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니콜라스 게스키에르에 대한 발렌시아가 디자인의 미적특성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alenciaga Designed by Nicolas Ghesquier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7 no.5 = no.114, 2007년, pp.45 - 57  

김선영 (순천대학교 패션디자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Balenciaga design succeeded to by Nicolas Ghesquiere, and tried to understand his pursuing brand's new design concept and aesthetics. The three key characteristics of Balenciaga designed by Nicolas Ghesquiere are Retrospecitvness, Eclecticism, Decons...

주제어

참고문헌 (46)

  1. 정현숙, 정홍숙 (1997). 포스트모던복식에 표현된 페미니즘. 복식, 35, p. 241 

  2. 김선영 (2006). Jean Paul Gaultier의 Haute Couture작품에 표현된 미적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4(4), p. 2 

  3. Valerie Mendes, Amy de la Haye, 김정은 역 (2003). 20세기 패션. 서울 : 시공사, p. 146 

  4. 조옥례 (1993). 발렌시아가 작품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장애란 (1993). Balenciaga의 작품에 나타난 건축적인 형태미에 관한 연구. 복식, 21 

  6. 이명희 (1994). 발렌시아가 작품의 구성원리와 기법. 효성여자대학교 응용과학논문집, 3 

  7. 디디에 그룸바크, 우종길 역 (1994). 패션의 역사. 서울: 도서출판 창, p. 113 

  8. 라사라패션정보 (2000). 20세기 유행의 변천사 2. 서울: 라사라패션정보, p. 156 

  9. 장애란 (1993). Balenciaga의 작품에 나타난 건축적인 형태미에 관한 연구. 복식, 21, p.9 

  10. Christobal Balenciaga. 자료검색일 2006. 5. 22,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11. Valerie Mendes, Amy de la Haye, 김정은 역 (2003). 20세기 패션. 서울 : 시공사, p. 146 

  12. 장애란 (1993). Balenciaga의 작품에 나타난 건축적인 형태미에 관한 연구. 복식, 21, p.9 

  13. Back to the Future (2005.11). Harper's Bazaar Korea, p.234 

  14. Jacque Ruppert, Madeleine Delpierrw, Renee Parray Piekolek, Pascale Gorguet-Ballesteros (1996). Le Costume Francais. Paris: Flam marion, p. 297 

  15. Christobal Balenciaga. 자료검색일 2006. 5. 22,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 

  16. 라사라패션정보 (2000). 세계의 패션디자이너2. 서울: 라사라패션정보, pp. 92-95 

  17. 채금석 (1995). 현대복식미학. 서울: 경춘사, p. 186 

  18. 라사라패션정보 (2000). 세계의 패션디자이너2. 서울: 라사라패션정보, p. 96 

  19. 박명희, 장애란 (1995). 건축적인 의상디자인의 기호학적 연구. 복식, 25, p. 221 

  20. Valerie Mendes, Amy de la Haye, 김정은 역 (2003). 20세기 패션. 서울 : 시공사, p.147 

  21. The Balenciaga Mystique (2006.4). Vogue Korea, p.349 

  22. James Laver, 정인희 역 (2005). 서양패션의 역사, 서울: 시공사, p. 290 

  23. The Balenciaga Mystique (2006.4). Vogue Korea, p. 346 

  24. Back to the Future (2005.11). Harper's Bazaar Korea, p.234 

  25. The magnificent seven (2005.11). Vogue Korea, p.289 

  26. W Korea 별책 (2005.5), p. 7 

  27. Back to the Future (2005.11). Harper's Bazaar Korea, p.238 

  28. The magnificent seven (2005.11). Vogue Korea, p.289 

  29. Le Grand Balenciaga (2006.8). W Korea, p.41 

  30. The Balenciaga Mystique (2006.4). Vogue Korea, p. 346 

  31. Balenciaga, Then & Now (2006.8), Harper's Bazaar Korea, p. 329 

  32. Cerda Buxbaum (1996). Icon of Fashion, NY: Prestel, p. 166 

  33. Balenciaga, Then & Now (2006.8), Harper's Bazaar Korea, p. 328 

  34. Vogue별책 (2006.5), p. 28 

  35. Balenciaga, Then & Now (2006.8), Harper's Bazaar Korea, p. 332 

  36. W Korea 별책 (2005.5). p. 4 

  37. The Balenciaga Mystique (2006.4). Vogue Korea, p. 350 

  38. Vogue별책 (2005. 12), p. 18 

  39. 김선영 (2006). Jean Paul Gaultier의 Haute Couture작품에 표현된 미적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4(4), p. 7 

  40. 임은혁 (2003). 21세기 전환기 하이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 복식, 53(2), p. 81 

  41. 김혜영, 김유연 (2005). 모더니즘을 통해 구현된 패션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 55(1), p. 54 

  42. 김혜숙, 김혜련 (1990). 예술과 사상.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 309 

  43. 임은혁 (2003). 21세기 전환기 하이패션에 나타난 하위문화 스타일. 복식, 53(2), p. 82 

  44. 김은실, 배수정 (2000). 장폴 골티에의 작품에 나타난 해체주의 양식의 고찰. 가정과학연구, 10, p.63 

  45. 성광숙, 이순홍 (2004). 서양복식에 나타난 양적과장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II. 복식, 54(7), p. 157 

  46. Vogue별책 (2004. 5), p. 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