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교원 조경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Lee Kyo-Won's Landscape Desig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2 = no.121, 2007년, pp.13 - 24  

서영애 (기술사 사무소 이수) ,  최정민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조경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ee Kyo-Won's landscape architecture and add to the literature in this field. Also, the current status of and issues in landscape design will be dealt with through the lens of the individual landscape architect's worts. By adopting a critical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접 경험을 통한 일본식 조경의 모방적 수용이 이 투어 지는 것이다. 이 시기는 아직 학문으로서 조경이 우리나라에 도입되기 이전으로 개인적인 관심과 열정을 바탕으로 일본 서적을 통한 조경가로서의 교육과 수련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 亡.
  • 이교원의 공간디자인 및 시설물 디자인은 정교한 디테일을 구사하는 것으로 유명하고 가장 큰 장점이라고 회자된다. 따라서 그의 공간 디자인과 시설물에서 나타나는 디테일을 주목하고 분석하는 것을 통해 그의 '독특한 기법 (craft)'을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독특한 기법이 구축되는 방식과 과정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 작품의 특성과 생산 방식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일반적으로 작품에 나타나는 작가의 의도는 매우 다양하고 함축적이어서 작품만을 보고 이를 명확히 규명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교원과의 직접 인터뷰°와 인터뷰 기사를 통해 보다 직접적으로 생생하게 작가의 의도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 일반 건축물 조경은 사적 영역이지만 공개공지 등도 포함하고 있2、개방된 공간으로 보고 공정원으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작가 스스로의 분류체계를 준거로 하여 개인주택 정원과 공동주택 정원을 주택 조경으로 구분하고 건축의 외부 공간, 광장, 소공원 등은 공공 조경으로 분류하여 이 교원 조경의 차별적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 식재 디자인, 공간 및 시설물 디자인 같은 단면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교원 조경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 독특한 기법이 구축되는 방식을 검토하여 작품의 특성과 생산 방식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작가 스스로의 분류체계를 준거로 하여 개인주택 정원과 공동주택 정원을 주택 조경으로 구분하고 건축의 외부 공간, 광장, 소공원 등은 공공 조경으로 분류하여 이 교원 조경의 차별적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 식재 디자인, 공간 및 시설물 디자인 같은 단면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교원 조경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 독특한 기법이 구축되는 방식을 검토하여 작품의 특성과 생산 방식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현상과 요소를 밝히고자 한다. 문헌은 그의 설계 방법론과 디자인 원칙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는 기고문, 관련 자료 등을 토대로 연구한다. 작가와의 인터뷰는 연구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올 수 있는 주관적인 오류를 보완하고, 작가의 대체적인 성향, 의식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직접 인터뷰, 시공현장 답사, 설계도면 검토 등을 통하여 일련의 상황들에 대한 사실적 자료의 발견을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이면에 숨어 있는 보다 본질적인 현상과 요소를 밝히고자 한다. 문헌은 그의 설계 방법론과 디자인 원칙에 대해 설명해 줄 수 있는 기고문, 관련 자료 등을 토대로 연구한다.
  • 본 연구는 아직 국내의 조경 작품들이 작가를 대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고원의 작품'이라고 실명으로 거론되는 조경가에게 관심을 가지고 한 개인의 작품과 작품 활동을 통해 동시대 조경의 단면을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조경의 현실과 문제를 발견하여 조경작품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고 향후 조경 분야의 발전과 수준 있는 조경 작품 생산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조경가 이교원을 작품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쟁점으로 드러내고 그의 작품 활동을 비판적으로 인지하고자 함에 있다. 이는 조경설계 실무의 스펙트럼을 다양화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 본 연구는 현재 활동 중인 국내 조경가에 관심을 가지고 한 개인의 작품 활동과 작품을 통해 동시대 조경의 단면을 조망해보고자 한다. 국내의 조경 작품들은 장소의 명칭으로 불리는 것이 통상적이다.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연구의 관심과 목적은 그 자체가 이미 비평적 작업으로서의 국면을 내포하고 있으며, 또한 비평적 작업으로서의 최소한의 논리체계를 지니기를 희망한다. 그것은 비평이 시대의 관심을 고양시키는 가장 직접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배정한 1993).
  • 이러한 연구는 조경작가에 대한 포괄적 조망과 비평적 분석을 통해 조경작품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하여 한국현대조경의 현실 속에 다양한 차원의 이슈를 발견하여 향후 조경분야의 발전과 수준 있는 조경 작품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의도도 담겨 있다.
  • 따라서 그의 공간 디자인과 시설물에서 나타나는 디테일을 주목하고 분석하는 것을 통해 그의 '독특한 기법 (craft)'을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독특한 기법이 구축되는 방식과 과정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 작품의 특성과 생산 방식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조경의 단면을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조경의 현실과 문제를 발견하여 조경작품과 관련된 시사점을 얻고 향후 조경 분야의 발전과 수준 있는 조경 작품 생산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 이와 같이 그의 장인적 열정과 실험 정신은 그의 작품이 정교한 디테일과 높은 완성도를 구현하는 바탕이 되었다. 실물 크기의 모델 제작은 주로 시계탑, 가로등, 조형물, 포장 패턴 같은 디테일을 구현하는데 있어 특정 공간에 적합한 스케일을 미리 체험하고 도면에서 미처 파악하기 힘든 스케일감을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작품은 이교원 조경의 차별적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 몇 가지 단면들을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집중적으로 검토할 단면은 식재 설계 공간 디자인, 시설물 디자인 등의 특성들이다.
  • 하는 질문에 답을 구하고자 이교원 조경의 형성 배경과 그의 작품 세계를 조망하고, 한 사람의 일관된 스타일이 만들어지는 작업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교원의 조경이라고 둘릴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은 측면으로 인해 가능했다고 정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혁(1984) 건축비평의 방법과 유형. 공간 205호 

