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단삼 에탄올추출물이 유방암 예방 및 전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on Chemoprevention and Metastasis of Breast Cancer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8 no.1 = no.148, 2007년, pp.62 - 66  

손윤희 (동국대학교 난치병한양방치료연구소) ,  조현정 (동국대학교 난치병한양방치료연구소) ,  김미경 (동국대학교 난치병한양방치료연구소) ,  정은정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남경수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thanol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SME) was tested for breast cancer chemoprevention and metastasis by measuring the activites of cytochrome P45O 1A1, aromatase, ornithine decarboxylase (ODC),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SME significantly inhibited cytochrome P45O 1A1-mediated ethox...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실험에서는 단삼 에탄올추출물의 유방암 예방 및 전이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cytochrome P450 1A1, aromatase, ornithine decarboxylase (ODC) 및 matrix metalloproteinase(MMP)-9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 분리는 Phol과 Fouts의 방법 을 참고하여 실시하였다. Cytochrome P450 1A1 은 ethoxyresorufin-0-deethylase(EROD) 활성으로 측정하였다.D)즉, 흰쥐로부터 분리한microsomal protein (2 mg/mZ)200#에 640#의 0.
  • 모든 시약들을 잘 섞은 후 37°C에서 4분간 반응시키고, 2#의 methanol로 반응을 종결시켰다. 2, 000 x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형광분광광도계 (BIO-TEK SFM25, USA)로 측정 (550 nm excitation and 585 nm emission) 하였다. 양성대조군은 resveratrol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 Aromatase 활성 측정 - Aromatase 활성은 Thompson과 Siiteri의 방법3)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즉, 기질 [10-3h(N)]androst-4-ene-3, 17-dione (specific activity 24.
  • 방법3)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즉, 기질 [10-3h(N)]androst-4-ene-3, 17-dione (specific activity 24.7 Ci/mmol) (100 nM), 태반 마이크로좀 (40mg), progesterone (10 gM), bovine serum albumin (0.1%), potassium phosphate (67 mM,pH 7.4)와 시료를 포함한 반응액 500 #를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12 mM NADPH를 반응액에 넣고 37°C 에서 10분간 다시 반응시킨 후 5% TCA로 반응을 중단시켰다.
  • 그리고 12 mM NADPH를 반응액에 넣고 37°C 에서 10분간 다시 반응시킨 후 5% TCA로 반응을 중단시켰다. 100 X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동량의 chlorofbrm으로 반응시킨 후 그 상층액은 dextran-charcoal 혼합액에 옮긴 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의 radioactivity를 측정하였다.
  • Ornithine decarboxylase (ODC) assay - MCF-7 cell 을 6-well tissue culture plate 에 well 당 4 x 10, cells/mZ 세포를 접종시키고, 18시간 후에 TPA와 시료 또는 양성대조군인 0.01 mM DFMOS- 처리하여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용해하여 Nam 등의 방법 '4)으로 ODC 활성을 즉정하였다.
  • MCF-7 cells을 5 x 105 cells의 농도로 6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후 단삼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상층 액을 취하여, 0.1% (w/v) gelatin이 포함된 SDS-PAGE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 후 gel을 2.
  • 5% Triton X-100 용액에서 1시간 동안 씻어낸 다음 developing buffer에서 37°C로 24시간 배양시켰다. Coomassie 염색과 탈색을 통해 MMP-9 활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 Aromatase의 활성 저해효과 - 사람의 태반에서 분리한 aromatase의 활성에 단삼 에탄올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aromatase 저해제의 양성대조군으로는 1 uM aminoglutethimide를 사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시약 - RPMI-1640 medium, antibiotics, 7, 12-dimethyl- benz[cc]-anthracene (DMBA), potassium phosphate buffer, ethoxyresorufin-O-deethylase (ERO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ethoxyresorufin, resveratrol, ip-3H(N)] androst-4-ene-3, 17-dione, progesterone, NADPH, difluoro­ methylornithine (DFMO), L-[1-14C] ornithine, EDTA, dithiothreitol, triton X-100, bovine serum albumin (BSA),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Tris-HCl, bicinchoninic acid protein kit는 Sigma (St. 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fetal bovine serum (FBS)은 JBI사 (Daegu, Korea)제품을 사용하였다. 기타 세포 배양용 시약 및 추출용 유기용매는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 에탄올추출물의 제조 - 실험에 사용한 국내산 단삼은 경주시 소재 건재상에서 구입하였으며, 단삼 1.2 kg은 상온에서 70% 에탄올 (2#)로 3일간 3회 추출하여 그 추출액을 여과 농축하여 에탄올추출물 222.1 g을 얻었다. 그리고 실험조건에서 사용되는 배지 및 증류수에 희석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 2, 000 x g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형광분광광도계 (BIO-TEK SFM25, USA)로 측정 (550 nm excitation and 585 nm emission) 하였다. 양성대조군은 resveratrol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이 실험은 3회 반복 실험으로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는 control에 대한각 시료들의 저해도 정도를 %로 나타내었다.
  • 그리고 aromatase 저해제의 양성대조군으로는 1 uM aminoglutethimide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단삼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aromatase 활성을 저해 하였으며, 300 ng/m? 이상의 농도 (p<0.

