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영양지수 (NQ-E)를 이용한 서울 일부지역 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 상태 평가
Evaluation of the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in Seoul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1, 2020년, pp.68 - 82  

함선욱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희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78.6세로 75세 이상이 75.0%를 차지하였으며, 만성질환을 2개 이상 갖고 있는 노인이 55.4%였다. 가구 유형에서 독거노인의 비율이 40.7%였고, 70.6%의 노인이 식사 준비를 본인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NQ-E 점수는 61.9점으로 전국 단위 조사와 비교하면 '중상'에 속하였다. 균형, 절제, 식행동 영역은 전국 단위 조사의 '중상'에 속하였고 다양 영역은 '중하'에 속하였다.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절제와 식행동 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독거노인은 배우자동거노인에 비해 다양성 영역의 점수가 낮았다. 다양성 영역은 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의 점수가 높았고, 절제 영역은 소득수준이 낮은 노인과 2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보유하고 있는 노인의 점수가 높았다. 영양 보충제를 1개 이상 섭취하는 노인이 영양지수 총점수와 균형, 다양성 및 식행동 영역의 점수가 높았다. 연구 대상자의 51.0%가 모니터링 필요군으로 영양지수 평균은 54.8점이었고, 양호군은 49.0%로 영양지수는 69.3점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대상자의 에너지, 니아신, 리보플라빈, 비타민 A의 섭취량이 EAR 미만으로 나타났고, 비타민 A, 니아신, 비타민 C, 칼슘 등은 영양권장량 대비 75% 미만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모니터링 필요군의 1일 에너지 섭취량과 단백질,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비타민 C 섭취량이 양호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모든 영양소의 영양소 적정섭취비 (NAR)가 1 미만이었으며, 모니터링 필요군이 양호군에 비해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칼슘 및 칼륨의 NAR이 유의하게 낮았다.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칼슘, 칼륨의 INQ가 1보다 낮아 에너지 섭취량에 비해 부족한 영양소로 나타났다. 1일 식품섭취량에서 모니터링 필요군이 양호군에 비해 총 식품 섭취량과 채소류 및 버섯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 노인 영양지수가 높은 군이 낮은 군보다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한 식품섭취조사에서 단백질을 비롯한 대부분의 필수영양소 섭취 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NQ-E가 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임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4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f age (38 men and, 166 women) in Seoul. The dietary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a question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식생활과 영양섭취 상태를 조사하였다. 서울 북부 지역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경로당에 방문하거나 전화하여 연구 내용을 설명하고 참여를 희망하는 경로당 16 곳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 일부 지역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영양지수(NQ-E)와 식사섭취 조사를 실시하여 노인의 식생활과 영양 섭취 상태를 분석한 결과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일부 지역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영양지수 (NQ-E)를 사용하여 ‘식행동’, ‘균형’, ‘절제’, ‘다양’ 영역의 세분화된 식생활 평가를 통해 노인의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식생활 및 영양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일부 지역의 경로당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영양지수 (NQ-E)를 사용하여 ‘식행동’, ‘균형’, ‘절제’, ‘다양’ 영역의 세분화된 식생활 평가를 통해 노인의 만성질환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식생활 및 영양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식사섭취조사를 실시한 결과와 비교하여 NQ-E가 노인의 식생활을 평가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식품사진과 음식용기, 계량컵, 계량스푼, 30 cm 자, 실측으로 원형과 사각형 도형이 크기별로 그려진 용지 등 보조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리 시 사용한 양념의 종류와 양, 식사 사이에 섭취한 간식이나 커피 등 빠진 것이 없는지 조사원이 재차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기록지를 확인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500 kcal 미만 또는 5,000 kcal 이상인 대상자는 제외하고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의 영양 결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노년기는 만성퇴행성 질환의 발병, 소화 및 흡수 기능의 저하, 식욕 감퇴, 경제 수준의 저하, 외로움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양 결핍의 위험이 증가하는 시기이다 [6]. 노인의 식사 섭취에서 에너지, 단백질과 항산화 영양소의 결핍은 면역기능을 감소시켜 만성질환의 발생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므로 [7-9] 질병 예방 및 건강한 노년기를 위해서는 균형 있는 식생활과 적절한 영양공급이 필수적이다.
노인 대상 영양지수란 무엇인가? 노년기에 발생하는 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생활과 영양 상태의 개선이 필요하며, 올바른 도구를 사용하여 노인의 영양불량을 초기에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18]. 최근에 개발된 노인 대상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는 우리나라 노인의 식생활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도구로 ‘식행동’, ‘절제’, ‘균형’, ‘다양성’의 4개의 세분화된 영역별 점수 산출이 가능하다 [19]. NQ-E를 사용한 연구로는, 독거노인의 영양섭취 상태 및 식생활과 건강실태를 조사한 연구와 [20], Gham 등 [21]이 경기도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영양지수를 조사한 결과가 있다.
노인의 식생활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원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노인의 식생활과 영양 상태 평가는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결과를 분석한 연구 [10-13], 인지 기능 상태에 따른 영양소 섭취 실태 [14,15],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영양소섭취 및 식품선호도에 관한 연구 [16,17] 등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서 우리나라 노인들의 영양소 섭취량은 한국인의 영양섭취기준과 비교했을 때 에너지, 단백질, 칼슘, 칼륨, 아연,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및 엽산의 섭취가 부족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Korea. 2019 Statistics of elderly in Korea; Population projections and summary indicators 1960-2067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19 Nov 13]. Available from: http://kosis.kr/eng. 

