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을 이용한 실시간 지하시설물도 작성
Real-time Underground Facility Map Production Using Drone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4, 2017년, pp.39 - 54  

노홍석 (동의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학과) ,  백태경 (동의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0년까지 84개 시군에 대한 지하시설물 전산화가 완료되고 2011년부터 신규로 배관공사가 이루어지거나 기존관로 유지보수 갱신 배관공사에 대하여 2010년 개정된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공공측량작업규정 제134호의 지하시설물도 작성시기에서 정확도 확보를 위하여 되메우기 전 노출관로에 대한 위치 및 심도측량으로 지하시설물도를 작성하게 되어있다. 실시간으로 작성하게 되어 있는 지하시설물도의 작성기법에 대하여 기존 방식과 대비 더욱 효율적이면서 부가가치가 높은 방식으로써 예산절감효과를 도출하여 현업에 적용 할 수 있는 응용기술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적화 된 드론영상자료를 기본으로 지상기준점 배치가 최대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오차범위에서 벗어난 지상기준점을 소거하고 재프로세싱 하여 양질의 성과를 도출함으로써 드론방식의 지하시설물도를 작성, 허용오차 범위 내에서 수용되는 검증결과를 수립하고, 프로세싱방법의 표준화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작업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tween 1998 and 2010, the computeriz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was completed in 84 cities. Since 2011, new pipelines have been laid or existing pipelines have been maintained, renovated, and renewed. To measure the exact location and depth of the exposure pipe, a map of underground facili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드론을 이용한 정사영상 자료를 구축하여 토목공사 시 시설물 배관공사 중 시설물의 위치정보와 심도 측정을 통하여 지하시설물도 작성기법을 개발, 실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는데 집중하였으며 지하시설물도의 작성을 위해 실제 적용 시 실행비 절감이 반영되는 경제성도 증명하였다.
  •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17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21조에 따라 공공측량 작업계획서 작성 기준 등 그 밖에 공공측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규격을 통일하고 공공측량성과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한 공공측량작업규정 제134조에서 지하시설물도 작성 시기를 살펴보면 시설물 관리기관은 시설물의 설치, 변경할 때에는 공사가 완료되기 전 시설물이 노출된 상태에서 측량을 하여 시설물도를 작성하여야 한다고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도 확보를 위하여 배관공사와 동시에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현행 작업방법에 대하여 드론을 이용한 영상자료를 기반으로 드론사진측량 더 나아가 DEM/ DSM 및 정사영상 자료를 취득하여 지하시설물도의 심도 및 평면위치 측정으로 100% 심도율 확보는 물론 기존 시행하던 방식 대비 실행비 절감 효과로 이어져 국가예산절감 등 크게 두 가지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im(2016)은 유인기에 의한 3D 맵핑 시스템의 활용은 최근 산업에 적용되어 그 기반이 3D 맵핑 영상 취득의 최신형 확보로 이어지고 있으나 드론이 상용화됨에 따라 효율적이고 비용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갖고 있는 드론을 3D 맵핑 시스템에 적용, 활용을 위하여 단시간 내에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양한 산업에 적용, 활용 가능성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내용과 기존 실시간 지하시설물도 작성 방식의 분석을 통하여 공간정보 취득의 용이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특히 소규모 지역의 실시간 공간정보 취득에 크게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드론 활용에 대하여 실제 실험지역을 선정, 실시간 지하시설물도 공간정보취득의 활용 가능성을 기존 방식 대비 드론 활용 지하시설물도 작성방식을 연구하여 현재 국가 및 지자체 발주 지하시설물도 작성 공공측량 작업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기존 실시간 지하시설물도 작성방식 내용은 그림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드론을 이용한 정사영상 자료를 구축하여 이룬 성과는 무엇인가? 드론을 이용한 정사영상 자료를 구축하여 토목공사 시 시설물 배관공사 중 시설물의 위치정보와 심도 측정을 통하여 지하시설물도 작성기법을 개발, 실무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는데 집중하였으며 지하시설물도의 작성을 위해 실제 적용 시 실행비 절감이 반영되는 경제성도 증명하였다.
현재 드론을 이용한 공간정보구축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최근 국내외를 막론하고 드론에 관한 관심증대와 더불어 드론의 활성화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 드론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가격 하락과 기술 발전 덕분에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공간정보구축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즉 구체적인 대상 즉 지하시설물도 공간정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Kim(2016)는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공간정보 취득을 직접 수행함으로써 취득 및 후처리 과정의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수행과정에서 도출되는 정사영상과 3D 모델을 기반으로 다양한 공간정보 Data를 산출하여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항공사진작업규정 제20호(항공사진중복도)는 어떤 내용을 포함하는가? 항공사진작업규정 제20호(항공사진중복도)에서 보면 필요에 따라 진행방향 80%까지 중복 촬영할 수 있다고 되어있다. 그러므로 각 항목별 정밀도 향상의 극대화 수량인 Image Over lap의 횟수를 8회로 정하고 산식을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gisoft LLC. 2012. Agisoft photo scan user manual : standard edition, version 0.8.5. pp.6-32. 

