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시설물도 현황 및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tus and Accuracy of Underground Facilities Map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5 no.3, 2007년, pp.223 - 230  

이용욱 (대한측량협회 측량정보기술연구원) ,  허민 (대한측량협회 측량정보기술연구원) ,  이재원 (동아대학교 토목해양공학부) ,  배경호 (대한측량협회 측량정보기술연구원)

초록

도시의 집중화로 지하시설물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에 따른 지하시설물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부정확한 지하시설물도와 지하시설물에 대한 관리부재로 인하여 크고 작은 사고가 계속하여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하시설물도는 자료의 최신성과 정확성이 확보되어야 하나, 현재의 지하시설물도는 각 기관별 작성 및 갱신체계를 가지고 있어, 자료의 최신성과 정확성을 검증하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6대 유관기관의 지하시설물도 위치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3년간 지하시설물에 대한 현장 조사/탐사 작업과 기준점에 기반한 위치측량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차별, 기관별 지하시설물도의 위치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시설물도의 평균 73cm(2004), 78cm(2005) 그리고 75cm(2006)의 위치정확도 결과값을 획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centralization of city, underground facilities is increasing and being more important. Although the importance of underground facilities map has been emphasized, there were many accidents related underground facilities. The inaccuracy of existing data and the carelessness of management cau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울특별시의 6대 지하시설물도에 대한 정확도 검증을 위하여 서울특별시의 18개 자치구에 대하여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동안 서울특별시 전체 지하시설물의 약 0.6%에 해당하는 총 318km 연장에 대한 지하시설물 조사/탐사 작업을 수행하였다.
  • 이후에 상업적 이용이 가능해진 기술이다. 또한 이 방법은 전자파가 지하매질을 전파해 나갈 때 전자파는 반사를 하게 되고 반사되어 온 전자파를 수신하여 전자파의 경로 시간과 전자파의 속도로 반사가 일어난 곳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탐사 방법은 지표에서 전자파를 지하에반사시켜 탐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전자파가 일차적으로 통과하게 되는 표토층의 전기 전도도가 비교적 높아 이표토층에서 전자파의 감쇠가 많이 일어나 지표아래 심부까지의 탐사가 불가능하며, 대략 30m 정도가 한계 심도라고 알려져 있다(문두열 등, 2002 ; 이종출 등, 200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대한측량협회 (2002), 공공측량작업규정 

  2. 문두열, 이용희, 신병철 (2002), GPR의 매설물 검출 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제 20권 제 1호, pp. 77-84 

  3. 박운용, 이종출, 정성모 (2003), RTK-GPS를 이용한 지하시설물의 위치 정확도 분석, 한국측량학회, 제 21권 제 3호, pp. 237-243 

  4. 손홍규, 한춘득, 김기홍, 손덕재 (2004), 지상.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 신뢰성 분석, 한국측량학회 학술발표대회, pp. 405-410 

  5. 이강원 (1995), 지하시설물 조사 실무 효율화 방안,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GSIS Tutorial 자료집, pp. 159-182 

  6. 이종출, 이영대, 이현재, 장호식 (2003), 지하레이더를 이용한 고고학적 유적지 탐사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pp. 513-5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