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적 타원 형태의 충전제를 함유하는 복합체의 열팽창 계수 연구
Study o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for Composites Containing 3-Dimensional Ellipsoidal Inclusion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1 no.3, 2007년, pp.206 - 214  

이기윤 (충남대학교 고분자바이오재료공학과) ,  김경환 (충남대학교 고분자바이오재료공학과) ,  정선경 (충남천안시 자동차부품연구소) ,  전형진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주상일 (충남대학교 고분자바이오재료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차원적 타원체 형태 ($a_1>a_2>a_3$)를 사용하여, 2가지의 종횡비 (1차 종횡비 $\rho_{\alpha}$와 2차 종횡비 $\rho_{\beta}$)를 갖는 배열된 3차원 형태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복합체의 열팽창 변화를 이론적으로 예측하는 모델을 연구하였다. Eshelby의 등가 텐서를 이용하여 배열된 타원형 충전제를 기지재의 이론에 의해 열팽창 계수를 예측할 수 있었다. 종단방향 열팽창 계수 ${\alpha}_{11}$는 두 가지 종횡비 모두 증가하면, 감소하여 충전제의 열팽창에 접근한다. 수직방향 열팽창 계수 ${\alpha}_{33}$는 충전제 함유량에 따라 초기에는 증가하여 최대값을 갖는 경향을 보인다. 1차 종횡비 $\rho_{\alpha}$가 증가하면, 횡단방향 열팽창 계수는 감소하나, 2차 종횡비 $\rho_{\beta}$가 증가하면, 같이 증가한다. 또한, 수직방향 열팽창 계수 ${\alpha}_{33}$$\rho_{\alpha}$가 증가하면 증가하나, $\rho_{\beta}$가 증가하면, ${\alpha}_{33}$는 반대로 감소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heoretical study is developed for predicting the thermal expansion changes of composites which include complex inclusion, which is used three-dimensional ellipsoid model ($a_1>a_2>a_3$), which has two aspect ratios (the primary aspect ratio, $\rho_{\alpha}=a_1/a_3$ an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MT 충전제로 강화된 열가소성 올레핀 고분자(TPO)의 기계적 물성과 열팽창 거동의 관계는 Lee와 그 연구자들에 2122 의해 보고되어졌다. 나노복합체의 열팽창 거동에 있어서 탄성체 영역과 충전제 입자의 영향은 투과전자현미경 (TEM) 과원자현미경 (AFM)을 사용하여 조사되어 본 연구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보여준다.
  • 충전강화 효과는 MMT의 박리에 의해 판상의 길이와 두께의 비, 즉 종횡비에 따라 크게 변하였다. 박리가 잘되는 MMT 의 처리나 낮은 용융 점도를 갖는 나일론6 복합체에 관한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Shah와 Paul은 에틸렌과 이오노머 나노 복합체를 연구하였고 용융혼합공정 중에 masterbatch에 의한 영향에 관해 실험하였다.
  • 또한 2차원 모델에 관한 Lee의 연구를' 통해서 종단 방향으로의 열팽창계수는 충전제의 함량에 따라 감소하지만, 횡단 방향으로는 충전제의 함량에 따라 열팽창 계수가 초기에는 증가하는 현상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특정 방향에서 열팽창 계수가 변화하는 현상을 설명하고자 3차원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왔다.「13 복합체의 기계적, 열적 거동 특성은 함유된 충전제의 특성과 형상 및 함유량에 따라 변화 폭이 크다. 또한 복합체의 물성을 예측하기 위한 이론적인 연구와 실험적인 시도가 병행되어 왔다.
  • 첫째로 기지재와 충전제의 기계적, 열적 특징은 복합체 안에서 균일하고 등방성이며, 선형적 탄성체이며,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충전제의 함량은 탄성의 기지재 안에 충분히 크며, 균일하게 분산되었고, 복합체 안에서 충전제끼리의 거리는 충분히 떨어져 있그리고 고분자 기지재와 충전제는 서로 잘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복합체는 미시적으로 불균일하지만, 거시적으로 균일하다는 가정하에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 가정이 필요하다. 첫째로 기지재와 충전제의 기계적, 열적 특징은 복합체 안에서 균일하고 등방성이며, 선형적 탄성체이며,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충전제의 함량은 탄성의 기지재 안에 충분히 크며, 균일하게 분산되었고, 복합체 안에서 충전제끼리의 거리는 충분히 떨어져 있그리고 고분자 기지재와 충전제는 서로 잘결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복합체는 미시적으로 불균일하지만, 거시적으로 균일하다는 가정하에 이론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 Y. Lee, K. H. Kim, H. J. Jun, and S. I. Joo, Polymer(Korea), 31, 160 (2007) 

