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라산국립공원의 조류군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rd Community in Halla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1 no.2, 2007년, pp.149 - 160  

전병선 (국립중앙과학관) ,  유재평 (국립중앙과학관) ,  백인환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환경연구소) ,  오홍식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과학교육과) ,  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라산국립공원의 조사지역에서 2006년 4월부터 2007년 2월까지 3차례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찰된 조류는 38종 2,323개체였다. 이 중 텃새가 27종이었고, 여름철새가 6종, 겨울철새가 2종, 통과새가 3종이었다. 최우점종은 큰부리까마귀(14.81%)였으며, 다음은 직박구리(12.66%), 방울새(10.33%), 까마귀(8.44%), 곤줄박이(6.72%) 등의 순이었다. 산록도로지 역(A지역)에서는 31종 1,630개체의 조류가 관찰되었고, 탐방로지역(B지역)의 27종 693개체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H')는 $1.34{\sim}2.56$의 범위에서 봄 조사시 A지 역에서 종다양도 2.56으로 가장 높았고. 겨울 조사시 B지역에서 1.34로 가장 낮았다. 고도별로 각 종들의 분포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것은 고도에 따른 기상요건과 먹이원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bird community structure within the boundaries of Hallasan National Park. The surveys were made during April 2006 to February 2007, and the birds were identified and the individual number of those birds was counted up to 38 speci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조사는 한국환경생태학회에서 한라산국립공원 학술 조사 일환으로 실시하였으며, 고도별로 다양한 식생분포 대를 이루고 있는 한라산에 분포하는 고도별 조류상을 파악하여 한라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조류의 효율적인 보호와 관리방안을 마련하기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내무부(1992)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한라산국립공원-158-162쪽 

  2. 백운기, 이한수, 한성우(2003) 한라산국립공원 생태계연구. 국립중앙과학관학술총서 39: 167-186 

  3. 박행신(1983) 제주도 한라산 산림조류의 군집구조에 관한 분석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쪽 

  4. 박행신(1984) 한라산 북사면 산림조류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논문집, 19: 171-184 

  5. 박행신, 원병오(1985) 한라산 산림조류의 군집구조 조사분석 연구. 한라산 천연보호지구 학술조사보고서 481-522쪽 

  6. 박행신, 원병오, 소대진(1985) 제주도 조류의 개관. 한라산 천연보호지구 학술조사보고서 56-81쪽 

  7. 소대진, 박행신(1987) 한라산 산림조류의 군집에 관한 연구 -관음사와 어리목 등산로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과학 교육연구소 과학교육 4: 93-126 

  8. 오홍식, 김병수, 김완병(2002) 한라산의 조류군집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9(2): 85-104 

  9. 원병오(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1,064쪽 

  10.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 상록재단, 서울, 320쪽 

  11. 채희영, 박종길(2005) 설악산국립공원의 아고산지대와 저지대의 조류군집구조. 한국조류학회지 12(1): 17-25 

  12. 최재식(1991) 한국산 산림조류의 서식생태와 중금속 축적. 경상대학교 대학원논문. 5-44쪽 

  13. 하경삼(1991) 지리산의 고도별 조류분포에 관한 생태학적인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논문, 163-187쪽 

  14. 함규황, 백운기, 유재평, 최재식(1992) 지리산 산림조류의 서식실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환경연구소 연구보고 14: 113-128 

  15. Bibby, C.J., N.D. Burgess and D.A. Hill(1992) Bird census technique,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UK, 257pp 

  16. Feeny, P, (1970) Seasonal changes on oak leaf tannin and nutrients as a cause of spring feeding by winter moth caterpillars. Ecology 51: 565-581 

  17. Neave, H.M., R.B. Cunningham, T.W. Norton and H.A. Nix(1996) Biological inventory for conservation evaluation III. Relationships between birds,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attributes in southern Austral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85: 197-218 

  18.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Champaign, 117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