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0년대 이후 장애인 의복 연구 사례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the Contemporary Fashion Research Cases for Handicapped People Since 2000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2 no.2, 2018년, pp.298 - 310  

김경아 (수원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how to improve clothes according to types of disability and classify related studies. The study method used a literature review along with studies conducted after 2000.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ypes of disability causing difficulty in terms of clothing habits are limb dis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중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Research Institute [NRCRI],2010)가 실시한 장애유형별 옷차림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Table 4]와 같이 청각 및 언어감각 장애는 일반적인 의생활과 관련하여서는 드러나는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그러나 시각장애는 환경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는 기관에 장애가 있어 일상적인 의생활 영위가 불가하므로 감각장애 중에서는 시각장애와 관련한 의생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또한 장애의 정의를 바탕으로 의복 개선이 필요한 장애유형을 한정하였으며 이들의 의생활 필요상황에 관해 정리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의 장애인 의복의 필요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또한 이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의 진행이 과거 어떠한 방향성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한다. 다음 단계로는 최근 장애인의 의복 연구에 관해 분석하기 위해 2000년도 이후 장애인 의복 관련 연구를 정리함으로써 장애인 의복 연구의 주제 및 유형별 정리를 시행하도록 한다.
  • 먼저 장애에 관한 이론적 고찰은 가장 최근의 국내 장애인 관련 통계인 고용노동부가 발간한 『2017년도 장애인실태조사보고서』(EDI, 2017)와2015년도 이후 개정된 장애인복지법의 내용을 바탕으로 장애용어를 정의하였다. 또한 장애의 정의를 바탕으로 의복 개선이 필요한 장애유형을 한정하였으며 이들의 의생활 필요상황에 관해 정리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의 장애인 의복의 필요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또한 이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의 진행이 과거 어떠한 방향성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애인 수의 증가에 따라 현실에 적용 가능한 장애인 의복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에 따른 의복의 필요요소와 최근의 장애인 의복 관련 선행연구에 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장애인 의복 시장과 관련된 상업화의 단계에 대해 정리함으로써 장애인 의복과 관련된 총체적 점검을 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다음 단계로는 최근 장애인의 의복 연구에 관해 분석하기 위해 2000년도 이후 장애인 의복 관련 연구를 정리함으로써 장애인 의복 연구의 주제 및 유형별 정리를 시행하도록 한다. 또한 장애인 의복 시장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사례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근의 장애인 의복 연구 주제의 동향과 장애인 의생활과 연관된 시장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애인 수의 증가에 따라 현실에 적용 가능한 장애인 의복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장애에 따른 의복의 필요요소와 최근의 장애인 의복 관련 선행연구에 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장애인 의복 시장과 관련된 상업화의 단계에 대해 정리함으로써 장애인 의복과 관련된 총체적 점검을 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둘째, 목발 사용자의 경우에는 겨드랑이에 체중이 실리게 되므로 암홀에 여유분을 충분히 주고 암홀 아래쪽에 원단을 덧대어 피부가 상하지 않도록 개발하였다. 셋째, 사지 보강용 의지를 위한 개발이다. 의지는 팔 절단이나 다리 절단 및 변형으로 의수·의족을 필요로 하는 장애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경우 움직이지 않는 팔이나 다리 쪽으로 의복을 착장하기 쉽도록 소매통·바지통이 넓거나 의수 및 의족 착장 부위의 봉제선에 지퍼나 벨크로를 덧대어 착·탈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 전통적인 장애인 의복 연구의 주제는 앞서 언급하였듯 의복구성,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 집계한 국내 학술지 및 관련 학위논문에 나타난 2000년대 이전과 이후 장애인 의복의 연구주제에 대한 동향은 아래 [Table 6]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구의 주제를 분류함에 있어 전통적인 의류학의 연구주제는 디자인 및 미학, 의복구성, 패션마케팅, 의상심리, 피복과학 등의 주제로 분류함에 근거하여 장애인 의복연구주제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의복에 관련된 도움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는 그들의 신체특성이 반영되고, 독립적 의생활이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는 의복에 대한 활용이 쉽지 않은 상황인 장애는 지체장애, 뇌병변장애, 시각장애와 휠체어 사용이 필요한 중증 신체내부장애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중 신체장애, 특히 외부 신체기능장애는 여전히 의상을 탈착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으며 신체의 어느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신체와 의상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외부 신체기능장애를 장애인 의복 관련 연구를 위한 장애로 한정하여 정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의복 연구가 필요한 장애를 정리한 내용은 [Table 2]와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련 분야의 학문적 성과에 대해 정리하여 장애유형별 디자인 개발 유형과 상업화에 관한 정리를 실시함으로써 장애인 의복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추후 개발할 장애인 의복 개발 연구주제 설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장애인 의복 관련 연구를 위한 연구 활성화를 도모하고 관련 산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거시적 의미에서 신체장애는 움직임이 불편한 사지장애와 시각·청각·언어감각이 불편한 감각장애로 나눌 수 있다. 이에 장애유형별 의복에 관련된 내용을 살펴봄에 있어 인체움직임에 제약이 있는 경우와 감각의 불편함으로 일상적 의생활 영위에 어려움이 있는 감각장애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장애인 의복 시장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사례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근의 장애인 의복 연구 주제의 동향과 장애인 의생활과 연관된 시장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신장애자란? 장애인 관련법은 ‘지체부자유, 시각장애, 청각장애, 음성·언어기능장애 또는 정신박약 등 정신적 결함으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제약을 받는 자’가 심신장애자라는 1981년의 심신장애자복지법에서 발전해왔다(Lee, 2005). 이후 심신장애자는 장애인으로 용어가 변하였으며 그 정의도 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또는 정신지체 등 정신적 결함으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용어와 구성이 변하여 왔다.
2017년 개정된 장애인차별금지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장애인의 정의는 무엇인가? 2015년 개정된 장애인복지법 제2조 제1항은 “장애인”을신체적·정신적 장애로 오랫동안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Disabled Person Welfare Law]」, 2017). 또한 2017년 개정된 장애인차별금지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장애인은 신체적·정신적 손상 또는 기능상실이 장기간에 걸쳐 개인의 일상 또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초래하는 상태가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Anti-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2017). 이에 최근의 장애인복지법은 장애인의 종류와 기준을 외부 신체기능장애와 내부기관장애를 포함하는 신체적 장애인과 정신적 장애인으로 구분하여 [Table 1]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Disabled Person Welfare Law]」, 2017).
장애인 수의 증가 현상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장애인 수의 증가는 장애의 범주에 대한 해석의 확대와 신규 장애종류에 대한 유입 뿐 아니라 국가의 다양한 장애인 정책과 사회적 인식개선 등에 기인한 바도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보다 구체적인 장애인 관련 정책이나 수요를 야기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 최근 장애를 보완해줄 수 있는 여러 보조 기구와 장치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를 보완하면서도 실 사용자인 장애인의 심미적 욕구 충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여러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으며 장애인 의복 역시 자유롭고 즐겁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여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hn, J. H., & Lee, S. J. (2007). A study on developing color braille system for the blind.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0(4), 571-581. 

