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깨의 볶음조건이 참깨박 정유성분의 휘발성 성분 패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same Seed Roasting Conditions on Volatile Component Patterns of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Sesame Mea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0 no.1, 2007년, pp.9 - 13  

이장우 ((주)세계에프엘) ,  윤여철 ((주)세계에프엘) ,  전남규 ((주)세계에프엘) ,  김선호 ((주)세계에프엘) ,  박상순 ((주)세계에프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참깨로부터 참기름을 채유하고 부산물로 얻어진 참깨박을 이용하여 천연 향료의 원료를 얻기 위하여 참깨의 전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각각 2종의 참기름과 참깨박을 얻었다. 참깨의 볶음온도를 200$^{\circ}C$, 220$^{\circ}C$로 차등화하여 얻어진 참기름 A, B는 각각 1,397.1 ppm, 1,518.8 ppm이었고, 참깨박 A, B는 각각 663.2 ppm, 775.3 ppm 및 참기름향은 16,507.9 ppm으로 차이를 보였다. 2종의 참기름에서 공통적으로 주요 휘발성 성분은 pentane, 2-butanone, pyrazine, methyl pyrazine, 2,5- 및 2,6-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 guaiacol, 4-vinylguaiacol 이었다. 총 26종의 성분 중 pyrazine류는 각각 834.4 ppm, 816.4 ppm으로 전체의 59.72%, 53.75%를 차지하여 이 성분이 참기름의 향기를 결정해 주는 가장 큰 영향인자로 판단된다. 2종의 참깨박 A, B시료에서 주요 휘발성 성분은 2-butanone, hexanal, pyrazine, 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로 참기름과는 차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참기름 향료에서는 총 16,507.9 ppm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고, 주요 성분은 2-butanone, guaiacol, 4-vinylguaiacol이 각각 1,000 ppm 이상으로 전체의 35.02%를 차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esame oils and sesame meals(A, B) were obtained from roasted sesame at $200^{\circ}C$ and $220^{\circ}C$, respectively. The total volatile component(VC) contents of these samples(A, B) were as follows : The sesame oils had 1,397.1 ppm and 1,518.8 ppm, and the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모든 아미노산은 질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어떤 model system의 경우에도 pyr- azine류를 생성할 수 있지만 그 생성량은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f. 그러나 thiazole류 또는 thiophene류와 같은 함유황 이원자고리 화합물의 생성을 위해서는 유황 공급원으로써 cysteine이나 methionine과 같은 아미노산이 반응물 중에 있을 때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 이와 같은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참기름 제조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어 대부분 사료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참깨 박으로부터 정유 성분을 얻어 이를 향료의 구성성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그 기초자료를 조사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eath, HB and Reineccius, G. Flavor Chemistry and Technology, pp.71-111. Macmillan Publishers. 1986 

  2. Min, SS. Preparation of meat flavor using Maillard reaction. Thesis of master degree, Yonsei University. 1996 

  3. Birch, GG and Lindly, MG. Development in food flavors. pp.173-224. Elsevier Applied Science. 1986 

  4. Takken, HJ, van der Linde, LM, Boelens, M and van Dort, JM. Olfactive properties of a number of polysubstituted pyrazines. J. Agri. Food Chem. 23:638-644. 1975 

  5. Shibamoto, T, Akiyama, T, Sakaguchi, M, Enomoto, Y and Masuda, H. A study of pyrazine formation. J. Agric. Food Chem. 27:1027-1031. 1979 

  6. Shibamoto, T and Bernhard, RA. Effect of time, temperature and reaction ratio on pyrazine formation in model systems. J. Agric. Food Chem. 24:847-851. 1976 

  7. Sakaguchi, M and Shibamoto, T. Formation of sulfur-contaiing compounds from the reaction of D-glucose and hydrogen sulfide. J. Agric. Food Chem. 26:1260-1264. 1978 

  8.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5 

  9. Schultz, TH, Flath, RA, Mon, TR, Enggling, SB and Teranishi, R.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5:446-451. 1977 

  10. Koo, BS. The development of seasoning oils preparation. Thesis of Doctor Degree, Sungshin Women's University. 1992 

  11.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ersion 8.0, Cary, NC, USA. 2001 

  12. Ha, JH. Characteristic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he oil from roasted sesame seed. Kor. J. Food Sci. Technol. 29:1101-1104. 1997 

  13. Ha, JH and Kim, DH.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eals from the defatted sesame seeds at various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Kor. J. Food Sci. Technol. 28:245-252. 1996 

  14. Nakamura, S, Nishimura, O, Manasuda, M and Mihara, S. Identification of volatile flavour compounds of the oil from roasted sesame seeds. Agric. Biol. Chem. 53:1891-1895. 1989 

  15. Ha, J. Analysis of volatiles in sesame oil colle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SDE) and dynamic headspace sampling(DHS). Analytical Sci. Technol. 9:399-444. 1996 

  16. Manley, CH, Vallon, PP and Erickson, RE. Some aroma compounds of roasted sesame seed(Sesamum indicum L.). J. Food Sci. 39:73-78. 1974 

  17. Kim, DH. Food Chemistry, p.73. Tamgudang, Seoul, 1989 

  18. Lee, YG, Lim, SU and Kim, JO. Influence of roasting conditions on the flavour quality of sesame seed oil. J. Kor. Agric. Chem. Soc. 36:407-415. 1993 

  19. Yoon, HN. Sensory characterization of roasted sesame seed oils using gas chromatographic data. Kor. J. Food Sci. Technol. 28:298-304. 1996 

  20. Han, JS, Moon, SY and Ahn, SY. Effects of oil refining processes on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tive substances of sesame oil. Kor. J. Food Sci. Technol. 29:15-20. 1997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