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농법에 의해 재배된 열무김치의 품질 및 기능적 특성
Physi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ung Radish (Yulmoo) Kimchi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197 - 1206  

정수진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  소병옥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  신상욱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영양치료학과) ,  노순옥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  정은수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  채수완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식품임상시험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친자연개발퇴비열무(YR-FNC), 일반퇴비열무(YR-GC)와 일반관행농법인 화학비료로 재배한 일반열무(YR-Control)로 김치를 제조하여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른 품질특성, 관능적 특성 및 기능성에 대한 차이를 관찰하였다. 열무의 일반영양성분 중 수분 및 조단백질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YR-FNC, YR-GC)보다 일반열무(YRControl)에서 높았으나 식이섬유소 및 비타민 C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에서 높았다. 무기질 중 인과 구리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가 높은 반면 질소, 칼륨,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아연의 함량은 일반열무(YR-Control)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반열무김치(YR-Control)는 발효진행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이 되어 적숙기 pH에 빨리 도달하였고, 유기농 열무김치(YR-FNC, YR-GC)는 발효가 서서히 진행되어 저장성이 길어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당초 열무김치 담금 초기(0일)부터 열무김치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유기농 열무김치(YR-FNC, YR-GC)의 경우 일반열무김치(YR-Control)에 비해 약 1.5~3배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발효기간이 경과되면서 일반열무김치(YR-Control)와 유기농 열무김치(YR-FNC)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김치 발효 7일째에 김치의 젖산균인 lactic acid bacteria 함량과 총 균수(total microbial)는 일반열무김치(YRControl)에 비해 유기농 열무김치(YR-FNC)에서 높은 수준이었다. 발효기간이 경과하면서 유기농 열무김치는 관능적 품질의 특성이 우수하였고 저장성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일반관행농법으로 재배한 일반열무 김치에 비해 유기농 열무김치를 섭취함으로써 맛의 증진 효과뿐만 아니라 고기능성 생리활성물질을 높게 섭취할 수 있어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physi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ung radish kimchi made with YR-FNC or YR-GC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as well as kimchi made with young radish cultivated by chemical composting/general farming (YR-Control). YR-Control showed higher conten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과 환경보존이라는 명제 하에 안전한 먹거리 생산이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는 시점에서 열무의 영양학적이고 기능적 특성에 대하여 일반관행농산물과 유기농산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구명하는 것은 중요하며 우리농산물의 가치 향상과 자연환경 보호 측면에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으로 재배하여 생산된 열무김치의 품질 및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유기농 열무와 일반열무의 화학적 품질특성, 기능성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한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농산물에 주목하는 이유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에 따라 화학비료와 유기합성농약의 사용을 줄이면서 퇴비나 생물농약 등을 사용하여 농산물을 생산하는 친환경적 농법이 점차 확대 되고 있다(1). 유기농산물에 주목하는 이유는 자연환경 보호, 가축복지 향상, 맛의 증진 및 건강상의 이점 등 때문이다. 그러나 유기재배 농작물이 화학비료와 농약으로 재배한 것보다 건강에 좋은 생리활성물질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2-4)와 그렇지 않다(5,6)는 이견에 대한 상충되는 면이 많아 논란의 여지가 되고 있는 실정이며 유기재배와 관행농법으로 재배한 농작물의 영양 및 기능적 차이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7-16).
한국인에게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김치의 주원료인 열무는 어떤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어떤 개발 가능성이 높은가? 특히 열무(Raphanus sativus)는 십자화과 채소로써 잎에는 비타민 A, 비타민 C, 칼슘 및 철분 등 무기질의 함량이 많아 영양학적 가치가 높고 열무김치는 배추김치에 비해 클로로필의 함량이 높고 식이섬유소가 풍부하다(19). 열무에는 비타민과 유기황화합물인 glutathione, 페놀성 화합물 등 각종 파이토케미컬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돌연변이성,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생리활성성분이 높아 기능성식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20-24).
열무김치는 배추김치에 비해 무엇이 풍부한가? 한국인에게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김치의 주원료인 열무는 우리 식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채소 중 하나이다. 특히 열무(Raphanus sativus)는 십자화과 채소로써 잎에는 비타민 A, 비타민 C, 칼슘 및 철분 등 무기질의 함량이 많아 영양학적 가치가 높고 열무김치는 배추김치에 비해 클로로필의 함량이 높고 식이섬유소가 풍부하다(19). 열무에는 비타민과 유기황화합물인 glutathione, 페놀성 화합물 등 각종 파이토케미컬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돌연변이성,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생리활성성분이 높아 기능성식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20-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Cho SH, Park TH. 2002.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microorganism and seaweed extract application on growth of Chinese cabbage. J of Kowrec 10: 81-85. 

