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특성에 따른 새터민의 사회문화적 적응
The Family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Socio-Cultur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5 no.5 = no.231, 2007년, pp.63 - 74  

진미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umber of North Koreans defectors entering South Korea with their family members increases,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explore the family characteristics that facilitate their adjustment. The data used in the present study was collected from a survey of 195 North Korean defectors. The aim o...

주제어

참고문헌 (37)

  1. 강권찬 (2005). 북한이탈주민 지원정책 분석. 민족연구. 35-63 

  2. 김영수 (2000). 북한이탈주민의 가족문제, 사회과학연구 9, 102-117 

  3. 김영윤, 박종철, 이우영 (1996).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민족통일연구원 

  4. 박미석, 이종남 (1999). 탈북가족의 남한가족 적응시 겪는 어려움과 그에 따른 대처방안. 숙명여자대학교통일문제연구소 통일논총, 17 

  5. 박현선 (2003). 현대 북한사회와 가족. 서울: 도서출판 한울 

  6. 안연진 (2002). 북한이탈주민가족의 가족문화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카톨릭대학교석사학위논문 

  7. 유영권 (2005). 탈북자들의 적응 스트레스와 목회상담적 대처방안.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9, 177-220 

  8. 윤여상 (2002). 탈북자 현황과 적응실태. 자유공론, 12 월호 

  9. 윤인진 (1999).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한국사회학 33, 511-549 

  10. 윤인진, 김숙희 (2005). 국내 탈북자의 건강 및 의료. 보건과 사회과학, 17, 149-182 

  11. 이기영 (2000). 탈북자가족의 남한사회 적응과정. 가족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문 

  12. 이기영, 성향숙 (2001). 탈북가족구성원의 가족관계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탈북자 가구주 및 그 배우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47(11), 243-271 

  13. 이기춘, 이기영, 이은영, 이순형, 김대년, 박영숙, 최연실 (2001). 통일에 앞서 보는 북한의 가정생활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4. 이소래 (1997). 사회적 지지가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5(1), 209-247 

  15. 이종석 (1996) . 북한주민 의식구조 및 가치관 조사. 통일연수원 

  16. 장혜경, 김영란 (2000).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40-13 

  17. 전우택 (1999). 탈북자의 보호 및 국내적응 개선방안. 제 32회 국내학술회의 발표논문집 (99-05) . 통일연구원 

  18. 전우택 (2000)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서울: 오름 

  19. 전우택 (2002). 탈북자들을 통하여 보는 남북한 사람들의 통합전망,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통일연구, 6(1) 

  20. 전우택, 윤덕용, 엄진섭 (2003).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생활 실태조사. 통일연구, 7(1), 155-208 

  21. 조영아, 전우택 (2005). 탈북 여성들의 남한사회 적응문제: 결혼 경험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17-35 

  22. 채정민, 한성열 (2003). 북한이탈주민의 자기고양 편파가 남한 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2), 101-126 

  23. 통일부 (2006). 국감자료(사회문화교류본부) 

  24. 한만길 (1999). 북한이탈주민의 남한교육 적응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5. 한인영, 이소래 (2002). 북한이탈주민의 이주형태 및 성별에 따른 건강관련 특성 비교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 10, 121-142 

  26. Beavers, W.R., & Hampson, R. B. (1993). Measuring family competence: The Beavers systems model. In Normal processes (2nd Ed.) edited by F. Walsh. The New York: Guilford Press 

  27. Epstein, N.B., Bishop, D.S., Ryan., CE., Miller, LW., & Keitner, G.I. (1993). The MacMaster model: View of healthy family functioning. In Normal processes (2nd Ed.) edited by F. Walsh. The New York: Guilford Press 

  28. Kalil, A. (2003). Family resilience and good child outcom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entre for Social Research and Evaluation. Ministry of Social Development 

  29. Kissane, D.W., Bloch, S., Onghena, P., McKenzie, D.P., Snyder, R.D., & Dowe, D.L. (1996). The Melbourne Family Grief Study II: Psychosocial morbidity and grief in bereaved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3(5), 659-666 

  30. Olson, D.H. (1993). Circumf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Assessing family functioning. In Normal processes (2nd Ed.) edited by F. Walsh. The New York: Guilford Press 

  31. Pasch, L.A., Deardorff, J., Tschann, J.M., Flores, E., Penilla, C, & Pantoja, P. (2006). Acculturation, parent-adolescent conflict, and adolescent adjustment in Mexican American Families. Family Process, 45(1),75-86 

  32. Pill, CJ. (1990). Stepfarnilies: Redefining the family. Family Relations, 39(2),186-194 

  33. Sarnaraisnghe, K, Fridlund, B., & Arvidsson, B. (2006). Primary health care nurses' conceptions of involuntarily migrated families' health.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301-307 

  34. Sluzki, C (1979). Migration and family conflict. Family Process, 18(4), 379-390 

  35. Suarez-Orozco, C, & Qin, D. B. (2006). Gendered perspectives in psychology: Immigrant origin youth.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40(1), 165-198 

  36. Waldren, T., Bell, N.J., Peek, CW., & Sorell, G.T. (1990). Cohesion and adaptability in post-divorce remarried and first married families: Relationships with family stress and coping style. Journal of Divorce and Remarriage, 14(1), 13-28 

  37. Weine, S., Muzurovic, N., Kulauzovic, Y., Besic, S., Lezic, A., Mujagic, A., Muzurovic, J., Spahovic, D., Feetham, S., Ware, N., Knafl, K, & Pavkovic, I. (2004). Family consequences of refugee trauma. Family Process, 43(2),147-1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