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유행혁신성과 기술혁신성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onsumers' Fashion Innovativeness and Technological Innovativeness on Attitudes and Buying Intention toward Smart Clothing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9 no.1, 2007년, pp.35 - 40  

강경영 (호서대학교 패션학과) ,  진현정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 Clothing is digital wear progressed from wearable computer that the function of clothing is unified with that of a computer to extend human ability in everyday life. To study consumers' perception and responses toward the Smart Clothing, this study tested the influence of fashion innovativen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스마트 의류가 패션제품인 동시에 기술혁신 제품임으로 소비자혁신성이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에 적용할 수 있는 혁신성의 2가지 측면, 유행혁신성과 기술혁신성이 현재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상품화되지 않은 혁신제품인 스마트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기술혁신성과 유행혁신성 간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유행혁신성과 기술혁신성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 인지여부에 따른 혁신성과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소비자의 범혁신성으로 스마트 의류의 수용의도를 파악하는 것보다 혁신 대상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특정 분야에 대한 혁신성을 변수에 포함시키는 것이 예측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의류는 전자 기술을 접목한 패션 의류라는 점에서 소비자의 유행혁신성(fashion innovativeness)과 기술혁신성(technological innovativeness)이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연구는 유행혁신성과 기술혁신성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설문지는 응답자가 먼저 유행혁신성과 기술혁신성에 관한 문항과 스마트 의류 인지여부를 묻는 문항에 응답하고 스마트 의류에 관한 자극물을 살펴본 후 태도와 구매의도를 답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스마트 의류에 관한 자극물은 박선형(2000)이 개발한 스마트 자켓 디자인을 바탕으로 스마트의류 관련 최신기술을 모두 적용한 도식화이미지와 기능설명서를 응답자에게 제시하였다. 이는 범용적인 자극물을 제시하는 것이 개발초기단계인 스마트 의류에 대한 다양한 응답자의 반응을 조사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일종인 스마트 의류를 상품화하기 위한 마케팅 기초 조사로서 소비자들이 스마트 의류에 대해 갖는 심리 행동적인 반응인 태도와 구매의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스마트 의류가 패션제품인 동시에 기술혁신 제품임으로 소비자혁신성이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었다.
  • 본 연구는 유행혁신성과 기술혁신성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 인지여부에 따른 혁신성과 스마트 의류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현재 스마트 의류에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을 대부분 적용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디자인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를 묻는 조사로 앞으로 특정 세대나 특정 집단으로 연구대상을 한정하고 그들이 원하는 기능이 부여된 스마트 의류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는 조사가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이 제품이 혁신적이라는 가정 하에 설문을 작성하였으며 이 제품이 얼마나 혁신적인가에 대한 평가는 생략되었다. 제품의 혁신성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유재미(2004)의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소비자들이 느끼는 스마트 의류가 가지고 있는 혁신성 정도를 평가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상임 (2005) DMB서비스를 위한 탐색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경 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유경 (2005) Smart clothing 연구방법론에 관한 고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1(3), 29-35 

  3. 김한나 . 이은영 (2001) 유행동조성과 혁신성에 따른 소비자 세분화 및 준거대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7), 1341-1352 

  4. 김해룡 . 홍신명 . 이문규 (2005) 컨버전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 평가. 한국마케팅저널, 7(1), 1-20 

  5. 박선형 (2000) 웨어러블 컴퓨터(Wiearable computer)개념을 기반으로 한 의류 상품 디자인의 가능성 탐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선형 .이주현 (2001) 웨어러블 컴퓨터 개념을 기반으로 한 의류상품 디자인의 가능성 탐색 1. 한국비지니스학회지, 5(3), 111-128 

  7. 박재진 (2004) 소비자 혁신성이 온라인쇼핑 행동에 미치는 영향. 혁 신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63, 79-101 

  8. 손미숙 .박준석 . 한동원 . 조일연 (2006) 웨어러블 시스템 사용자 상호작용 시장 분석 및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21(2), 184-191 

  9. 유재미 (2004) 인식된 제품 혁신성과 제품 수용 의향의 관계-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육형민 (2003) 스마트 재킷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연 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은영 (1997) '패션마케팅' 교문사, 서울, p.l22 

  12. 이정순 (2002) 스마트 의복의 전망 및 개발사례 연구. 충남생활과학 연구지, 15(1). 64-75 

  13. 조길수 . 김주영 . 김화연 . 이명은 . 이선 (2000) '디지털 의복'. 섬유기술과 산업, 4(1), 148-157 

  14. 홍병숙 . 오현주 (2002) 인터넷 쇼핑의 혁신성과 위험 지각에 따른 의류상품 구매 행동.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논집, 14, 233-256 

  15. Agarwal, R. and Prasad, J. (1998)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Research, 9(2), 204-215 

  16. Chattopadhyay, A. and Basu, K. (1990) Humor in advertising: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brand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 466-476 

  17. Cho G., Barfield W and Baird K. (1998) Wearable computers, 섬유기술과 산업, 2(4), 490-508 

  18. Citrin, AV. Sprott, D.E., Silverman, S.N. and Stem, D.E.Jr. (2000) Adoption of Internet shopping: The role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00(7), 294-300 

  19. Corey, L,G. (1971) People who claim to be opinion leaders: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by self-reporter. Journal of Marketing, 35(1), 48-53 

  20. Edwards C. (2003) Wearable computing struggles for social acceptance. lEE Review, October, 24-25 

  21. Engel, J.F., Blackwell, R.D. and Miniard, P.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Forth Worth, TX: Dryden, p.362 

  22. Fishbein, M. and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Reading, MA.: Addison-Wesley 

  23. Goldsmith, R.E. (2001) Using the domain specific innovativeness scale to identify innovative Internet consumers. Internet Research, 11(2), 149-158 

  24. Goldsmith, R.E. and Flynn, L,R (1992) Identifying innovators in consumer product marke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6, 42-55 

  25. Goldsmith, R.E. and Hofacker, C.F. (1991) Measuring consumer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s, 19(3), 209-221 

  26. Hurt, H.T. and Joseph, K. (1977)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innovativenes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4(1), 58-65 

  27. Kilbourne, W.E. (1986) An exploratory study of sex role stereotyping on attitude toward magazine advertisement.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s, 14(4), 43-46 

  28. Mann, S. (1998) Wearable computing as means for personal impowerment, Keynote address for The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arable Computing, ICWC-98 

  29. Midgley, D.F. and Dowling, G.R (1978)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 229-242 

  30. Rogers, E.M. (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 The Free Press, New York, pp.263-280 

  31. Solomon, M.R. (2002) 'Consumer Behavior : Buying, Haring and Being'. 5th Ed., Prentice Hall, Vpper Saddle River, NJ., p.199 

  32. Venture Development Cooperation (2005) 'Wearable System: Global Market Demand Analysis'. 2nd Ed 

  33. Workman, J.E. and Johnson, K.K.P. (1993) Fashion opinion leadership, fashion innovativeness, and need for variet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1(3), 60-64 

  34. Wearable computer market to grow 500% by '06 (2003, March 14). Venture Development Cooperation. Retrieved April 5, 2006, from http://www.vdc-corp.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