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팀제의 유효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eam Effectiveness in University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38 no.2, 2007년, pp.399 - 430  

정재영 (서강대학교 도서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용자와 서비스환경의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의 하나로 대학도서관에 점차 팀제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도입된 팀제의 유효성 평가를 통해 효율적인 팀제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팀제의 유효성 평가에 있어 직급과 근무기간별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와 팀제 수용능력이 유효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팀제 도입에 따른 유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목표설정과 갈등해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팀내 및 팀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의 마련과 팀제 수용능력의 향상을 통해 대학도서관의 특성과 목적에 적합한 팀제 모델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changing of user and service environment, one of countermeasures that introduction of team-based organization is increasing gradually in the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efficient ways of assessing team effectiveness which is increasing gradually in th...

주제어

참고문헌 (25)

  1. 김현미. 대학도서관의 팀 경영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 김형기. 경영혁신을 위한 조직설계방향 : 팀조직의 논리와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생산성 본부. 1995 

  3. 박인웅. '한국의 대학도서관 조직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제34권,제1호(2003). pp.331-349 

  4. 박준식. '대학도서관 운영 개선사례 : 팀제도입 사례' 제36회 전국도서관대회,한국도서관정보학회 주최 라운드 테이블 자료,부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1998). pp.1 -11 

  5. 박춘화,김진균,최진순. '대학도서관 팀 조직 후 사서의 만족에 관한 연구' 제 38회 전국도서관대회 주제발표논문집.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000). pp.75-95 

  6. 심화섭. 팀의 핵심역량과 팀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1997 

  7. 오동근. '대학도서관의 조직대안으로서의 팀제조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제 30권,제3호(1999). pp.345-363 

  8. 윤혜영. '한국의 대학도서관 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38권,제4호(2004). pp.5-24 

  9. 윤혜영. '대학도서관 팀제 운영방식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도서관 , 정보학회지,제35권, 제4호(2004). pp.23-40 

  10. 윤희윤. '대학도서관 경영개혁의 동향과 반추.'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제32권,제1호(2001). pp.33-51 

  11. 임창희,가재산. 한국형 팀제를 넘어서.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998 

  12. 정재영.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41권,제1호 (2007). pp.391-409 

  13. 홍미라,문성빈.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대학도서관 조직' 정보관리연구,제35권,제3호(2004). pp.75-107 

  14. LG 경제연구원. 한국기업의 경영현주소; 1000대 기업의 경영혁신 해보. 서울: LG 경제연구원. 1995 

  15.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SPEC Kit 232: Use of Teams in ARL Libraries. Washington. D. C. : ARL. 1998 

  16. Bazirjian. Rosann. 'Role of Library Faculty in a Team Environment.' Library Administration & Management. Vol.17 No.1(2003). pp.33-39 

  17. Rosann. Bazirjian. Nancy Markle Stanley.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eam-based Structures in Libraries.' Library collections, Acquisitions & Technical Services, Vol.25 (2001), pp.131-157 

  18. Boissonnas, Christian. 'Technical Services: The Other Reader Service,' Portal: Libraries and the Academy, Vol,1 No.1 (2001), pp.33-46 

  19. Bower, Matthew, et. al.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in Academic Libraries : A case study,' Journal of Library Administration, Vol.22, No.2/3 (1996). pp.133-144 

  20. Diaz, Joseph R. and Chestalene Pintozzi. 'Helping Teams Work: Lessons Learned from the University of Arizona Library Reorganization,' Library Administration & Management, Vol.13, No.1(1999) , pp.27-36 

  21. Fore, Janet S., R. Cecilia Knight, and Carrie Russell. 'Leadership for User Services in the Academic Library.' Journal of Library AdmimStration, Vol.19, No.3-4(1993), pp.97-110 

  22. Gorniak-Kocikowska, K. Revolution and the Library.' Library Trends, Vol.49, No.3(2002). pp.454-470 

  23. Katzenbach, Jon R. and Douglas K. Smith. 기업혁신 팀경영. 양준용 역. 서울: 한국경제 신문사. 1994 

  24. Lubans, J. Jr. 'Teams in Libraries.' Library Administration & Management. Vol.17, NO.3(2003). pp.144-146 

  25. Owens, Irene. 'The Impact of Change from Hierarchy to Teams in Two Academic Libraries: Intended Results versus Actual Results using Total Quality Management.'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Vol. 60, NO.6 (1999), pp.571-5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