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연어(Oncorhynchus keta) 에 대한 관심은 1980년대 양양내수면연구소가 설치된 이후에 크게 증가하였다. 그 이후 연어방류사업이 점차 확대되어 최근에는 한반도의 18 개 하천에서 연어가 방류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연어에 대한 충분한 연구 투자가 선행되지 않아, 연어에 대한 생태학적 이해는 부족한 편이다. 특히 지구환경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급격히 바뀌었고, 연어 개체군의 생물학적 특성도 변화하는 환경의 영향을 받아왔다. 연어 분포의 남방한계선에 있는 우리나라의 연어는 기후 및 해양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므로, 향후의 환경 변화를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특별호에서는 북태평양에서 연어가 차지하는 수산생태학적 위치를 개괄하였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행 중인 연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였다. 본 특별호가 우리나라 연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est in chum salmon(Oncorhynchus keta) biology I Korea has increa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Yangyang Inland Hatchery of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during mid 1980s. The enhancement program of chum salmon was expanded thereafter, so that chum salmon were tra...

주제어

참고문헌 (29)

  1. 김수암, 강수경, 서현주, 김은정, 강민호, 2007. 북태평양 기후변화와 연어 생산력 변동. 한국해양학회지-바다(본 특별호) 

  2. 로춘봉, 1986. 곱추송어의 성장과 수량변동 경향에 대한 연구. 수산과학기술론문집. 공업출판사, 평양, pp. 110-117 

  3. 손용호, 1980. 조선동해어류지. 과학, 백과사전 출판사, 평양, 464 pp 

  4. 이채성, 성기백, 이철호, 2007. 연어 방류사업의 역사와 현황. 한국해양학회지-바다(본 특별호) 

  5.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727 pp 

  6. 정웅식, 이윤호, 김수암, 진덕희, 성기백. 2003. 유전적 형질에 의한 북태평야 연어(chum salmon, Oncorhynchus keta)의 계군구분. 한국수산학회지, 36: 578-585 

  7. 정웅식, 이윤호, 신형철, 성기백, 김수암, 2001. Microsatelllite DNA를 이용한 연어(O. gorbuscha, pink salmon)의 구분. 한국수산자원학회지, 4: 30-41 

  8. Beamish, R.J., D.J. Noakes, GA. McFarlane, L. Klyashtorin, V.V. Ivanov and V. Kurashov, 1999. The regime concept and natural trends in the production of Pacific salmon. Can. J. Fish. Aquat. Sci., 56: 516-526 

  9. Francis, R.C. and S.R. Hare, 1994. Decadal-scale regime shifts in the large marine ecosystem of the North-east Pacific: a case for historical science. Fish. Oceanogr., 3: 279-291 

  10. Fukuwaka, M. and T. Suzuki, 2000. Density-dependence of chum salmon in coastal waters of the Japan Sea. N. Pac. Anadr Fish Comm. Bull., 2: 75-81 

  11. Groot, C. and L. Margolis, 1991. Pacific salmon life histories. UBC Press. Vancouver, 564 pp 

  12. Hahn, S.D., 1994. SST warming of Korean coastal waters during 1881-1990. KODC Newsletter, 24: 29-37 

  13. Kaeriyama, M., 2003. Evaluation of carrying capacity of Pacific salmon in the North Pacific Ocean for ecosystem-based sustainable conservation management. N Pac. Anadr. Fish Comm. Tech. Rep., 5: 1-4 

  14. Kaeriyama, M., S. Urawa, M. Fukuwaka, K. W. Myers, N.D. Davis, S. Takagi, H. Veda and K. Nagasawa, 1998. Ocean distribution, feeding ecology, and return of Pacific salmon in the 1997 EI Nino event year. N Pac. Anadr. Fish Comm. Tech. Rep., In: K. Myers (ed.), Workshop on climate change and salmon production, Vancouver, Canada, pp. 22-24 

  15. Kang, S. and S. Kim, 2004. Comparis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from the eastern and western North Pacific. J. Korean Soc. Fish. Res., 6: 153-162 

  16. Karpenko, V., 2003. Review of Russian marine investigations of juvenile Pacific salmon. N. Pac. Anadr. Fish Comm. Bull., 3: 69-88 

  17. Kim, G.-E., Y.-H. Lee, G. Kang, C.-g. Kim, W. Jung, K.-B. Seong, J.E. Seeb, S. Kim, and S. Kang. in press.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the Chum Salmon in the North Pacific. N Pac. Anadr. Fish Comm. Bull., 4 

  18. Mahnken, C., G. Ruggerone, W. Waknitz and T. Flagg, 1998. A historical perspective on salmonid production from Pacific rim hatcheries. N. Pac. Anadr. Fish Comm. Bull., 1: 38-53 

  19. Mayama, H. and Y. Ishida, 2003. Japanese studies on the early ocean life of juvenile salmon. N. Pac. Anadr. Fish Comm. Bull., 3: 41-67 

  20. NPAFC. 2002. Statistical yearbook 1998. N. Pac. Anadr. Fish Comm., 28 pp 

  21. Salmon Research Team, 2006. Korean Chum Salmon Catch Statistics and Hatchery Releases in 2005 and 2006. Ea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NFRDI, Korea. N. Pac. Anadr. Fish Comm. Doc. 972, 3 pp 

  22. Sato, S., J.Ando, H. Ando, S. Urawa, A. Urano and S. Abe, 2001. Genetic variation among Japanese populations of chum salmon inferr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Zool. Sci., 18: 99-106 

  23. Sato, S., H. Kojima, J.Ando, H. Ando, R.L. Wilmot, t.w Seeb, V. Efremov, L. LeClair, W. Buchholz, D. Jin, S. Urawa, M. Kaeriyama, A. Urano and S. Abe, 2004.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of chum salmon in the Pacific Rim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sequence variation. Environ. Biol. Fish., 69: 37-50 

  24. Seo, H., S. Kim, K. Seong and S. Kang, 2006. Variability in scale growth rate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s in the late 1980s. Prog. Oceanogr., 68: 205-216 

  25. Sohn, D., S. Kang and S. Kim, 2005. Stock identification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using trace elements in otoliths. J. Oceanogr., 61: 305-312 

  26. Urawa, S., 2000. Ocean migration route of Japanese chum salmon with a reference to future salmon research. National Salmon Resources Center Newsletter, 5: 3-9. (In Japanese) 

  27. Wada, K. and Y. Ueno, 1999. Homing behavior of chum salmon determined by as archival tag. N. Pac. Anadr. Fish Comm. Doc. 425,29 pp 

  28. Ware, D.M., 1978. Bioenergetics of pelagic fish: Theoretical change in swimming speed and ration with body size. J. Fish. Res. Board Can., 35: 220-228 

  29. Weihs, D., 1973. Optimal fish cruising speed. Nature, 245: 48-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