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 아동의 속담인지수준과 인지속담의 특성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 of Proverbs and Characteristic of the Perceived Proverb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5 no.4 = no.230, 2007년, pp.77 - 86  

조복희 (경희대학교 아동학) ,  이주연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강기숙 (건국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umber and type of proverbs known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explain what variables might influence the proverbs' perception. From Seoul and Chonbuk areas, 632 forth, fifth, and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They completed an op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속담 중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속담은 무엇이며, 그 특성은 어떠한가? 아동들의 속담인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속담 중 아동들이 실제 알고 있는 속담은 무엇인지에 대한 속담인지 수준을 조사하고, 인지수준이 높은 속담들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아동의 특성과 실생활에서의 속담사용 경험이 그들의 속담인지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는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아동기 후기는 인지능력에 있어 구체적 조작기로부터 형식적 조작기로의 발달적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로, 이 시기의 아동은 상황에 대한 민감성과 함께 추상적인 대상에 대해서도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인지능력을 발달시키게 된다.
  •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속담 중 아동기 후기 아동들이 알고 있는 주요 속담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인지수준이 높은 속담의 특성을 속담의 구체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아동의 특성에 따라 그러한 속담인지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함으로써 아동의 인지발달과 실생활에서의 경험이 속담에 대한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 631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후기에 급격한 발달양상을 보이는 비유적 언어표현 중 속담의 실제적인 인지수준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우리나라의 속담 중 아동기 후기 아동들이 알고 있는 주요 속담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인지수준이 높은 속담의 특성을 속담의 구체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아동발달학적 측면에서 비유 언어인 속담에 대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속담을 사용하여 아동기 후기 아동들의 인지발달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지 속담의 활용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노년 세대인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은 아동의 속담에 대한 노출과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분석해보고자 조부모와의 동거여부와 더불어 실제 부모 및 또래와의 속담사용 빈도와 속담인지수준의 관계를 함께 분석해보고자 한다.
  • 우리나라 속담 사전에는 약 7207개 정도의 속담이 수록되어 있다(최창렬 2002). 이들 속담 중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속담은 무엇이며, 그 특성은 어떠한가? 아동들의 속담인지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속담 중 아동들이 실제 알고 있는 속담은 무엇인지에 대한 속담인지 수준을 조사하고, 인지수준이 높은 속담들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아동의 특성과 실생활에서의 속담사용 경험이 그들의 속담인지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는지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아동기 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비유언어인 속담의 인지정도와 활용 수준의 전반적 경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나라 속담 사전에는 약 7207개 정도의 속담이 수록되어 있다(최창렬 200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속담인지수준을 조사하고, 아동들이 높게 인지한 속담의 특성을 함께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아동발달학적 측면에서 비유 언어인 속담에 대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동시에 속담을 사용하여 아동기 후기 아동들의 인지발달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지 속담의 활용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결과는 아동기 후기 아동들의 비유적 언어습득에 있어서의 엄청난 향상 가능성을 시사하며, 따라서 아동들이 일상생활 대화에서 속담에 얼마나 자주 노출되고 자주 사용하는지, 그리고 아동을 둘러싼 환경이 얼마나 다양한 속담환경을 제공하는지에 따라 그들의 속담인식수준과 이해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개인차를 야기할 수 있는 속담환경의 차이로서 조부모와의 동거여부에 따른 속담인지수준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속담은 예로부터 내려오는 생활의 지혜나 격언 등을 담고 있기 때문에(최창렬 2002) 젊은 세대보다는 노년 세대들에게 더 익숙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구체적인 교과 내용으로는 속담을 사용하는 목적, 속담의 뜻뿐만 아니 라 상황에 맞는 속담 말하기, 비슷하거나 뜻이 반대인 속담 찾기, 속담 속의 말 바꾸어보기, 속담이 사용될 수 있는 상황을 생각해보기 등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오소정, 2001) . 초등학교 교과과정에서의 속담교육은 상황에 맞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교육부, 1999). 그러나 이러한 실제적인 속담활용과 교육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동을 대상으로 실제 속담이 아동들에게 얼마만큼 활용되고 있는지, 아동들은 어떤 속담에 보다 친숙한지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심리학적 관점에서 인지발달과의 관련성을 본 속담연구도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서정수, 1982; 오소정, 2001).