데이터처리

  • 통계학적 처리 - 실험결과는 평균土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위해 student's /-test를 수행하여 결과치는 p 값이 0.05 미만을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론/모형

  • 세포는 액체질소에 보존해 두었다가 같은 passage 번호를 가진 세포를 녹여서 사용하였으며, 세포의 생존은 trypan blue dye exclusion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 Cytochrome P450 1A1 의 활성 저해 측정 -DMBA (30mg/마리)를 처리한 흰쥐의 간조직으로부터 마이크로 좀의 분리는 Phol과 Fouts의 방법 을 참고하여 실시하였다. Cytochrome P450 1A1 은 ethoxyresorufin-0-deethylase(EROD)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 01 mM DFMOS- 처리하여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용해하여 Nam 등의 방법 '4)으로 ODC 활성을 즉정하였다. ODC specific activity 는 pmol 14CO2/h/mg protein으로 나타내며, ODC 활성 억제는 TPA만 처리한 조절 군에 대한 각 시료들의 저해도 정도를 %로 나타내었다.
  • Gelatin zymography - TPA에서 유도되어진 MmEP-9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Overall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gelatin zymography를 실시하였다. MCF-7 cells을 5 x 105 cells의 농도로 6 well plate에 분주하고 24시간 후 단삼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Zhou, C., Zhou, D., Esteban, J., Murai, J., Sitteri, P. K., Wilczynski, S. and Chen, S. (1996) Aromatase gene expression and its exon I usage in human breast tumors. Detection of aromatase messenger RNA by reverse trns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J. Steroid Biochem. Mol. Biol. 59: 163-171 

  2. Forrester, L. M., Hates, J. D., Millis, R., Barnes, D., Harris, A. L., Schlager, J. J., Powis, G. and Wolf, C. R. (1990) Express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s and cytochrome P450 in normal and tumor breast tissue. Carcinogenesis 11: 2163-2170 

  3. Li, L., Carol, T. and Susan, K. G. (2000) Inhibition of ornithine decarboxylase decreases tumor vascularization and reverse spontaneous tumors in ODC/Ras transgenic mice. Cancer Res. 60: 5696-5730 

  4. Huber, M. and Poulin, R. (1996) Permissive role of polymines in the cooperative action of estrogens and insulin or insulin-like growth factor I on human breast cancer cell growth. J. Clin. Endocrinol. Metab. 81: 113-123 

  5. Chambers, A. F. and Matrisian, L. M. (1997) Changing views of the role of matix metalloproteinases in metastasis. J. Natl. Cancer Inst. 89: 1260-1270 

  6. Chang, C. and Werb, Z. (2001) The many faces of metalloproteases: cell growth, invasion, angiogenesis and metastasis. Trends Cell Biol. 11: s37-s42 

  7. Hong, M. K., Cho, K. Y., Oh, S. J., Kim, K. M. and Yu, S. J. (2002) Implication of the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2 on the metastasis in breast cancer. J. Korea Surg. Soc. 62: 18-25 

  8. Mok, J. S., Kim, Y. M., Kim, S. H. and Chang, D. S. (1995) Antimicrobial proper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J. Food Hyg. Safety 10: 23-28 

  9. Lee, Y. J. and Lee, S. Y. (1992) Parmacognosy, 131-137, Dong Myeung Sa, Seoul, Korea 

  10. Kim, O. H., Chung, S. Y., Park, M. K., Rheu, H. M. and Yang, J. S. (1999) Anticancer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including Salvia miltiorrhiza. J. Appl. Pharmacology 7: 29- 34 

  11. Pohl, R. J. and Fouts, J. R. (1980) A rapid method for assaying the metabolism of 7-ethoxyresorufin by microsomal subcellular fractions. Anal. Biochem. 107: 150-155 

  12. Rodrigues, A. D. and Prough, R. A. (1991) Induction of cytochromes P450 1A1 and P450 1A2 and measurement of catalytic activities. Methods Enzymol. 206: 423-431 

  13. Thompson, E. A. and Siiteri, P. K. (1974) Utilization of oxygen and reduce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by human placental microsomes during aromatization of androstenedione. J. Biol. Chem. 249: 5364-5372 

  14. Nam, K. S., Son, O. L., Lee, K., H., Cho, H. J. and Shon, Y. H. (2004) Effect of Cnidii Rhizoma on profliferation of breast cancer cell, nitric oxide production and ornithine decarboxylase activity. Kor. J. Pharmacogn. 35: 283-287 

  15. Overall, C. M., Wrana, J. L. and Soddek, J. (1989) Independent regulation of collagenase, 72 kDa progelatinase, and metalloendoproteinase inhibitor expression in human fibroblasts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J. Biol. Chem. 264: 1860-1869 

  16. Manni, A., Astrow, S. H., Gammon, S., Thompson, J., Mauger, D. and Washington, S. (2001)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ornithinedecarboxylase in primary and metastaic human breast cancer specimens. Breast Cancer Res. Treat. 67: 147-156 

  17. David, L. and Nesland, J. M. (1994) Expression of laminin, collagen, fibronectin, and type clooagenase in gastric carcinoma. Cancer 73: 518-527 

  18. Rha, S. Y., Kim, J, M., Roh, J. K., Lee, K. S., Min, J. S., Kim, B. S. and Chung, H. C. (1997) Sequential production and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with breast cancer progression. Breast Cancer Res. Treat. 43: 175-18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