  2. Ahn, J. S. (2001). A study on the clothing and purchase behavior for the handicapp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3. Bae, S. J. (2015). Developing suit designs and patterns for the male disabled in wheelchai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4. Bae, S. J., Yang, J. E., Yoo, H. C., & Park, K. A. (2016). Development of suit prototype pattern for mass customization of wheelchair user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50, 39-48. doi:10.21326/ksdt.2016.50.004 

  5. BLACK. (2017). B BAG. Retrieved December 21, 2017, from http://b-bag.kr/black/ 

  6. Cho, H. G., &. Lee, Y. J. (1999). The effect of blinf on plantar pressure during walking.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7(1), 95-103. 

  7. Choi, B., & Koo, Y. (2017). A case study on product design for visually impaired that reflects creating shared value strateg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Spring Conference, 118-119. 

  8. Chung, S. H., & Lee, H. J. (2006). A research on the design preferences among and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lothing designs for disabl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6), 58-71. 

  9.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2017). EDI 2017 Disabled statistics. Seongnam: Author. 

  10. Freeman, C. M., Kaiser, S. B., & Wingate, S. B. (1985). Perceptions of functional clothing by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 social-cognitive framework.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4(1), 46-52. doi:10.1177/0887302X8500400107 

  11. Hong, S. S. (2001). Clothing for the handicapped: Brace-crutch & wheelchair user.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6), 830-841. 

