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학교급식 위생관리 수행수준 평가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r School Food Service in the Seoul A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2 no.3, 2007년, pp.310 - 321  

이진현 (부산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고유경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  박기환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  류경 (동남보건대학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ive and systematic sanitation management programs are necessary to prevent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lements to improve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school food service by evaluating sanitation management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학교급식에서 위생관리 수행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 3년간 실시한 위생 . 안전 점검 결과 80점 미만인 54 개 학교를 대상으로 2005년 9월부터 12월까지 학교급식 위생 .
  • 평가는 학교급식 위생 . 안전 점검기준 및 평가 척도에 준해 평가척도를 훈련받은 연구원이 서울시내 해당 지역교육청 또는 학교보건원의 점검팀과 함께 2인 1조로 방문하여 점검함으로써 점검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각 항목별 배점 감점 시에는 관리자에게 사유를 설명하고 점검표에 명시하였으며, 사진 촬영하여 차후 지도, 개선 및 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조사는 이들 80점 미만 점수를 취득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위생 . 안전 점검표를 이용하여 위생관리 취약 항목을 규명함으로써 위생관리 수행수준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0): Surveillance for Foodbome-Disease Outbreaks-United States 1993-1197. MMWR 49(SS01): 1-51 

  2. Chen Y, Jackson KM, Chea FP, Schaffner DW (2001): Quantification and variability analysis of bacterial cross-contamination rates in common food service tasks. J Food Prot 64: 72-80 

  3. Eves A, Dervisi P (2005): Experiences of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in the food service sector. Hospitality Management 24: 3-19 

  4. FDA (2005): Food Code 2005.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5. FIS (2005): Guidance for School Food Authorities: Developing a School Food Safety Program Based on the Process Approach to HACCP Principle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http://www.fns.usda.goy/cnd/CNlabeling/Food-Safety/HACCP Guidance 

  6. GAO (2003): School Meal Programs: Few Instances of Foodborne Outbreak Reported, but Opportunities Exist to Enhance Outbreak Data and Food Safety Practices. GAO-03-669T.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7. Giampaoli J, Sneed J, Cluskey M, Koenig HF (2002): School foodservice director's attitudes and perceived challenges to implementing food safety and HACCP programs. J Child Nutr Mgt 26. http://www.asfsa.org/childnutrition/Jcnm/02spring/giampaoli1/ 

  8. Hernandez J (1998): Managing the flow of food. Food Management 33: 73-78 

  9. Hong WS (2004): The evaluation of foodservice employees' sanitary performance in second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Foodservice Management 7(1): 7-28 

  10. Hwang JH, Almanza BA, Nelson DC (2001): Factors influencing Indiana school foodservice directors/managers' plans to implement a HACCP program. J Child Nutr Mgt 25: 24-29 

  11. Hwang MA, Kim JG (2003): A stud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kitchen and facilities of school food-service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Part 1. Food sanitation, safety, and facility inspection.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9(3,4): 249-258 

  12. Jeong KH, Kwak NS, Kim YR, Yoon SM, Lee SK, Kim JS (2003): A study on safety management of school lunch.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port 

  13. Kim SO, Oh MS (2005):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J Korean Home Econ Assoc 43(11): 127-140 

  14. Koh MS, Jung LH, Lee JO (2004): Performance status of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in the Jeonnam area. Korean J Human Ecol 7(1): 51-67 

  15. Kwak TK, Hong WS, Moon HK, Ryu K, Chang HJ (2001): Assessment of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Seoul. J Fd Hyg Safety 16(3): 168- 1 77 

  16. Kwak TK, Lee KM, Chang HJ, Kang YJ, Hong WS, Moon HK (2005): Analsysis of critical control points through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3): 290-300 

  17. Lee JH (1999): Attitudes of non-commercial foodservice dietitians toward hiring older workers. Korean J Nutr 32(7): 821-826 

  18.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 Korean Diet Assoc 9(1): 22-31 

  19. Mortimore S (2001): How to make HACCP really work in practice. Food Control 12: 209-215 

  20. Nam EJ, Lee YK (2001): Evaluation of Sanitary Management based on HACCP of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Taegu and Kyungpook areas. J Korean Diet Assoc 7(1): 28-37 

  21. Park SH, Lim YH (2005):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jeon and Chungnam. Korean J Comm Nutr 10(2): 234-242 

  22. Park SJ, Ha KS, Shim WB, Park MK, Jeong DH (2003): Environmental microbial assessment of food services at elementary schools in Western Gyeongnam province. J Fd Hyg Safety 18(1): 14-24 

  23. Park YM (1999): The application of HACCP for foodservice. Food Industry & Nutrition 4(3): 30-33 

  24. Seward S (2000) Application of HACCP in the foodservice. Irish J Agri & Food Res 39(2): 221-227 

  25. Sho GS, Kim YS, Shin DH (2007): A survey of the sanitary management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J Fd Hyg Safety 22(2): 63-75 

  26. Snyder OP (1991): Food safety technical standards workshop report. J Foodservice System 6(2): 107-149 

  27. Son KH (1998):A study of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of students and mothers on the hygiene of school meal program.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28. Strohbehn CH, Gilmore SA, Sneed J (2004): Food safety practices and HACCP implementation: Perceptions of registered dietitians and dietary managers. J Am Diet Assoc 104(11): 1692-1699 

  29. 강영재 (2005): 외국기준을 통해 본 급식 . 외식산업의 자주위생관리 시스템. 급식 . 외식산업 자주위생관리연구회 2005년 공개 세미나 자료집 95-114 

  30. 곽동경 (1999): 학교급식의 HACCP 제도 도입 및 위생관리시스템 구축. 교육부 정책연구과제보고서 

  31. 곽동경 (2004): 학교급식 식재료 및 급식시설 안전관리 기준 설정에 관한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보고서 

  32. 교육인적자원부 (2004a):학교급식위생관리지침서. 제2판 

  33. 교육인적자원부 (2004b): 학교급식개선 종합대책-국무조정실 개선과제 세부추진계획. http://www.moe.go.kr 

  34. 교육인적자원부 (2007): 학교급식 실시현황. http.://www.moe.go.kr 

  35. 서울특별시교육청 (2005): 학교급식위생 . 안전 점검 평가기준. www.sen.go.kr 

  36. 서울특별시교육청 (2006): 학교급식 실시현황 

  37. 식품의약품안전청 (2006): 식중독 발생 현황. http://www.kfd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