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식품지원 프로그램 효과
Effect of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 for Low Income Elderly Peopl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2 no.1, 2007년, pp.149 - 156  

박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보경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  김화영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 for low-income, living alone elderly people. The subjects were 57 low income aged females who lived alone in Bucheon city. The food commodity supplementary program lasted for 6 months, supplying one meal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가 섭취한 식사 내용과 분 량을 쉽게 회상할 수 있도록 실물크기의 식품모형과 식품 사진, 그릇 등을 이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직접 방문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으므로 대상자의 냉장고를 조사하여 정 확을 기하도록 노력하였다. 이러한 식이조사는 식품지원 전과 식품지원 후 각각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보건소에서 건강생활 실천사업의 일환으로 실 시되고 있는 식품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되었다. 건강 생활 실천사업이란 21세기를 지향하는 국민건강증진 정책 의 기본방향으로 건강의 향상 및 질병예방, 질병발생시의 조기치료, 치료 후의 신속한 재활 등 일련의 과정이 밀접하 게 연계되는 평생건강관리체계의 기반구축을 위해 금연, 절주, 운동, 영양개선 사업으로 실시되며 생애 주기별로 나 뉘어 사업이 진행된다.
  • 건강 생활 실천사업이란 21세기를 지향하는 국민건강증진 정책 의 기본방향으로 건강의 향상 및 질병예방, 질병발생시의 조기치료, 치료 후의 신속한 재활 등 일련의 과정이 밀접하 게 연계되는 평생건강관리체계의 기반구축을 위해 금연, 절주, 운동, 영양개선 사업으로 실시되며 생애 주기별로 나 뉘어 사업이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보건소 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대상 프로그램 중 식품지원 프로 그램이 저소득층 독거노인들의 영양상태 및 건강상태 개선 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노인복지측면에서 의 효과적인 식품지 원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여자독거노 인 57명을 대상으로 영양 상태와 건강상태에 관련된 인자 들을 살펴보았으며, 보건소에서 건강생활 실천사업의 일환 으로 실시되고 있는 식품지원 프로그램이 독거노인들의 영 양상태 및 건강상태 개선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보건소 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대상 프로그램 중 식품지원 프로 그램이 저소득층 독거노인들의 영양상태 및 건강상태 개선 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노인복지측면에서 의 효과적인 식품지 원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식재료는 조리되지 않은 원재료로써 대상자들이 스스 로의 입맛에 맞게 직접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형태로 제 공되었으며 6개월간 공급하되 1인당 1주일에 10, 000원 내에서 결정하였다. 제공된 식재료의 소비가 효율적으로 이 루어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자들이 눈치 채지 못하 도록 사전 예고 없이 한 달에 한번 방문하여 냉장고 검사를 실시하여 대상자들이 식품을 제대로 소비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이 조사에서 대상자들이 소비하지 않고 남겨두는 비율이 높은 식재료와 비 선호 식재료는 다음 식품 제공 시 에 제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arnton-Hill I. 1992. Psychosocial aspects of nutrition and aging. Nut Rev, 50(12): 476-479 

  2. Davis MA. 1990. Living arrangements and dietary quality of older U.S. adults. J. Am Diet Assoc, 90(12): 1667-1672 

  3. Friedwald WT, Levy RI, Fredrick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em., 18: 499-502 

  4. Han KH, Choi MS, Park JS. 2004. Psycho-social, nutritional status and meal service utility patterns by living arrangements of the elderly participated in meal 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5): 615-62 

  5. Hwang JS. 1996. A study on the system of the homed seniorcitizen welfare work and resultant deliver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6(1): 150-162 

  6. Kang MH. 1994.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people. Korean J. Nutr., 27(6): 616-635 

  7. Kim WH, Kim MH, Hong SG, Hwang SJ, Park MH. 2005.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health risk factors, blood health status in elderly Korean women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2): 216-223 

  8. Kim KM, Kwon JS. 2004.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Songnam II.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Food and Nutr., 17(4): 420-428 

  9. Kim HK, Yoon JS. 1989.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condition of elderly women living in urban community. Korean J. Nutr., 22(3): 175-184 

  10. Korean Nutrition society. 2002. Nutritional assessment program, 'Can pro 2.0'. Seoul 

  11.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12.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00. Questionnaires of dietary life. Seoul 

  13. Lee JM, Lee SY. 2006.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Preference for Utilization of Community Care Servic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2: 203-222 

  14. Lee MS, Woo MK. 2002. A Study of Health-related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Living in the Chonju Area (2).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6): 749-761 

  15. Lee KW, Lee YM, Kim JH. 2000.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alone-living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1): 3-12 

  16. Lee JW, Kim KA, Lee MS. 1998.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the elderly taking free congregate lunch meals compared to the middle-income class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4): 594-608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3.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18. Ministry of Commerce. 2004. Size Korea 2004. Seoul 

  19. Morley JE, Silver AJ, Fiatrone M, Mooradian AD. 1986. Geriatric grand round: nutrition in the elderly. J. Am Geriatr Soc, 34: 823-832 

  20. Park JK. 2002.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living alone from low income status and effect of food-supplying program on nutritional status improvement. Master degree thesis. Catholic University. pp 19-31 

  21. Park YJ, Koo JO, Choi KS, Kim SB, Yoon HY, Son SM. 1996.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II. The effect of meal service on protein nutrition status and serum lipid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228-238 

  22. Son SM, Lee YN. 1999. Nutritional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elderly residing in Puchon City I. Anthropometric data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6): 1391-1397 

  23. Son SM, Park YJ, Koo JO, Lee YN, Yoon HY. 1997.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from low-income, urban area and improving effect of meal service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 V. The effect of meal service for one year on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1): 63-73 

  24. White JV, Ham RJ, Lipschitz DA, Dwyer JT, Wellman NS. 1991. Consensus of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 Risk factors and indicators of poor nutritional status in older Americans. J. Am Diet Assoc, 91(3): 783-7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