  12. Hong, S. S., Seok, H. J., & Kim, Y. M. (2001). Clothing for the handicapped(Part II)-Wheelchair & crutch us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10), 1791-1800. 

  13. Jeon, S. C. (2013). A study on the men's wear design for lower limb ampute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Seosan. 

  14. Kim, E. D. (2017). A study on the ergonomic fashion design in fashion websites since 2000.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Kim, H. K. (1999). Functional clothing for the handicapped. Seoul: Gyomoon Publishers. 

  16. Kim, J. M. (1999, July 10). "장애인이 입을 사랑의 옷 만들어요" ["Make clothes of love for disabled"]. NAVER 뉴스 라이브러리 - 매일경제 [NAVER News Library - Maeil Business Newspaper]. Retrieved January 22, 2018, from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9071000099125006&edtNo16&printCount1&publishDate1999-07-10&officeId00009&pageNo25&printNo10416&publishType00010IdMENU01101 

  17. Kim, K. A.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lothes for the visually impaired - Focusing on the multi-functional design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18. Kim, S. Y. (2015).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in clothing of disability.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7, 233-246. doi:10.21326/ksdt.2015.47.020 

  19. Kim, Y. J. (2004). Clothing design research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 The subject of those who requires a wheelchai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20. Koo, Y. H. (2003).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guide by the cognition characteristics and wayfinding behavior of the blind - Focused on the blind educational building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21. Lamb, J. M. (2001). Disability and the social importance of appearanc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9(3), 134-143. doi:10.1177/0887302X0101900304 

  22. Lee, H. J. (2005). The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tudy on the design of functional clothes of disabl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3. Lee, J. H. (2014). A research on clothing environment to develop formal suits, discomfort and design preference of the male disabled in wheelchai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24. Lee, Y. S., & Yoo, H. J. (2003). A study on fabrics and designs of clothing for handicapped persons. The Journal of Applied Science Technology, 12(2), 1-11. 

  25. McKnight, Z. (2016, October 24). Adaptive fashion brand IZ Collection shutting down. The Star. Retrieved December 21, 2017, from https://www.thestar.com/life/fashion_style/2016/10/24/adaptive-fashion-brand-iz-collection-shutting-down.html 

  26. Moon, S. J. (2006). Study on development of universal fashion design for the elderly & disabled wom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27. Na, H. S., Kim, K. Y., Kim, H. J., & Kim, H. Y. (2012). Universal fash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persons - Design development of woman casual jumper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6, 181-190. doi:10.21326/ksdt.2012.36.016 

  28.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Research Institute. (2010). 노약자와 장애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재활보조기술에 대한 요구수요조사 [Needs for rehabilitation assistance in daily life of the elderly and disabled]. Seoul: Author. 

  29. Paek, J. E., & Chun, J. S. (2005). An universal clothing design for the persons with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1(4), 51-61. 

  30. Park, S. M. (2004).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digital wear for the physically disabl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1. Shin, S. M. (2008). Apparel classification for handicapped women reflecting their characteristics on dres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2. Sim, S. S. (1976). A study of clothing for handicapp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Better Living, 16, 163-173. 

  33. Song, J. R. (2015). A study on the functional clothing for handicapped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34. Song, M. K., & Park, S. J. (1998). 기능복 [Functional wear]. Seoul: Soohaksa. 

  35. Syn, H. Y. (2017). A study on the cases of textile and fashion design converged with smart technology and sustainable valu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3(2), 359-376. doi:10.18208/ksdc.2017.23.2.359 

  36. Yang, C. E., Lee, J. H., & Park, G. A. (2014). An analysis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papers and patents of clothing products to improve functionality of the clothing for the disabled in wheelchair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2, 7-16. doi:10.21326/ksdt.2014.42.001 

  37. Yang, M. J. (2016). Mobile app design research project - Blind people to enjoy an independent clothing lifestyl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8.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Disabled Person Welfare Law]. (2017).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December 14, 2017, from https://www.law.go.kr/lsSc.do?menuId0&p1&subMenu1&nwYn1§ion&tabNo&query%EC%9E%A5%EC%95%A0%EC%9D%B8%EB%B3%B5%EC%A7%80%EB%B2%95%20%EC%8B%9C%ED%96%89%EB%A0%B9#undefined 

  39.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Anti-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2017).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November 20, 2017,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5377&efYd20170726#00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