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21 보병전투차량에 FMEA 적용을 통한 RPN 평가방법 재정립
Reestablishment of RPN Evaluation Method in FMEA Procedure for K21 원문보기

品質經營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40 no.3, 2012년, pp.306 - 315  

이창희 (국방기술품질원) ,  양경우 (국방기술품질원) ,  김상부 (창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nsure good quality munitions, we require quantitative risk management and optimal risk management of system characteristics. Methods: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is a widely used technique to assess or to improve reliability of products at early stage of design and develop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21 장비에 실제 FMEA 위험 식별 방안을 적용한 후 RPN 평가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RPN 평가기준과 대책수립기준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 그리고 이런 문제점의 결과는 중요한 고장모드에 대한 위험 식별의 누락과 이에 따른 사용자의 불만 및 인명피해 등을 야기 시킬 수 있다. RPN 평가시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영향도 평가 시 우선 위험식별에 대한 영향을 제품뿐만 아니라 공정의 관점에서도 평가하도록 하였고, 여기서 공정/시스템/고객의 각 평가 등급이 상이할 때에는 최악의 등급을 영향도 등급으로 하도록 하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 셋째, 평가 오류시의 가장 큰 문제점인 위험 식별 누락이 최소화 되도록 위험 식별기준을 재조정한다. RPN의 절대 점수에 의한 위험 식별뿐만 아니라, 상대적인 RPN 상위 고장모드에 대해서도대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하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 둘째, 동일 제품이나 프로세스에 대해서 평가할 경우 평가자간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호성이 개선된 평가기준을 만들고자 한다.
  • 첫째, 위험 식별을 적용하고자 하는 제품이나 특성에 따라 RPN 평가기준이 달라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K21 장비 특성에 맞도록 재조정 하고자한다.
  • 본 논문에서는 K21 장비에 FMEA를 적용한 후 RPN 평가시의 주요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평가 기준을 재정립하고 이에 대한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기존 RPN 평가시의 주요 문제점은 첫째, 위험 식별 하고자 하는 제품에 적합하지 못한 평가기준의 적용이었으며 둘째, 위험 식별 평가자간 평가결과의 불일치를 가져오는 평가 기준의 모호성이었다.
  • 본 논문에서는 정량적인 위험 식별을 위해서 FMEA를 K21 보병전투차량에 적용하여 실시과정 중 나타나는 RPN 평가 시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적용제품 및 공정에 적합하고, 위험의 영향성/발생가능성의 일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RPN 평가기준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K21 보병전투차량에 적절한 RPN 평가 방법 재정립 및 효용성을 검증하여 방산제품에 입각한 위험 식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군수품은 RPN 선정방식을 Risk Management Guide for DoD Acquisition과 MIL-STD-882D를 세부내용을 참고하여 독자적으로 위험 식별 및 위험관리 방안을 기본으로 위험 식별하고 있다.
  • 이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 중인 RPN 각 요소인 영향도, 발생도 및 검출도의 평가기준을 재작성하고, 평가자 간 일치정도를 판단한다. 평가자간의 일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Minitab에서 제공되는 모비율, Kappa 통계량 및 Kendall의 일치계수 중에서 Kendall의 일치계수를 사용한다.
  • 본 논문에서는 정량적인 위험 식별을 위해서 FMEA를 K21 보병전투차량에 적용하여 실시과정 중 나타나는 RPN 평가 시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적용제품 및 공정에 적합하고, 위험의 영향성/발생가능성의 일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RPN 평가기준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 재정립된 RPN 평가기준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넷째, 담당업무에 따른 이해관계나 시각의 차이이다. 주로 RPN이 높게 평가되었을 때, 그 대책수립이나 실행을 담당해야 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RPN 평가 시 위험을 낮게 평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수품의 위험식별 방법은 무엇을 참고하여 수행하는가? 군수품의 위험식별 방법은 미국 Risk Management Guide for DoD Acquisition과 MIL-STD-882D[10] 세부내용을 참고하여 독자적으로 위험식별 및 위험관리 활동방안 정립하여 수행하고 있다.
FMEA란 무엇인가? FMEA는 잠재적 위험모드 식별 및 고장영향성을 분석하는 기법으로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MIL-STD-1629는 무엇을 제공하는가? 전세계적으로 정부기관, 군수, 일반산업업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치명도분석(Criticality)과 영향도 등급에서 고장모드의 순위를 결정하는 기법들을 제공한다. MIL-STD-1629는 분석단계별로 <표 3> 같이 여러 가지의 방식을 제공하나 특별한 분석방식의 차이는 없고 단계별로 분석데이터만 차이를 둔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im, Yung Yeop(2010) Introdution to Defense Quality Management, Hyungseul Publisher, pp. 86-111. 

  2. MIL-STD-1629A(1988), FMECA Guidelines for Writing, pp. 11-25. 

  3. MIL-HDBK-338A(1987), FMECA Guidelines for writing, pp. 4-24. 

  4. Jang, Joong Soon, Aan, Dong Geun(1997), "How to Perform FMEA Effectively"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pp. 156-172. 

  5. Kim, S. Y.(2007), "Reestablishment of RPN Evaluation Method in FMEA Procedure for Motors in Household Appliances",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pp. 1-9. 

  6. Huang, G. Q., Nie, M. and Mark, K. L.(1999), "Web Based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Computer & Industrial Engineering, Vol. 37, pp. 177-180. 

  7. Jeong, K. H, Kume, H. and Iizuka(1995), "Implementing FMEA through multiple points of view, ASIA Quality Management Symposium," pp. 85-90. 

  8. Pillay, A. and Wang, J.(2003), "Modified failure modes and effects analysis using approximate reasoning,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pp. 69-85. 

  9. Sin, Y. G.(2007.9),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or Next Future IFV, ADD, pp. 5-30. 

  10. MIL-STD-882D(2000), Risk Management Guide for DoD Acquisition, pp. 5-30. 

  11. TS 19649 Manual,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pp. 15-80. 

  12. Kim, T. H.(2010.1), "Practical Criteial for Process FMEA",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pp. 123-135. 

  13. Bae, O. Y.(2009.3), "Reliability Design Using FMEA for Pressure Control Regulator of Aircraft Fuel System",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Science and Flight Operation, pp. 24-27. 

  14. Lee, Hye Jun(2011), "Service Failure Management on Internet Shopping Environment by Combining Service Blueprint and FMEA",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pp. 217-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