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뜰보리수 열매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Antioxidative and Cytotoxic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Elaeagnus multiflor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0 no.2, 2007년, pp.134 - 142  

김성애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세인 (서일대학 식품영양과) ,  이미숙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nd cytotoxic effects of Elaeagnus multiflora by examining its scavenging effects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radical,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its inhibitory effects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HeLa cel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뜰보리수 열매에 대한 식품영양학적 평가 및 기능성 물질발굴을 통하여 식품의 이용가치 및 가공식품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뜰보리수 열매의 항산화, 항암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즉, 뜰보리수 열매의 과육과 종실 분획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효과, 지질 과산화 저해 효과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고, MTT assay를 이용하여 인체 자궁경부암 세포인 HeLa cell, 인체 유방암 세포인 MCF-7 cell 및 인체 위암 세포인 SNU-638 cell에 대한 암세포증식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im, HK, Na, GM, Ye, SH and Han, HS.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Kor. J. Food Culture. 19:484-490. 2004 

  2. Kim, EJ and Ahn, MS. Antioxidative effect of ginger extracts. Kor. J. Food Sci. 9:37-42. 1993 

  3. Hwang, EJ, Cha, YU, Park, MH, Lee, JW and Lee, SY. Cytotoxicity and chemosensitizing effect of camelia tea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33:487-493. 2004 

  4. Cheng, GC, Lee, JY, Kim, DC, Suh, SO and Hwang, WI. Inhibitory effect of Salvia rniltiorhiza extract on growth of some cancer cells. J. Kor. Soc. Food Sci. Nutr. 29:726-731. 2000 

  5. Ji, WD, Jeong, HC, Lee, SJ and Chun, YG. Antimicrobial activity and distilled components of garlic and ginger. J. Agric. Chem. Biotechnol. 40:514-518, 1997 

  6. 조무행. 원색한국수목도감. p372. 아카데미, 서울. 한국 

  7. 박종희. 한국약초도감, pp.953-954. 도서출판 신일상사, 서울. 한국. 2004 

  8. Kim, NW, Joo, EY and Kim, SL.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Kor. J. Food Preserv. 10:534-539. 2003 

  9. Hong, JY, Nam, HS, Kim, NW and Shin, SR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Elaeagnus multiflora fiuits during maturation. Kor. J. Food Preserv. 13:643-648. 2006 

  10. Hong, JY, Nam, HS, Lee, YS, Kim, NW and Shin, SR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 Thumb. during maturation. Kor. J. Food Preserv. 13:643-648. 2006 

  11. Hong, JY, Nam, HS, Lee, YS, Yoon, KY, Kim, NW and Shin, SR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fi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Kor. J. Food Preserv. 13:413-419. 2006 

  12. Chang, ZQ, Park, SC, Oh, BC, Lee, YS, Shin, SR and Kim, NW.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s for extracts of Elaeagnus multiflora. Kor. J. Medicinal Crops Sci. 14: 514-515. 2006 

  13. Chang, ZQ, Park SC, Oh BC, Lee YS, Shin, SR and Kim, NW. Anti-platelet aggregat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for extracts of Elaeagnus multiflora,. Kor. J. Medicinal Crops Sci. 14:516-517. 2006 

  14. Chen, HM, Muramoto, K, Yamauchi, F, Fujimoto, K and Nokihara, K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istidine-containing peptides designed from peptide fragments found in the digests of a soybean protein. J. Agric. Food Chem. 46:49-53. 1998 

  15. Saija, A, Scalese, M, Lanza, M, Marzullo, D, Bonina, F and Castelli, F. Flavonoids as antioxidant agents: Importance of their interaction with biomembranes.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19:481-486. 1995 

  16. Haase, G and Dunkley, WL. Ascorbic acid and copper in linoleate oxidation. I. Measurement of oxidation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and the thiobarbituric acid test. J. Lipid Research. 10:555-560. 1969 

  17. Chann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and Michell, JB.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936. 1987 

  18. Song, JH, Lee, HS, Hwang, JK, Chung, TY, Hong, SR, and Park, KM.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uns ribis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5:690-695. 2003 

  19. Cha, WS, Shin, HR, Park, JH, Oh, SL, Lee, WY, Chun, SS, Chao, JW and Cho, YI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 components from mu1beny fruits. Kor. Food Preserv. 11:383-387. 2004 

  20. Shim JH, Park, MW, Kim, MR, Lim, KT and Park, ST. Screening of antioxidant in Fructus mune(Pnmes mune Sieb. ct Zucc.) extracts.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5:119-123. 2002 

  21. Shon, MY, Seo, JK, Kim, HJ and Sung, NY.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oraji(Platycodon grandiflorum). J. Kor. Soc. Food Sci. Nutr. 30:717-720. 2001 

  22. Kang, YH, Park, YK, Oh, SR and Moon, KD.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 Kor. J. Food Sci. Technol. 27:978-984.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