  2. G. P. Tandon and G. J. Weng, Polym. Compos., 5, 327 (1984) 

  3. T. S. Chow, J. Polym. Sci., Polym. Phys. Ed., 16, 959 (1978) 

  4. T. S. Chow, J. Polym. Sci., Polym. Phys. Ed., 16, 967 (1978) 

  5. K. Y. Lee and D. R. Paul, Polymer, 46, 9064 (2005) 

  6. T. Mura, Micromechanics of Defects in Solids, 2nd Ed., The Hague, Martinus Nijhoff, p.74 (1987) 

  7. P. J. Yoon, T. D. Fornes, and D. R. Paul, Polymer, 43, 6727 (2002) 

  8. B. Yalcin and M. Cakmak, Polymer, 45, 6623 (2004) 

  9. J. D. Eshelby, Proc. Roy. Soc. London, A241, 376 (1957) 

  10. T. Mori and K. Tanaka, Acta Metall., 21, 571 (1963) 

  11. J. C. Halpin, AFML, TR 67-423 (1969) 

  12. J. C. Halpin, Primer on Composite Msterisls Analysis, Technomic Pub. Co. Inc., Lancaster, 1992 

  13. R. A. Schapery, Compos. Mater., 2, 380 (1968) 

  14. T. D. Fornes and D. R. Paul, Polymer, 44, 3945 (2003) 

  15. T. D. Fornes and D. R. Paul, Polymer, 44, 4993 (2003) 

  16. R. K. Shah and D. R. Paul, Polymer, 45, 2991 (2004) 

  17. R. K. Shah and D. R. Paul, Polymer, 47, 4075 (2006) 

  18. R. K. Shah, R. K. Krishnaswamy, S. Takahashi, and D. R. Paul, Polymer, 47, 6187(2006) 

  19. D. M. Laura, H. Keskkula, J. W. Barlow, and D. R. Paul, Polymer, 44, 3347 (2003) 

  20. D. M. Laura, H. Keskkula, J. W. Barlow, and D. R. Paul, Polymer, 44, 3347 (2003) 

  21. H.-S. Lee, P. D. Fasulo, W. R. Rodgers, and D. R. Paul, Polymer, 46,11673(2005) 

  22. H.-S. Lee, P. D. Fasulo, W. R. Rodgers, and D. R. Paul, Polymer, 47, 3528 (2006) 

  23. R. Hill, J. Mech. Phys. Solids, 11, 357 (1963) 

  24. C. L. Tucker and E. Liang, Compos. Sci. Technol. 59, 655 (1999) 

  25. Y.-C. Ahn and D. R. Paul, Polymer, 47, 2830 (2006) 

  26. H. A. Stretz, D. R. Paul, and P. E. Cassidy, Polymer, 46, 3818 (2005) 

  27. H. A. Stretz, D. R. Paul, R. Lib, H. Keskkula, and P. E. Cassidy, Polymer, 46, 2621 (2005) 

  28. R. K. Shah, D. L. Hunter, and D. R. Paul, Polymer, 46, 264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