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철쑥의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특성과 주성분 변화
Changes of Major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5 no.3, 2007년, pp.189 - 193  

주인옥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유동현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송영은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장익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류정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진안숙근약초시험장) ,  최소라 (전라북도농업기술원 진안숙근약초시험장)

초록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수확시기 및 부위별 생육특성, scoparone과 capillarisin함량을 조사하여 약리 성분 함량이 높은 수확시기와 부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철쑥은 7월 30일경 꽃봉오리가 형성되었으며 8월 30일 만개하여 9월에 종자가 성숙되었다. 생육은 8월 30일에 가장 양호하여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았다. 특히 이 시기에 엽은 관찰되지 않았고 생체중은 243.7g으로 높았는데 종실의 무게는 109.6g, 줄기의 무게는 134.Is이었다. Scoparone 함량은 종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8월 30일 종실에서 6.50mg/g DW로 가장 높았다. 또한 capillarisin은 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엽과 종실에서 나타났는데 7월 30일 종실에 1.65mg/g DW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major component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s in Artemisia capillaris. Flower buds farmed on July 30 and flowers were all open on August 30 and seeds were mature in September, As the growth by harvesting time was the best on August 30 so 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철쑥의 수확시기 및 부위별 생육특성, scoparone 및 capillarisin 함량을 조사하여 약리성분 함량이 높은 수확시기와 부위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BM (2000) What is In-Jin-Sook?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iwayomogi and Artemisia annua. Kor. J. Hepatology 16:548-551 

  2. Chang HM, But PPH (1987)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of Chinese materia medica. World Scientific. Singapore p. 867-871 

  3. Cho YH, Chiang MH (2001)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argyi, and Artemisia princeps. Kor. J. Int'l Agri. 13:313-320 

  4. Ikenaga T, Hizako M, Tajima M, Nakashima K (1994) Production of choleretic substances in the capitulum, leaf and stem of Artemisia capillaris during the plant growth cycle. Biol. Pharm. Bull. 17:150-15l 

  5. Jang SI, Kim YJ, Lee WY, Kwak KC, Baek SH, Kwak GB, Yun YG, Kwon TO, Chung HT, Chai KY (2005) Scoparone from Artemisia capillaris inhibits the release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 264.7 cells upon stimulation cells by interferon-gamma plus LPS. Arch. Pharm. Res. 28:203-208 

  6. Jwa CS, Wang YT, Koh JS (2000) Changes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free amino acids and minerals by harvest time and parts of Acanthopanax koreanum. J. Kor. Soc. Agric. Chem. Biotech. 43:106-109 

  7. Kim YG, Kim KS, Chang YH, Yu HS (1996)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growth and root yield in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Kor. J. Med. Crop Sci. 4:329-332 

  8. Kiso Y, Ogasawara S, Hirota K, Watanabe N, Oshima Y, Konno C, Hikino H (1984) Antihepatotoxic principles of Artemisia capillaris buds. Planta Med. Feb(1):81-85 

  9. Komiya T, Tsukui M, Oshio H (1975) Capillarisin, a constituent from Artemisia Capillaris Herba. Chem. Pharm. Bull. 23:1387-1388 

  10. Komiya T, Tsukui M, Oshio H (1976) Studies on 'Inchinko' Capillarisin, a new choleretic substance. Yakugaku Zasshi 96:841-854 

  11. Lee CH, Choi MS, Kwon KW (2000) Variation of kalosaponin contents in plant parts and population of native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Kor. J. Pharmacogn. 31:203-208 

  12. Lee HJ, Hwang EH (2002)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on the plasma and liver lipid metabolism in rats. Kor. J. Nutr. 35:421-430 

  13. Lee HJ, Hwang EH, Yu HH, Song IS, Kim CM, Kim MC, Hong JH, Kim DS, Han SB (2002) The analysis of nutrients in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J. Kor. Soc. Food Sci. Nutr. 31 :361-366 

  14. Lee ST, Ryu JS, Kim MB, Kim DK, Lee HJ, Heo JS (1999) Crude saponin cont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Kor. J. Med. Crop Sci. 7:172-176 

  15. Okuno I, Uchida K, Nakamura M, Sakurawi K (1988) Studies on choleretic constituents in Artemisia capillaris Thunb.. Chem. Phann. Bull. 36:769-775 

  16. Park JH (2002) The Encyclopedia of Chinese Crude Drugs. Shinilbooks Press. Seoul. p. 667 

  17. Wee JH, Moon JH, Park KH (1999) Catechin content and composition of domestic tea leaves at different plucking time. Kor. J. Food Sci. Tech. 31:20-23 

  18. Yamahara J, Kobayashi G, Matsuda H, Katayama T, Fujimura H (1989) The effect of scoparone, a coumarin derivative isolated from the Chinese crude drug Artemisiae Capillaris Flos, on the heart. Chem. Pharm. Bull. 37:1297-12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