가설 설정

  • 1)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54%), 2)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45%), 3) 티끌모아 태산(41%), 4)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40%), 5) 작은 고추가 더 맵다(35%), 6)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32%) 등이다.
  • 둘째, 아동의 특성(학년, 조부모와의 동거)에 따라 속담인지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 첫째, 연구대상 아동들이 인지한 속담은 무엇이며 그 특성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교육부(1999)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6-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 김명희 (1989) . 속담을 통해서 본 성차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종택 (1994) . 속담의 기능과 구조. 새국어 생활, 4(2), 27-45 

  4. 김충효(1983) . 한국 속담의 의미소 연구. 부산대 논문집 5. 35-51 

  5. 박갑수(2001) . 속담에 반영된 딸과 며느리: 한. 일. 영어의 발상과 표현. 한국한자문화, 20, 53-55 

  6. 박진경 (2004) 속담을 이용한 한국어 문화교육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서정수(1982) . 은유적 표현의 이해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안경화(2001) . 속담을 통한 한국문화의 교육방안. 한국어교육, 12, 143-163 

  9. 오소정 (2001) . 속담 이해능력의 발달 학령기 아동, 청소년 및 성인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유재복(2001). 우리말 대칭속담의 의미생성구조에 대한 연구. 한국언어문학, 45, 453-470 

  11. 이하배(2001). 우리 속담에 나타난 성차별의 사회회: 유교적 사회화와의 관련 속에서. 한독사회과학논총, 11, 185-207 

  12. 정달영(1998) . 한. 일 속담의 비교연구. 비교한국학, 4, 60-106 

  13. 정달영(2000) . 한. 영 속담의 비교연구. 비교한국학, 6, 147-168 

  14. 조복희, 안선희, 이영환, 이진숙 (1998) . 한국 부모-자녀관계 속담에 대한 동의도와 가족환경 및 가족가치관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8), 105-123 

  15. 조복희, 이진숙(1998) . 우리나라부모-자녀관계 속담의 특성과 인식분석. 아동학회지 19(1), 5-25 

  16. 조재윤(1988). 한댁속담의 구조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7. 진경지(2002) . 한. 중 속담의 변용과 와전. 한국언어문화, 21, 295-310 

  18. 최창렬(2002) . 우리 속담 연구. 서울: 일지사 

  19. Berk, L. E. (2002). Child Development (5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20. Gibbs, K W. (1994). The poetics of min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Gibbs, K W., & Beitel, D. (1995). What proverb understanding reveals about how people think. Psychological Bulletin, 118, 133-154 

  22. Lutzer, V. D. (1988). Comprehension of proverbs by average children and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1, 104-108 

  23. Mieder, W., & Holmes, D. (2000). Children and proverbs speak the truth: Teaching proverbial wisdom to fourth graders.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Press 

  24. Nippold, M A (1988). Figurative language. In M. A Nippold (Ed.), Later language development: Ages nine through nineteen (pp. 179-210). Austin, TX: Pro-Ed 

  25. Nippold, M. A (1998). Later language development: The school-age and adolescent years(2nd Ed.). Austin, TX: Pro-Ed 

  26. Nippold, M. A, Allen, M. M., & Kirsch, D. I. (2000). How adolescents comprehend unfamiliar proverbs: The role of top-down and bottom-up processe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3, 621-630 

  27. Nippold, M. A., & Haq, F. S. (1996). Proverb comprehension in youth: The role of concreteness and familiar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9, 166-176 

  28. Nippold, M. A, Martin, S. A, & Erskine, B. J. (1988). Proverb comprehension in context A developmental study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1, 19-28 

  29. Nippold, M. A, & Uhden, L. D. (1997). Proverb explanation through the lifespan: A developmental study of adolescents and adul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0,245-253 

  30. Piaget, J. (1959). The language and thought of the child (3rd Ed.). London, UK: Routledge & Kegan Paul 

  31. Pinto, M. A (1999). Metalinguistic awareness: Theory, development, & measurement instruments. Italy: Instituti Editoriali e Poligrafici Internazionali 

  32. Power, K, Taylor, C. L., & Nippold, M. A. (2001). Comprehending literally-true versus literallyfalse proverbs. Child Language Teaching and Therapy, 17, 1-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