  2. Chun, B.S. 2017. Analysis of small scale topographic change using drone digital images. Master's Thesis, Univ. of Transportation, Chungbuk, Korea. p.30(천병석. 2017. 드론 디지털 영상을 이용한 소규모 지형변화 분석.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쪽). 

  3. DJI. 2016. PHANTOM4 user manual quick start guide V1.2 (팬텀4 사용설명서 퀵스타트 가이드 V1.2. 1-64쪽). 

  4. Han, S.H. 2016. Introduction to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Goomibook Co., Seoul, pp.129-219 (한승희. 2016. 사진측량 및 원격탐측 개론. 구미서관, 서울. 129-219쪽). 

  5. Jo, J.H. 2014. Accuracy and economic feasibility study of orthoimage map production using UAV. Master's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pp.53 (조준희. 2014. UAV를 이용한 정사영상제작의 정확도 및 경제성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쪽). 

  6. Jo, K.C. 2013. Geomatics engineering. Yong Se Publishing Co., Seoul, pp.486-516 (조규전. 2013. 측량정보공학. 양서각, 서울. 486-516쪽). 

  7. Jo, Y.S. 2015. Construc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ite management system using UAV. Ph.D. Thesis, Univ. of Chungbuk, Chungbuk, Korea. pp.60 (조영선. 2015. UAV를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현장관리시스템 개발.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0쪽). 

  8. Ju, H.S. 2011. Geoinformatics. Korea Scholarship information Co., Kyung Ki Do. pp.399-403 (주현승. 2011. 지오인포매틱스. 한국학술정보, 경기도. 399-403쪽). 

  9. Jun, I.S. 2017. Standard of construction estimate. Study of construction publishing Co., Seoul, pp.553-672 (전인식. 2017. 건설표준품셈. 건설연구사, 서울. 553-672쪽). 

  10. Kim, G.H. 2016.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spatial information using an ultralight unmanned aerial vehicle. Master's Thesis, Univ. of Kangwon, Kangwon, Korea. p.33 (김지항. 2016. 초경량 무인비행장치를 활용한 공간정보 취득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쪽). 

  11. Kim, J.T. 2016. A study on 3D mapping system utilization using drones. Master's Thesis, Univ. of Kyungsung, Busan, Korea. p.18 (김정태. 2016. 드론을 이용한 3D 맵핑 시스템 활용에 대한 연구. 경성대학교 예술종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쪽). 

  12. Kim, S.K. 2014. A study 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spatial information utilizing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Ph.D. Thesis, Univ. of Mokpo, Chunnam, Korea. p.100 (김석구. 2014. 무인비행시스 템을 이용한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0쪽). 

  13. Lim, H.M. 2010. Construction and updating of 3D spatial information for small areas using UAV. Ph.D. Thesis, Univ. of Chungbuk, Chungbuk, Korea. p.73 (임형민. 2010.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소규모지역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및 갱신. 충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3쪽). 

  14. Lee, K.W., H.E. Song and D.I. Kim. 2016. Drone remote sensing photogrammetry. Goomibook Co., Seoul, pp.314-404 (이강원, 손호웅, 김덕인. 2016. 드론 원격탐사 사진측량. 구미서관, 서울. 314-404쪽). 

  15. Pyen, S.J. 2015. Why drones now. Miraebook Co., Seoul, pp.159-168 (편석준. 2015. 왜 지금 드론인가. 미래의창, 서울. 159-168쪽). 

  16. Agisoft PhotoScan. 2017a. Tutorial(beginner level) : orthomasaic and DEM generation with Agisoft Photo Scan Pro1.2 (With Ground Control Points), pp.1-17. 

  17. Agisoft PhotoScan. 2017b. Tutorial(intermediate level) : 3D model reconstruction of the building with Agisoft Photo Scan 1.1, pp.1-8. 

  18. Agisoft PhotoScan. 2017c. Tutorial(intermediate level) : dense cloud classification and DTM generation with Agisoft Photo Scan Pro 1.1, pp.1-6. 

  19. Yeu, B.M. 2006. Digital surveying engineering. PakYoungSa Co., Seoul, pp.583-608 (유복모. 2006. 디지털측량공학. 박영사, 서울. 583-608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