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전용 모터의 FMEA 실시 과정에서의 RPN 평가방법 재정립
Reestablishment of RPN Evaluation Method in FMEA Procedure for Motors in Household Appliances 원문보기

品質經營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35 no.1, 2007년, pp.1 - 9  

김상연 (LG 전자) ,  김호균 (동의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윤원영 (부산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is a widely used technique to assess or to improve reliability of products at early stage of design and development. Traditionally, the prioritization of failures for corrective actions is performed by developing a risk priority number (RPN). In practice, du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PN 평가시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전동기 모터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향도 평가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 고장모드에 대한 영향을 제품뿐만 아니라 공정의 관점에서도 평가하도록 하였고, 최종 단계에서의 영향을 고려하도록 하는 평가 기준을 재정립하였다.
  • RPN의 절대 점수에 의한 대책수립기준 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RPN 상위 고장모드에 대해서도 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하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 그리고 재정립된 RPN 평가기준을 가전용 전동기 모터의 개발 및 생산과정에서의 FMEA 실시에 적용하여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둘째, 동일 제품이나 프로세스에 대해서 평가할 경우 평가자간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호성이 개선된 평가기준을 만들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FMEA 실시 과정의 하나인 RPN 평가시의 주요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평가기준을 재정립하고 이를 가전용 전동기 모터에 적용하여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RPN 평가시의 주요 문제점은 첫째, 적용하고자 하는 제품에 적합하지 못한 평가기준의 적용이었으며 둘째, 평가자간 평가결과의 불일치를 가져오는 평가기준의 모호성이었다.
  • 본 논문에서는 FMEA의 실시과정 중 현업에서 경험하는 RPN 평가시의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적용제품 및 공정에 적합하고, 평가자 간의 일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RPN 평가기준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재정립된 RPN 평가기준을 가전용 전동기 모터의 개발 및 생산과정에서의 FMEA 실시에 적용하여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달라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전용 전동기 모터 제조업체의 특성에 맞도록 재조정하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M업체의 가전용 모터에 적절한 RPN 평가기준을 재정립하고, 세탁기에 사용되는 W모터에 적용하여 효용성을 검증한다. 현재 M업체에서는 QS 9000 기준을 응용한 RPN 평가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가설 설정

  • 넷째, 담당업무에 따른 이해관계나 시각의 차이이다. 주로 RPN이 높게 평가되었을 때, 그 대책의 수립이나 실행을 담당해야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RPN 평가 시 위험을 낮게 평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이승훈(2006), Minitab 측정시스템 분석, 2판, 이레테크 

  2. 정해성, 권영일, 박동호(2005), 신뢰성 시험 분석 평가, 영지문화사 

  3. 장중순, 안동근(1997), '효과적인 FMEA 실시', 품질경영학회지, 25권, 1호, pp 156-172 

  4. Huang, G. Q., Nie, M., and Mak, K. L.(1999), 'Web-based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 Computers & Industrial Engineering, Vol. 37, pp. 177-180 

  5. Jeong, K. H., Kume, H., and Iizuka(1995), 'Implementing FMEA through multiple points of view', ASIA Quality Management Symposium, pp. 85-90 

  6. Pillay, A. and Wang, J.(2003), 'Modified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using approximate reasoning',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Vol. 79, pp. 69-85 

  7. Sankar, N. R. and Prabhu, B. S.(2001), 'Modified approach for prioritization of failures in a system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 Reliability Management, Vol. 18, No.3, pp. 324-335 

  8. Seyed-Hosseini, S. M., Safaei, N., and Asgharpour, M. J.(2006), 'Reorioritizati-on of failures in a system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by decision making trial and evaluation laboratory technique',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Vol. 91, pp. 872-881 

  9. Teoh, P. C. and Case, K.(2004),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through knowledge modelling', Journal of Materials Processing Technology, Vol. 153-154, pp. 253-260 

  10. Wang, J., Ruxton, T., and Labrie, C. R.(1995), 'Design for safety of engineering systems with multiple failure state variables',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Vol. 50, pp. 271-284 

  11. Xu, K, Tang, L. C., Xie, M., Ho, S. L., and Zhu, M. L.(2002), 'Fuzzy assessment of FMEA for engine systems',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Vol. 75, pp. 17-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