  2. 김민경(2006) 인물포커스 이교원. 건축 6월호. pp. 54-57 

  3. 방경란, 최기수(1998) 영국 풍경식 정원가 'Capability Brown'의 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3): 267-2l7 

  4. 배정한(1993) 조경비평의 이론과 방법론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양호정(2000)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의 조경미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교원(1999) 작가가 되는 길. 그 멀고도 험한 여정(1)-(3). 환경과 조경. 통권 제 135호-137호 

  7. 이규목(1988) 도시환경에서의 전통과 현실:6개의 이중주. 공간. 8810 

  8. 이상민(2006) 설계에서 매체 그리고 서울숲('봄, 조경 사회 디자인'). 서울: 도서출판 조경. pp. 152-163 

  9. 이재근(2007) 조경산업분야의 태동기 이야기. 조경시공 30: 130-137 

  10. 정인하(1996) 김수근의 건축론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 서울: 도서출판 미건사 

  11. 정재연(2004) 자연을 닮은 정원, 도시를 바꿉니다. 조선일보. 2.24 

  12. 조경진(2002) 빌딩속 풍경에 관한 몇가지 이야기. 환경과 조경 166: 72-77 

  13. 조경진(2003) 프레드릭 로 옴스테드의 도시공원관에 대한 재해석. 한국조경학회지 30(6): 26-37 

  14. 진양교(2005) 어느 조경디자이너에게 보내는 편지. 환경과 조경 201: 148-151 

  15. 최정민(1993) 옴스테드 양식이 한국현대조경 작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安蘇忠雄(1986) 挑發する箱. 황준 옮김, 안도 다다오, 그의 건축 이야기. 서울: 도서출판 미건사. 1994 

  17. Attoe, W.(1978) Architecture and Critical Imagination. John Wiley & Sons, Ltd 

  18. Bourdieu. P. (1979) La Distinction. 최종철 옮김.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서울: 새물결. 1995 

  19. Corner, J. (1999) Recovering landscape as a critical cultural practice. In J. Corner, ed. Recovering Landscap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26 

  20. Olin, Lauri(1988) Form, Meaning and Expression in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Journal, Fall, 1988 

  21. Walker, P.(2005) Peter Walker and Partners. London: Thames & Hudson Ltd. 

  22. Wall, A. (1999) Programming the urban surface. In J. Corner, ed., Recovering Landscape: Essays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233-2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