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체 장애인을 위한 개호복 디자인
Adaptive Clothing Designs for the Individuals with Special Need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1 no.6 = no.165, 2007년, pp.933 - 941  

나현신 (서울여자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재해로 인한 후천적인 장애인과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들이 가지는 신체적인 제약을 보완할 수 있는 개호복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체 장애인의 의상 디자인을 위한 아이디어나 해결책을 제공하여 패션과 기능이 접목된 의상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장애로 인한 신체적인 특성 및 의상착용에서의 문제점 등을 조사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개호복 디자인에서 고려해야 할 필수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장애인이나 노인을 위한 의상을 취급하는 21개의 웹사이트를 선정하여 조사하고, 실용적이고 기능적이며 미적인 의상들을 품목별로 제시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의복에서는 오프닝의 구성 및 위치, 단추 지퍼 벨크로 등과 같은 여밈의 종류와 수, 움직임의 편안함과 연결된 디자인 개발이 주의깊게 고려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신체적 인 제약을 보완할 수 디자인의 연구와 개발은, 장애인 개개인이 자신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고 의기소침함에서 벗어난 긍정적인 사고를 갖게 하고 숨어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사회적 재활의 한 측면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으므로 꾸준히 지속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the numbers of the disabled and elderly have been increasing, and the development of adaptive clothing for these people is in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ideas and solutions for the special needs clothing design. The knowledge of medical situation of the individuals with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special needs clothing design combining fashion and function. This can offer an advice not only to the individuals with special needs but also to the designers interested in creating special needs cloth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ideas and solutions for the special needs clothing design combining fashion and function. To provide the right clothing for the people with special needs, the examination of their medical situation has been preceded since the clothing problems arise from a medical situation, and the knowledge of these can help to approach to the clothing designs for the disabl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Bumphrey, E. E. & Stevens, B. M. (1981). Dressmaking for the disabled (2nd ed.). London: The college of occupational therapists 

  2. Goldsworthy, M. (1981). Clothes for disabled people. London: B.T. Batsford Ltd. 

  3. Hoffman, A. M. (1979). Clothing for handicapped, the aged, and other people with special needs. Springfield: Charles C. Thomas 

  4. Horn, M. J. (1985). The second skin (2n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5. Kennedy, E. S. (1981). Dressing with pride. Groton: PRIDE Foundation 

  6. Thorton, N. (1990). Fashion for disabled people. London: B.T. Batsford Lt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