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얼갈이배추김치,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의 저장 중 품질특성 및 질산염 함량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Nitrate Contents in Ulgari-Baechu Kimchi, Yulmoo Kimchi and Yulmoo Mul-Kimchi during Storage Peri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6, 2007년, pp.794 - 799  

박영희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서해정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조인영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한귀정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  전혜경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얼갈이배추김치, 열무김치 및 열무물김치를 제조하여 저장기간 동안 품질특성 및 질산염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얼갈이배추김치와 열무김치는 실온 숙성을 거쳐 저장 4일까지 pH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난 반면 열무 물김치는 저장기간 18일 동안 pH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산도의 경우 얼갈이배추김치와 열무김치는 pH 변화와 반비례하여 저장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열무물김치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열무김치와 얼갈이배추김치의 경우 발효 4일부터 18일까지 최대치를 기록한 후 감소하였다. 반면 열무물김치의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발효 4일째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김치의 발효과정 중 미생물 변화의 결과는 일반 배추김치에서의 미생물 변화 양상과 유사하였다. 질산염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얼갈이배추김치의 질산염은 담금 직후와 비교하여 실온 발효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이후 저장기간에도 감소가 지속되어 담금 직후 대비 11%가량 감소폭을 나타내었다. 열무김치와 열무물김치의 질산염 함량도 비슷한 변화 양상을 보이며 열무물김치는 담금 직후 대비 12%, 열무물김치는 5%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trate cont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Ulgari-Baechu Kimchi, Yulmoo Kimchi, and Yulmoo Mul-Kimchi were investigated during a storage period. In case of Ulgari-Baechu Kimchi and Yulmoo Kimchi, an increase of pH and decrease of acidity were distinguished by the 4th day of the storage after 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채소의 주요 공급원인 김치의 질산염 함량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대부분 배추 및 무 김치에 한정되어 있고(12-14) 그 밖의 재료를 이용한 다양한 별미 김치들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싶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별미김치 중 대표적인 봄철 김치인 얼같이배추김치와 여홈 김치인 열무김치 및 열무믈김치의 발효에 의한 품질특성 및 질산염 함량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Ensminger AH, Ensminger NE, Konlande JE, Robinson JRK. 1994. Food & Nutrition Encyclopedia. 2nd ed. CRC Press, London. Vol 2, p 1596-1601 

  2. Fox RH, Roth GW, Iversen KV, Piekielek WP. 1989. Soil and tissue nitrate tests compared for predicting soil nitrogen availability to corn. Agronomy J 81: 971-974 

  3. Sumiko T, Masako K, Yukihiro M, Tadashi S, Noboru K, Kazuko W, Sachiko U, Shigeaki I, Kazuya F, Hiroshi S, Yoshio I. 1993. Naturally occurring of nitrite and nitrate existing in various raw and processed foods. J Food Hyg Soc Japan 34: 294-313 

  4. Hotchkiss JH. 1998. A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on N-nitroso compounds in foods. Advanced in Food Research 31: 54-115 

  5. WHO. 1995.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44th Repo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859, p 29-35 

  6. Chung SY, Sho YS, Kim M, Won KP, Hong MK. 1999. Analysis of nitrate contents of some vegetables grown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69-972 

  7. Frommberger R. 1985. Nitrate, nitrite, nitrosamine in Lebensmitteln Pflanzenlcher Herkunft. Ernahrungs- Umschau 32: 47-50 

  8. Heisler EG, Siciliano J, Krulick S, Feninberg J, Schwartz JH. 1974. Changes in nitrate and nitrite content and search for nitrosamines in storage abused spinach and beet. J Agric Food Chem 22: 1029-1032 

  9. Laitinen S, Virtanen SM, Rasanen L, Penttila PL. 1993. Calculated dietary intakes of nitrate and nitrite by young Finns. Food Addit Contam 10: 469-477 

  10. Gangoli SD, Van den Brandt PA, Feron VJ, Janzowsky C, Koeman JH, Spiegelhalder B, Walker R, Wishnok JS. 1994. Assessment of nitrate, nitrate and N-nitroso compound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Pharmacology Section 292: 1-38 

  11. Korean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3rd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 Nutrition Survey (I). Korean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p 117 

  12. Namkung S. 1982. Effect of storage on pH and the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of various Kimchi. Annual Bulletin of Seoul College of Health 2: 71-77 

  13. Kim BY, Yoon S. 2003. Analysis of nitrate contents of Korean common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79-784 

  14. Lee JY, Park YH, Jang BC, Kim SC, Kim PJ, Ryu SN. 2005. Variation of nitrate contents on distributed vegetables in Korea. Korean J Crop Sci 50: 231-238 

  15. Difco Laboratories. 1984. Difco Manual. 10th ed. Difco Laboratory, Michigan 

  16. Schwedt G, Schnepel FM. 1981. Analytisch-chemisches Umweltpraktikum.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New York. p 92 

  17. Hong SI, Park JS, Park NH. 1995. Quality change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by different packag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12-118 

  18. Kim GE, Lee YS, Kim SH, Cheong HS, Lee JH. 1998. Changes of chlorophyll and their derivative contents during storage of Chinese cabbage, leafy radish and leaf mustar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52-857 

  19. Kong CS, Kim DK, Rhee SH, Rho CW, Hwang HJ, Choi KL, Park KY. 2005.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young radish Kimchi and young radish watery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311-316 

  20. Shin DW, Kim MS, Han JS, Lim DK, Bak WS. 1996.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37-145 

  21. Pie JE, Jang MS. 1995. Effect of preparation methods on Yulmoo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4: 990-997 

  22. Mheen TI, Kwon TW, Lee CH. 1981. Traditional fermented food products in Korea. Kor J Appl Microbiol Bioeng 9: 253-261 

  23. Kim KO, Kim WH. 1994.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24-330 

  24. Jang MS, Park JE.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juice on Yulmoo Mul-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511-519 

  25. Kim HR, Park JE, Jang MS. 2002. Effect of perilla seed paste on the Yulmoo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290-299 

  26. Kong CS, Seo JO, Bak SS, Rhee SH, Park KY. 2005.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and $CO_2$ levels of Nabak Kimchi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07-714 

  27. Moon SW, Cho DW, Park WS, Jang MS. 1995.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on Tongchim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1-18 

  28. Park WP, Park KD. 2004. Effect of whey calcium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1: 34-37 

  29. Kim DG, Kim BK, Kim MH. 1994. Effect of reducing sugar content in Chinese cabbage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3: 73-77 

  30. Kim MH, Chang MJ. 2000. Fermentation property of Chinese cabbage Kimchi by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3: 7-11 

  31. Shin JH, Kang MJ, Yang SM, Kim HS, Sung NJ. 2002.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in vegetables and fruits. J Fd Hyg Safety 17: 101-105 

  32. Lee JH, Choi JS. 1993. Influence of some flavonoids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Nutr 22: 266-2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