  2. Orhan IE, Senol FS, Ozturk N, Celik SA, Pulur A, Kan Y. 2013. Phytochemical contents and enzyme inhibit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nethum graveolens L. (dill) samples cultivated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agricultural conditions. Food Chem Toxicol 59: 96-103. 

  3. Vinha AF, Barreira SV, Costa AS, Alves RC, Oliveira MB. 2014. Organic versus conventional tomatoes: influence on physicochemical parameters, bioactive compounds and sensorial attributes. Food Chem Toxicol 67: 139-144. 

  4. Pie JE, Jang MS. 1995. Effect of preparation methods on Yulmoo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4: 990-997. 

  5. Woese K, Lange D, Boess C, Bogl KW. 1997. A comparison of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grown foods-Results of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J Sci Food Agric 74: 281-293. 

  6. Soltoft M, Nielsen J, Holst Laursen K, Husted S, Halekoh U, Knuthsen P. 2010. Effects of organic and conventional growth systems on the content of flavonoids in onions and phenolic acids in carrots and potatoes. J Agric Food Chem 58: 10323-10329. 

  7. Magkos F, Arvaniti F, Zampelas A. 2003. Organic food: nutritious food or food for thought? A review of the evidence. Int J Food Sci Nutr 54: 357-371. 

  8. Materska M, Perucka I.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ain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hot pepper fruit (Capsicum annuum L.). J Agric Food Chem 53: 1750-1756. 

  9. Bourn D, Prescott J. 2002. A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value, sensory qualities, and food safety of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produced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42: 1-34. 

  10. Altamimi M, Oh MM, Janke RR, Williams KA, Nelson NO, Rajashekar CB, Rotenberg D, Carey EE. 2009. Organic versus conventional fertilization of pac choi and tomato produced in the field versus high tunnels influences crop yield, plant and soil nitrogen, and phytochemical content. The 2009 ASHS Annual Conference, St. Louis, MO, USA. Poster Board #254. 

  11. Kim KA, Rho CW, Choi KR, Hwang HJ, Choi HS. 2004. Quinone reductase inducer from radish leaf cultivated in the soil containing sulf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946-950. 

  12. Young JE, Wang WQ. 2004. Phytochemical farming: a new age in food, nutrition, and agriculture. Agro Food Ind Hi Tech 15: 38-39. 

  13. Koh E, Charoenprasert S, Mitchell AE. 2012. Effect of organic and conventional cropping systems on ascorbic acid, vitamin C, flavonoids, nitrate, and oxalate in 27 varieties of spinach (Spinacia oleracea L.). J Agric Food Chem 60: 3144-3150. 

  14. Amarowicz R, Carle R, Dongowski G, Durazzo A, Galensa R, Kammerer D, Maiani G, Piskula MK. 2009. Influence of postharvest processing and storage on the content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in foods. Mol Nutr Food Res 2: S151-183. 

  15. Lima GPP, da Rocha SA, Takaki M, Ramos PRR, Ono EO. 2008. Comparison of polyamine,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plants grown under conventional and organic methods. Int J Food Sci Tech 43: 1838-1843. 

  16. Dangour AD, Dodhia SK, Hayter A, Allen E, Lock K, Uauy R. 2009. Nutritional quality of organic foods: a systematic review. Am J Clin Nutr 90: 680-685. 

  17. Bae EJ, Han NR, Kim SU, Kwon HS, Lim SH, Kim YJ, Son DH, Na HY. 2013. Application of microbial fertilizer for eco-friendly production in Raphanus sativus L. and Brassica campestris L.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6: 401-405. 

  18. Shin HJ, Lee SH, Kim BH. 2007 Determination of the calcium contents of vegetables sprayed with liquid calcium fertilizer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using Catreated Korean cabbage. Korean J Biochnol Bioeng 22: 255-259. 

  19. Kim GE, Lee YS, Kim SH, Cheong HS, Lee JH. 1998. Changes of chlorophyll and their derivative contents during storage of Chinese cabbage, leafy radish and leaf mustar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52-857. 

  20. Beevi SS, Narasu ML, Gowda BB. 2010. Polyphenolics profile,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leaves and stem of Raphanus sativus L. Plant Foods Hum Nutr 65: 8-17. 

