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멜라닌 분해능을 지닌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원료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Whitening Cosmetic Ingredient Having Activity of Melanin Degradation 원문보기

한국생물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v.22 no.1, 2007년, pp.7 - 15  

강환구 (한남대학교 나노생명화학공학과) ,  황선덕 ((주)브릿지 바이오) ,  김형식 ((주)브릿지 바이오) ,  정종식 (한남대학교 나노생명화학공학과) ,  이병욱 (고신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균류 추출물로부터 신규 멜라닌 분해효소의 분리 및 분해능 test는 멜라닌 분해효소의 균사체 배양 상등액으로 분비 생산됨을 분해능 테스트를 통하여 확인하였고, 이 분해 효소에 의한 멜라닌 분해반응은 pH 7에서 가장 높고, 30$^{\circ}C$에서 가장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분해 효소의 characterization은 2D-gel을 이용하여 멜라닌 분해효소 중 한 가지 효소의 pI값이 약 6.5이고 Molecular weight는 약 54-57 kDa임을 알 수 있었고, 정제된 멜라닌 분해 효소의 전체적인 단백질 및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여 degenerate primer를 합성하였으며, RT-PCR 법을 이용하여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멜라닌 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진균류의 배양방법 확립은 멜라닌 분해효소가 최대 활성을 갖는 배지 조건은 ammonium tartrate 0.4% : glucose 2% 배지에 yeast extract를 0.1%를 첨가한 배지임을 확인하였고, 진군류의 최적 배양온도는 24-26$^{\circ}C$였으며, 이 때 건조 균체 중량으로 약 6 g/L의 균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진균류 성장의 최적 pH는 약 5.5로서 이 경우 건조균체중량이 약 6.6 g/L였다. 정제공정은 최적화를 통하여 멜라닌 분해효소의 정제 순도 90% 이상의 정제공정을 확립하였다. Scale-up은 5 L fermenter를 이용한 기초 배양공정을 확립하여 500 L fermenter로의 경제성 있는 scale up에 성공하였고, 이 때 건조균체중량 약 14.5 g/L의 진균류를 얻었으며, 배지 중에 분비 생산된 melanin 분해효소의 양이 300 mg/L에 달하였다. 멜라닌 분해효소의 formulation은 멜라닌 분해효소를 효율적으로 피부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50-100 nm 크기로 encapsulation을 실시하여 70 nm, 100 nm size의 nano capsule을 얻었다. 본 연구는 tyrosinase 저해제가 갖는 부작용이 없어 생체 친화적 물질에 의한 부작용 감소 효과가 기대되며, 독자적 기술에 의한 고부가 미백용 화장품 원료 확보로 새로운 기능에 의한 신규시장 창출이 가능하여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고부가 화장품에 사용되어 수입대체효과 및 기업의 매출증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ensiv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inhibition of melanin formation as development of whitening cosmetic ingredients. But degradation of melanin itself was not intensively pursued as development of cosmetics. In this study, novel melanin degradation enzyme was developed and characterized. Also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위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본 연구의 목표는 기존의 많은 연구가 멜라닌 생성억제에 맞추어져 있고 멜라닌의 분해에 관하여는 거의 연구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소에서 확보한 분해능을 지닌 진균류로부터, 멜라닌 분해효소를 분리하여 피부 미백 화장품 원료를 개발함이 목표이다.
  • 멜라닌 분해시 효소의 반응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은 멜라닌 분해 효소의 열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10배 농축한 배양 상등액을 melanin solution에 첨가하여 각각 20°C부터 60°C에서 반응시켰다.
  • 멜라닌 분해활성에 미치는 Yeast extract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별된 최적 제한배지에 yeast extract를 소량첨가하여 효소 활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10배 농축 후 분해 활성을 측정 한 결과 yeast extract를 0.

가설 설정

  • 이로써 멜라닌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진균류의 최적 배양온도는 24-26°C 사이의 중간값이 25°C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Swamy, J. and J. A Ramsay (1999), The evaluation of white rot fungi in the decoloration of textile dyes, Enzyme Microbe Technol. 24, 130-137 

  2. Ratto, M., M. Chatani, A.-C. Ritschkoff, and L. Viikari (2001), Screening of micro-organisms for decolorization of melanins produed by bluestain fungi, Appl. Microbiol. Biotechnol. 55, 210-213 

  3. Chinshuh, C., Jan-Lin Chen, and Tse-Yang Lin (1996),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xylanase from Trichoderma longibrachiatum for xylooligosaccharide production,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21, 91-96 

  4. Komiyama, K., S. Takamatsu, Y. Yakahashi, M. Shinose, M. Hayashi, H. Tanaka, Y. Iwai, and S. Omura (1993), New inhibitors of melanogenesis. OH-3084 K1 and K2, J. Antibiotics 46, 1520-1525 

  5. Hurd, R. E. and B. K. John (1991), Gradient-enhanced proton-dected heteronuclear multiple-quantum coherence spectroscopy, J, Magn. Reson. 91, 648-653 

  6. Boyd, R. K., A. J. MeAlees, A. Taylor, and J. A. Walter (1991), Isolation of new isocyanide metabolites, J. Chem. Soc. Perkin Trans. 1, 1461-1465 

  7. Willker, W., D. Leibfritz, R. Kerssebaum, and W. Berml (1993), Gradient selection in inverse heteronuclear collection spectroscopy, Magn. Reson. Chem. 31, 287-2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