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균사체 배양액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by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ulberry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7 no.6 = no.86, 2007년, pp.816 - 821  

박상상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류영배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이영훈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조용운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조수정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기훈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갈상완 (진주산업대학교 미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의 in vivo, in vitro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은 10~50%의 농도 의존적으로 시험관 내에서 멜라닌 합성관련 효소활성의 저해를 나타냈다. 뽕잎 추출물 자체는 mouse melanoma cell (B16BL6)에 대한 세포독성을 보였으며 IC$_{50}$%값이 약 7% 농도로 나타난 반면,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배양액은 50% 농도에서도 어떠한 세포독성도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16BL6 mouse melanoma cell의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 대해서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뽕잎 추출물을 이용한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액은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전혀 없으며, 멜라닌 생합성 저해 작용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확인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hitening effect of mycelial culture broth of P. japonica in the mulberry leaf extract. The culture broth inhibited melanin synthesis in vitro in the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of 10 to 50%. The mulberry leaf extract itself has a cytotoxicity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뽕잎추출물에 눈꽃 동충하초 균사체를 배양한 배양물을 멜라닌 생성 세포(B16BL6 mouse melanoma cell)에 처리함으로써 뽕잎 자체의 독성제거 효과와 멜라닌 생합성의 억제 기작을 확인하여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sano, N., K. Oseki, E. Tomioka, H. Kizu and K. Matsui. 1994. N-containing sugar from the Morus alba abd their gly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Carbohydrate Research 259, 243-255 

  2. Bao, Z. D., Z. G. Wu and F. Zheng. 1994. Amelioration of aminoglyvoside nephrotoxicity by Cordyceps sinensis in old patient. Chin. J. Integr. Med. 14, 271-273 

  3. Bell, A. A. and M. H. Weeler. 1986. Biosynthesis and function of fungal melanin. Amm. Rev. Phytophathol. 240, 411-451 

  4. Dietschy, J. M. and J. D. Wilson. 1970. Regulation of cholesterol metabolism. N Engl J Med. 282(21), 1179-83 

  5. Dooley. T. P., R. C. Gadwood, K. Kilgore and L. M. Thomasco. 1994. Development of an in vitro primary screen for skin depigmentation and antimelanoma agents. Skin Pharmacol. 7(4), 188-200 

  6. Gordon, P. R., C. P. Mansur and B. A. Gilchrest. 1989. Regulation of human melanocyte growth, dendricity, and melanization by keratinocyte derived factors. J. Invest. Dermatol. 92, 566-572 

  7. Han D. S., N. H. Soung and Y. U. Kim, 1999. The prosent condition of Dong-Chong-Ha-Cho, issue and research pla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rchnology 32(4), 67-71 

  8. Hearing, V. J. and T. M. Ekel. 1976. Mammalian tyrosinase. Biochem. J. 157, 549-557 

  9. Katai, K. 1942. Trace components in mulberry leaves. J. Chem. Soc. Jph. 18, 379-383 

  10. Khaw, K. T. and C. E. Barret. 1987. Dietary fiber and reduced ischemic heart disease mortality in men and women. Am J. Epideilol. 126, 1093-1095 

  11. Kim, S. K., Y. C. Kim and S. Y. Kim. 1999.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mulberry leaves in adult females. Soonchunhyang J. Nat. Sci. 5, 167-171 

  12. Kim, S. Y., W. C. Lee, H, B, Kim, A. J. Kim and S. K. Kim. 1998.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217-1222 

  13. Kimura, M., F. Chen, N. Nakashima, I. Kimura, N. Asano and S. Koya. 1995. Antihyperglycemic effect of N-containing sugar derived form mulberry leaves in STZ-induced diabetic mice. J. Trad Med. 12, 214-216 

  14. Kondo, Y. 1957 Trace constituents of mulberry leaves. Nippon Sanshigaku Zasshi. 26, 349-353 

  15. Lee, W. C., A. J. Kim and S. Y. Kim. 2003. The study on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effects of mulberry leaf. Food Science and Industry 36, 2-14 

  16. Lee, Y. H., U. S. Choi, K. H. Park Y. J. Choi and S. W. Gal. 2006. Anti-wrinkle effect of mycelial culture broth of Paecilomyces japonica in the mixture of cucumber and grape extracts. Korean J. Life Science, 16(3), 516-521 

  17. Mahley, R. W, K. H. Weisgraber and T. L. Inneraritym. 1974. Characterization of the plasma lipoprotein associated with atherogenic and nonantherogenic hyperlipoproteinemia. Circ. Rev. 35, 722-723 

  18. Nita, A. and A. R. Young. 2005. Melanogenesis: a photoprotective response to DNA damage? Mutation Research 571, 121-132 

  19. Shim. J. Y., Y. S. Lee, S. S. Lim, K. H. Shin, J. E. Hyun, S. Y. Kim and E. B. Lee. 2000.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Paecilomyces japonica, A New Type Cordyceps sp.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1(2), 163-167 

  20. Tajima S., A. Ura-Ishiko and A. Hayashi. 1996. Melanogenesis, biosynthetic phenotype of fibronectin and collagen and migrating activity in cloned B16 mouse melanoma cells. J. Dermatological Science 12(1), 24-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