  2. Chung JY, Lee MY, Kim MJ. A study o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health-related habits and nutrients intak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4): 445-459. 

  3. Lee MS. Health-related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elderly subjects-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s,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nd nutritional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6): 772-781. 

  4. Bernstein M, Munoz N;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Position of the Academy of Nutrition and Dietetics: food and nutrition for older adults: promoting health and wellness. J Acad Nutr Diet 2012; 112(8): 1255-1277. 

  5. Lee HS.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Foc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habits, mental health, chronic diseases, and nutrient intake statu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2.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5): 479-489. 

  6. Kim SH, Kang HK, Kim JH.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ged. Korean J Nutr 2000; 33(1): 86-101. 

  7. Kim HR. A study on the association of diet quality and risk of mortality and major chronic diseases from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data. Health Soc Welf Rev 2013; 33(3): 5-30. 

  8. Kim MH, Chung HK.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belonging, powerlessness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J Korean Soc Food Cult 2015; 30(1): 118-128. 

  9. Rakicioglu N, Aksoy B, Tamer F, Yildiz EA, Samur G, Pekcan G, et al.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habits of the institutionalised elderly in Turkey: a follow-up study. J Hum Nutr Diet 2016; 29(2): 185-195. 

  10. Kim EM, Choi MK. An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the elderly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5): 818-827. 

  11. Park JE, An HJ, Jung SU, Lee Y, Kim CI, Jang YA. Characteristics of the dietary intake of Korean elderly by chewing abil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J Nutr Health 2013; 46(3): 285-295. 

  12. Han G, Yang E. Evaluation of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intake of Korean elderly: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8; 28(4): 258-271. 

  13. Kim DM, Kim KH.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Korean elderly by perceived anxiety and depressive condition: data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J Nutr Health 2019; 52(1): 58-72. 

  14. Kim HY, Lee JS, Youn JC, Chang MJ.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Korean elderly by degree of cognitive function. J Nutr Health 2016; 49(5): 313-322. 

  15. Bae MA, Lee YW, Kim HS, You JS, Chang KJ. Comparison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in a long-term care facility and a day-time care facility in Incheon. J Korean Soc Food Cult 2019; 34(4): 389-400. 

  16. Kwon JS, Lee SH, Lee KM, Lee Y. Study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and food preference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2): 200-217. 

  17. Yoon MO, Moon HK, Jeon JY, Sohn CM. Nutritional management by dietitian at elderly nursing homes in Gyeonggi-do. J Korean Diet Assoc 2013; 19(4): 400-415. 

  18. Omran ML, Morley JE. Assessment of protein energy malnutrition in older persons, part I: history, examination, body composition, and screening tools. Nutrition 2000; 16(1): 50-63. 

  19. Chung MJ, Kwak TK, Kim HY, Kang MH, Lee JS, Chung HR, et al. Development of NQ-E,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elderly: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8; 51(1): 87-102. 

  20. Lee HL. Nutrient intakes, dietary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7. p.1-124. 

  21. Gham M, Um M, Kye S. Evaluation of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based on nutrition quotient and health functional food intake in the Korea elderly. J Korean Soc Food Cult 2019; 34(4): 474-485. 

  22. Kim YS. The study of the impact of the family type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Health Soc Welf Rev 2014; 34(3): 400-429. 

  23. Shin SK, Kim HJ, Choi BY, Lee SS. A comparison of food frequency for the elderly regarding different family types -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for 2008. Korean J Nutr 2012; 45(3): 264-273. 

  24. Kim YJ. Comparison of health habit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by gender between eld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 16(3): 333-344. 

  25. Oh JH, Jung BM. Comparison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family statu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6. Korean J Community Nutr 2019; 24(4): 309-320. 

  26. Shin JW, Park YK, Suh SR, Kim J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diabetic patients of Korea: analysi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 J Korean Gerontol Soc 2011; 31(3): 479-487. 

  27. So EJ, Joung H. Socio-economic status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inadequate energy intake among Korean elderly. J Nutr Health 2015; 48(4): 371-379. 

  28. Chobanian AV, Hill M.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orkshop on sodium and blood pressur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ypertension 2000; 35(4): 858-863. 

  29.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1): 1-12. 

  30. Lee YJ, Kwon MK, Baek HJ, Lee SS.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of elderly women in Seoul area. J Nutr Health 2015; 48(3): 277-288. 

  31. Park HJ, Hwang YJ, Kim WY. Inflammatory cytokines and dietary factors in Korean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Korean J Nutr 2006; 39(4): 372-380. 

  32. Kim MH, Chung HK.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belonging, powerlessness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people. J Korean Soc Food Cult 2015; 30(1): 118-1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