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때죽나무의 부위별 면역 및 항암활성 비교
Comparison of Immune modulatary and Anticanc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arts of the Styrax japonica Sieb. et Zucc.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5 no.3, 2007년, pp.170 - 176  

권오웅 (국립산림과학원) ,  김철희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김효성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권민철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안주희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  이학주 (국립산림과학원) ,  강하영 (국립산림과학원) ,  이현용 (강원대학교 BT특성화학부대학, 강원대학교 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 cell과 T cell을 이용한 면역세포의 생육 촉진 실험에서, B${\cdot}$T cell은 배양 6일째 수피 추출물이 각각 $4.2{\times}10^4$cells/ml, $5.0{\times}10^4$cells/ml로 가장 높은 세포농도를 나타냈다. 면역세포를 이용한 cytokine의 분비량 측정실험에서는 수피추출물이 배양 시간에 따른 cytokine의 분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세포의 TNF-${\alpha}$의 분비량은 6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수피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7-8배 가량 더 높은 분비량을 나타낸 것을 확인하였다. IL-6의 경우 6일째 최고의 분비량을 나타내었고, 수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때죽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에 의한 NK cell의 면역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배양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 때죽나무 수피 추출물에서 B cell의 경우 $14.1{\times}10^4$cells/ml, T cell의 경우 $15.3{\times}10^4$cells/ml 으로 가장 높은 생육 활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정상 신장세포인 HEK293을 이용한 세포 독성을 살펴본 결과, 각 추출물은 1.0mg/ml의 농도에서 최고 27.4%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암활성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가지의 암세포를 이용하였는데, AGS와 MCF-7에서 뿌리추출물의 경우 1.0mg/ml의 농도에서 65정도의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암세포의 생육활성에 대한 정상 세포의 세포독성의 비로 나타낸 선택적 사멸도는 고농도에서는 모두 1.5이상으로 나타나 모두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cl-2 단백질 정량을 통한 항암활성 실험에서는, IOD 값이 수피, 목부, 잎 순으로 각각 72, 186, 200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하여 때죽나무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고, 유용성분 분리와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ticancer activities and immune modulatar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arts of the S. japonica Sieb. et Zucc. The cytotoxicity on human kidney cell (HEK 293) was showed below 27.4% in adding the methanol extracts. The anticancer activity were increased in over 60% by 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양발생과 관련된 bcl-2 단백질 정량 및 면역세포의 생육도 측정, cytokine, NK cell 등의 면역활성 측정을 통하여 때죽나무가 가지는 기능성 식품소재로 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때죽나무 부위별로 항암 및 면역 활성 탐색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dersen MH, Svane IM, Kvistborg P, Nielsen OJ, Balslev, Reker S, Becker JC, Straten PT (2005) Immunogenicity of Bcl-2 in patients with cancer. Immunobiology 105(2):728-734 

  2. Campos L, Rouault JP, Sabido O, Oriol P, Roubi N, Vasselon C, Archimbaud E, Magaud JP, Guyotat D (1993) High expression bcl-2 protein in acute myeloid leukemia cells is associated with poor response to chemotherapy. Blood 18:3091-3096 

  3. Castle VP, Heidelberger KP, Bromberg J, Ou X, Dole M, Nunez G (1993) Expression of the apoptosis-suppressing protein bcl-2, In neuroblastoma is associated with unfavorable histology and N-myc amplic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43:1543-1550 

  4. Clark WH (1991) Tumor progression and the nature of cancer. British journal of cancer 64:631-644 

  5. Colombel M, Symmans F, Gil S, O'Toole KM, Chopin D, Benson M, Olsson CA, Korsmeyer S, Buttyan R (1993) Detection of the apoptosis-suppressing oncoprotein bcl-2 in hormone refractory human prostate cancers. The American journal of pathology 143:390-400 

  6. Doll R, Peto R (1981) The Causes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66(6):1192 

  7. Han BH, Park MH, Cho JY, Park JS, Yoo ES, Baik KU (1998) Effect of Ginsenosides from Panax ginseng on TNF-a production and T cell proliferation.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42(3):296-301 

  8. Hirano T, Goto M, Oka K (1994) Natural flavonoids and lignans are potent cytosaticc agents against human leukemic HL-60 cells. Life Sciences 55:1061-1069 

  9. Hockenbery D, Nunez G, Milliman C, Schreiber RD, Korsmeyer SJ (1990) Bcl-2 is an inner mitochondrial membrane protein that blocks programmed cell death. Nature 348:334-336 

  10. Kerr JF, Willie AH, Currie AR (1972) Apoptosis; a basic biologic phenomenon with wide-ranging implications in tissue kinetics. British journal of cancer 26:239-257 

  11. Korsmeyer (1992) Bcl-2 indicates a new category of oncogenes; Regulations of cell death. Blood 80:879 

  12. Lee DH, Kim JH, Huh JR, Kim DJ, Kim YM, Kim YT, Nam JH, Mok JE (1998) Expression and Prognostic Significance of bcl-2 in Epithelial Ovarian Tumor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1(5):1304-1314 

  13. Lee JM, Cho HI, Kang JS (1999) The Studies for Usefilness of Overexpression of bcl-2, p53 Gene and Apoptosis as a Response Predictor to neoadjuvant Chemotherapy in Cervical Cancer.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2(5):1096-1101 

  14. Lee SH, Lee HS, Park YS, Hwang B, Kim JH, Lee HY (2002) Screening of Immune Activation Activation Activities in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0:109-115 

  15. Lee YN (1996) Flora of Korea. Kyohak Pub. Co., Seoul. p. 606 

  16. Leek RD, Kaklamanis L, Pezzela F, Garter KC, Harris AL (1994) Bcl-2 in normal human breast and carcinoma, association with estrogen receptor-positiv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negative tumors and in situ cancer. British joumal of cancer 69:135-139 

  17. Limdbolum CK (2002) IL-2 receptor signaling through the Shb adapter protein in T and NK cell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96:929-936 

  18. McDonnell TJ, Deane N, Platt FM, Nunez G, Jaeger U, McKearn JP, Korsmeyer SJ (1989) Bcl-2 immunoglobulin transgenic mice demonstrate extended B cell survival and follicular Iymphoproliferation. Cell 57:79-88 

  19. Pezzelia F, Turley H, Kuzu I et al. (1994) Bcl-2 protein in nonsmall-cell lung carcinom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9:690-694 

  20. Silvestrini R, Veneroni S, Daidone MG, Benini E, Boracchi P, Mezzetti M, Di Fronzo G, Rilke F, Veronesi U (1994) The bcl-2 protein; a prognostic indicator strongly related to p53 protein in lymph node-negative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86:49-504 

  21. Takanashi M, Tajizawa Y. (1998) New benzofurans related to egonol from immature seeds of Styrax obassia, Phytochemistry 27:1224-1226 

  22. Vaux DL, Cory S, Adams JM (1988) Bcl-2 gene promotes hematopoietic cell survival and cooperates with c-myc to immortalizepre-B cells. Nature 335:440-442 

  23. Yueran Z, Rui S, You L, Chunyi G, Zhigang T (2003) Expression of leptin recrptors and response to leptin stimulation of human natural killer cell line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00:247-252 

  24. Yunis JJ, Mayor MG, Arnesen MA, Aeppli DP, Oken MM, Frizzera G (1989) Bcl-2 and other genomic alternations in the prognosis of large-cell lymphom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0:1047-1054 

  25. 김갑태 (1989) 종자의 전처리가 몇 수종의 포장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78(1):26-29 

  26. 오오진 (1991) 쇠비름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계에 끼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