  21. Sayantan D, Shardendu. 2013. Amendment in phosphorus levels moderate the chromium toxicity in Raphanus sativus L. as assayed by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Ecotoxicol Environ Saf 95: 161-170. 

  22. Baek SH, Park M, Suh JH, Choi HS. 2008.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young radish (Raphanus sativus L) cultivated with sulfur (sulfur-radish extract) and of sulforaphane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Biosci Biotechnol Biochem 72: 1176-1182. 

  23. Bak SS, Kong CS, Rhee SH, Rho CW, Kim NK, Choi KL, Park KY. 2007. Effect of sulfur-enriched young radish kimchi on the induction of apoptosi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 Food Sci Nutr 11: 184-190. 

  24. Kim SJ, Kim BS, Kyung TW, Lee SC, Rho CW, Choi KR, Hwang HJ, Choi HS. 2006. Suppressive effects of young radish cultivated with sulfur on growth and metastasis of B16-F10 melanoma cells. Arch Pharm Res 29: 235-240. 

  25. Choi SY, Oh JY, Yoo JW, Hahn YS. 1998. Fermentation properties of Yulmoo Mulkimchi according to the ratio of water to Yulmoo. Korean J Soc Food Sci 14: 327-332. 

  26. Choi SY, Hahn YS. 1997. The changes of vitamin C content in Yulmoo Mulkimchi according to the shif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Korean J Soc Food Sci 13: 364-366. 

  27. Ko YT, Kang JH. 2003. Quality of freeze-dried yulmoo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54-259. 

  28. Park YH, Seo HJ, Cho IY, Han GJ, Chun HY. 2007.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d nitrate contents in Ulgari-baechu Kimchi, Yulmoo Kimchi and Yulmoo Mul Kimchi during storage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94-799. 

  29. Jang MS, Park JE.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juice on Yulmoo Mul-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511-519. 

  30. Moon SW, Lee MK. 2011. Effects of added harvey powder on the quality of Yulmoo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35-443. 

  31. Kim HR, Park JE, Jang MS. 2002. Effect of perilla seed paste on the Yulmoo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90-299. 

  32. Kim YS, Kim BT. 2007. Effect of food-waste and poultry mature compost on the growth of young radish and the change of soil properties. J Korea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15: 159-170. 

  33. Kong CS, Bak SS, Rhee SH, Rho CW, Kim NK, Choi KL. 2006.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ung radish kimchi prepared using young radish cultivated in the soil containing sulfur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58-163. 

  34. NAA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0. Fertilization application recommendation for crop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95-96. 

  3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88. 

  36. Asp NG, Johansson CG, Hallmer H, Siljestrom M. 1983. Rapid enzymatic assay of insoluble and soluble dietary fiber. J Agric Food Chem 31: 476-482. 

  37.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38.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39. Kong S, Lee J. 2010. Antioxidants in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cultivars. Food Chem 120: 278-281. 

  40. Seong JH, Park SG, Park EM, Kim HS, Kim DS, Chung HS. 2013. Contents of chemical constituents in organic Korean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3: 655-660. 

  41. Kang SS, Kim JM, Byun MW. 1988. Preservation of Kimchi by ionizing radiation. Korea J Food Hygiene 3: 225-332. 

  42. Kim GE, Lee YS, Kim SH, Cheong HS, Lee JH. 1998. Changes of chlorophyll and their derivative contents during storage of Chinese cabbage, leafy radish and leaf mustard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52-857. 

  43. Park JE, Lee JY, Jang M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lmoo Mul kimchi containing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10-1016. 

  44. Lim JH, Park SS, Jeong JW, Park KJ, Seo KH, Sung J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with abalone or sea tang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450-456. 

  45. Mitchell AE, Hong YJ, Koh E, Barrett DM, Bryant DE, Denison RF, Kaffka S. 2007. Ten-year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organic and conventional crop management practices on the content of flavonoids in tomatoes. J Agric Food Chem 55: 6154-6159. 

  46. Selma MV, Martinez-Sanchez A, Allende A, Ros M, Hernandez MT, Gil MI. 2010. Impact of organic soil amendments on phytochemicals and microbial quality of rocket leaves (Eruca sativa). J Agric Food Chem 58: 8331-8337. 

  47. Rru BM, Jeon YS, Song YS, Moon GS. 199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nchovy added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5: 460-4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