과 피드백, 학생들의 응답에 대한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교사-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활발간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발문과 피드백에 대한 鼻징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과학 경 재 학생 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8차시 24시간 분량니 수업을 비참여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교사와 학생 壮의 상호대화를 전사 분석 하고,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관찰.분석하여 이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교사..

가설 설정

  • 사람은? S: 대기권이 요동친다.
  • S: 무한대에 가깝게요.
  • S: 빵이든 밥이든 어쨌든 먹는 것이 중요하지 않나요1?
  • S: 어두운 곳에 있을 때는 조금씩 움직이는데 빛이 있들 때는 길게 움직여서요.
  • S: 온도가 너무 낮아도 안 되고 너무 높아도 안 되는데.
  • S: 온도가 적당하면 세포호흡이 잘 되요.
  • S: 온도에 따라 대사율이 달라져요.
  • S: 인산이 결합될 때 그 에너지가 사용되지 않았을까요. [설명형 응답]
  • T3: 렌즈가 고르지 않다? 다른 사람은? S: 대기권이 요동친다.
  • T3: 빛이 실제로 평행하지 않다? 또? S: 렌즈가 고르지 않다.
  • T3: 왜 점이 안 되고 원이 될까요?
  • T4: 그러면 지금 ATP 이야기 하고 그러는데 ATP가 에너지를 만드는지 또는 그것이 에너지로 사용되는지 어떻게 알아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개방적 발문]
  • T4: 생물은 에너지를 외부에서 얻어요. 그러면 한국 사람이 밥을 먹었다고 치면 또는 포도당 주사를 맞았다고 치면 그게 어떻게 에너지로 쓰이느 거예요? [개방적 발문]
  • T4: 온도가 적당하면 세포호흡이 잘된다? 또?
  • T4: 온도에 따라 대사율이 달라진다? 그렇죠. 또?
  • T4: 요즘 겨울이라서 추워져서 다니기가 불편한데 온도는 세포 호흡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 T4: 우리 몸에서 왜 열이 나요?
  • T4: 이 친구는 먹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어요..
  • T4: 인산이 결합될 때 에너지가 사용되는 것 봤어요? 인산이 떨어질 때 에너지가 튀어 나오는 것 봤어요? [추가질문]
  • T4: 측정하는 기계장치가 있다면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추가질문]
  • T5: 광선으로 표시해 보세요 공卜선이 어떻게 이곳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일까요?
  • T5: 그럼 질문 없으면 이정도로 하고요, 수고했어요 박수 좀 쳐줘요. 학생들은 자기가 알고 있는 공식을 실제로 확인해 봤다는게 참 재미있고 특이하고요, 잘했어요! 요기 초적거리도 비슷하게 맞췄어요 암튼 재미있구요.
  • T8: 정리 좀 합시다. 자, A학생이 렌즈에 따른 도:립과 정립에 대해 이렇게 그려서 昌표를 했어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 

  2. 김용국 (1993) 사고력 신장을 위한 발문에 관한 고찰. 초등교육학연구, 1, 23-43 

  3. 박수경 (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 인식 및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30-40 

  4. 박종윤, 정인화, 남정희, 최경희, 최병순 (2001).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6(2), 239-245 

  5. 박철웅 (2004). 지리교사의 발문 실태와 효율적 발문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1), 149-168 

  6. 변홍규(1995). 질문제시의 기법. 서울: 교육과학사 

  7. 양미경 (1999). 교사의 칠문 특성 및 역할에 대한 비판적 이해. 중원인문논총, 20, 61-79 

  8. 이성호 (1999). 교수방법론. 서울: 학지사 

  9. 임선빈 (1996). 교사의 인지적 발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I. 교육연구, 14, 141-162 

  10. 전경원 (2004). 새로운 영재재능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11. 진영은 (2000). 고등학교 교사들의 수업 중의 질문법에 관한 분석. 인문과학. 30, 81-100 

  12. 최경희, 박종윤, 최병순, 남정희, 최경순, 이기순 (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39-1048 

  13. Banks, J. A. (1990).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Studiest 4th (Ed). New York: Longman 

  14. Berliner, D, C. (1987). But do they understand?: In V. Richardson-Kowhler(Ed.), Education's handbook: A research perspectives. New York: Longrmn 

  15. Black, P., & William, D. (1998). Assessro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rrerr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otice, 5(1), 7-74 

  16. Blosser, P. E. (2000). Asking the right questions. Arlin on, Virginia: NSTA press. Borland, J. H. (1989). Planr 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for the gift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17. Brophy, J. & Good, T .L. (1986).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achievement. In M.C. Witrrcck(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New York: Macmillan. 328-375 

  18. Brown, G. (1975).Microteachiog, Methuen, London 

  19. Carin, A. A. (1997). Teaching science through discovery(8th Ed). Upper Saddle River: Merill Publishing Company 

  20. Carsen, W. S. (1991). Questioning in the classrooms: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3), 157-178 

  21. Cassidy, D. J. (1989). Questioning the young child: Processes and function, Childhood Education, 63(3), 146-149 

  22. Chin, C. (2006). Classroom Interaction in Science: Teacher questioning and feedback to students' respon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1), 1315-1346 

  23. Cliatt, M.J. P., Shaw, J. M. & Sherwood, J. M (1980). Effects of training on the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of kindergarten children, Child Development, 51, 1061-1064 

  24. Davis. B. G. (1993). Tools for teaching. San Francisco: Jossey- Bass Inc 

  25. Dillon, J. T. (1988). Questiouiug and testing : A manual of practice, London: Croom Helm, 45-71 

  26. Edward, D., & Mlercer, N. (1987), Common Knowledge: TIle development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London: New York: Routledge 

  27. Gall, M. D. (1984). Synthesis of research on teachers' questioning. Educational Leadership, November, 40-47 

  28. Gallagher, J.J., & Gallagher, S. A. (1994). Teaching the gifted child, Boston: Allyn & Bacon 

  29.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30. Guilford, J. P. (1967). TIl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Bock Company 

  31. Hiebert, J. & Wearne, D. (1993). Irstructional tasks, classroom discourse, and student' learning in second-grade arithmeti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0(2), 393-425 

  32. Hyman, R. T. (1987). Discussion strategies and tactics. In W.W.Wilen(Ed.), Question, questioning techniques, and effective teaching,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23-48 

  33. Kaplan, S. N. (1986). The Gtid: A model to construct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34. Lang, Q. C., Wong, A. F. L. & Fraser, B. J. (2005). Student perceptions of chemistry laboratory learning environments, student-teacher interactions and attitudes in secondary school gifted education classes in singapor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9- 321 

  35. Maker, C. J., & Nielson, A. (1996).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 Austin, TA: Pro-Ed, Inc 

  36. Martorella, P. H. (1991). Teaching Social Studies in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New York: Macmillan co 

  37. McNay, M. (1984). Science: All the wonder things, Childhood Education, 61(5), 375-378 

  38. Moore, K. D. (2000) Classroom teaching Skills. New York: McGraw-Hill, Inc 

  39. Mortimer, E., & Scott, P. (2000), Analysing discourse in the science classroom In R. Miller, J. Leach & J. Osborne (Eds, J, Improving science education :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pp. 126-142).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40. Perry. M., VanderStoep, S., & Yu, S. L. (1993). Asking question in first-grade mathematics classes: Potential influences on mathematical though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1), 31-40 

  41.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 180- 184, 261 

  42. Robinson, H. P. (1977). 'Current myths concerning gifted children.' Gifted and Talentecl Brief 5, 1-11, Verrura, CA: National/State Leadership Training Institute 

  43. Sanders, N. (1996), Classroom questions: What kinds? New York: Harper and Row 

  44. Seo, H-A., Lee, E. A. & Kim, K. H. (2005). Korean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 gifted education.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4(2-3), 98-105 

  45. Starko, A. J. (1995). Creativity in the classssroom; Schools of curious delight. White Plains, New York: Longman. 45p 

  46. Stephanie, S. A, (1982).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techniques and student's achievement on high cognitive level question-asking skill(Do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1981).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2 

  47. Sternberg, R. J. (1981). A Componential theory of intellectual giftedness. Gifted Child Quarterly, 25, 86-91 

  48. Stigler, J., Fernander, C., & Yoshida, M (1996). Traditions of school math maries in Japanese and American elementary classrooms. In L.P. Steffe & P. Nesher(Eds), Theories of mathematical learn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49-175 

  49. Tannenbaum, A. (1913). Gifted Children, New York: MacMlillan 

  50. Terman, L. M. (1925),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1. Tomlinson, C. A. (1999). The differentiated classroom; Responding to the needs of all learners.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i and Curriculum Development 

  52. Tunstall. P., & Gipjus, C. (1996). 'How does your teacher help you to mak: ypur work better?' Children's understanding of formatse assessment. The Curriculum Journal 7(2), 185-203 

  53. Van Tassel-Baska, J. (1992). Planning effective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 Denver, CO: Love Publishing. 89p 

  54. Van Tassel-Baska, J. (2003). Curriculum planning & instructional design for gited learners. Denver: Lover Publishing Company 

  55. Wilen, W. W. (1991). Questioning skills for teachers (4th Ed.) Washington, D. C .: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56. Williams, F. E. (1985). The cognitive-affective interaction rnxlel for enriching gifted programs. In J. S. Renzulli (Ed.),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pp. 461-484). Mansfield, CT:Creative Learning Press 

  57. Woolever, R. M & Scott, K. P. (1988). Ac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Illinois: Scott Foresman & Co 

  58. Wubbels, Th. & Leay, Jack. (1993). Do you know what you look like? : ir terpersonal relationships in education. London ; Washingt;n, D.C. : Falmer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