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지하수 수질의 광역적 추세 특성 분석 - 염소 및 질산성질소를 대상으로 -
Regional Trend Analysis for Groundwater Quality in Jeju Island - Focusing on Chloride and Nitrate Concentrations -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0 no.6 = no.179, 2007년, pp.469 - 483  

김규범 (한국수자원공사 국가지하수정보센터) ,  김지욱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원종호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고기원 (제주특별자치도수자원본부 수자원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산성질소와 염소이온은 지하수에서 흔히 나타나는 항목으로서 농약의 사용이나 도시화 등에 의하여 주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동일 지점의 지하수 수질 자료는 관측망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샘플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시계열 자료를 활용한 추세 평가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수계의 분포 특성, 저지대의 낮은 지형 경사, 수리적 특성 및 다공질 지질 특성 등을 고려하여 $500m{\times}500m$ 간격의 격자를 작성하고 격자내에 포함된 수질검사 자료를 모두 취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형성한 후 Sen의 방법을 활용한 수질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염소이온 농도의 경우에는 추세평가 대상 격자의 10.6%, 질산성질소의 경우에는 22.4%가 1990년대 상반기에서 2000년대 초까지 상향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산성 질소의 상향 추세는 서부 및 남부의 하부 중산간 지역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와 간은 원인은 1990년대 이후의 중산간 인근 지역의 개발에 따른 도시화 등에 의하여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제주도 지역의 지하수 관리 정책은 중산간 지역의 수질 변화와 토지이용 변화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trate and chloride are the most common contaminants in groundwater and their concentrations increase easily due to fertilizer consumption and urbanization. The number of time series data for groundwater quality at a single site was not sufficient to analyze trends on Jeju Island. Therefore rectang...

주제어

참고문헌 (18)

  1. 강봉래, 박윤석, 고기원, 허목 (2002). '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주도 서부지역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원 연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지하수토양환경학회, pp. 137-140 

  2. 고경석, 김용제, 고동찬, 이광식, 이승구, 강철희, 성현정, 박원배 (2005). '주성분분석과 지구통계법을 이용한 제주도 지하수의 수리지화학 특성 연구.' 자원 환경지질, 제38권 제4호, pp. 435-450 

  3. 원종호 (2004). '제주도 지하수자원에 대한 수리지질학적 평가 및 물수지 분석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p. 208 

  4. 제주도, 한국수자원공사 (2003).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종합조사(III). 제주도, p. 425 

  5. Canter, L.W., and R. C. Knox (1985). Septic tank system effects on ground Water quality, Lewis Publishers. Chelsea, MI, p. 360 

  6. EPA (1990). Handbook: Ground water volume 1: Groundwater and contamination, EPA/625/6-90/016a,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p. 144 

  7. EPA (1994). Handbook: Ground water and wellhead protection, EPA/625/R-94/00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p. 269 

  8. EPA (1999). Safe drinking Water act, Section 1429, Groundwater report to congress, EPA-816-R99-106,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p.56 

  9. Freeze, R.A., and J.A. Cherry (1979), Groundwater, Prentice-Hall Inc, p. 604 

  10. Gibbons, R.D. (1994). Statistical methods for groundwater monitoring,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 304 

  11. Hudak, P.F. (2000). 'Regional trends in nitrate content of Texas groundwater.' Journal of Hydrology, Vol. 228, pp. 37-47 

  12. Hudak, P.F., and S. Blanchard (1997). 'Land use and groundwater quality in the trinity group outcrop of North-Central Texas, USA.'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 23, No.4, pp.-517 

  13. Kehew, A.E., Straw, W.T., Steinmann, W.K., Barrese, P.G., Passarella, G., and W. Peng (1996). 'Groundwater quality and flow in a shallow glaciofluvial aquifer impacted by agricultural contamination.' Ground Water, Vol. 34, No.3, pp. 491-500 

  14. Kendall, M.G. (1975). Rank correlation methods. 4th edition, Charles Griffin, London, p. 272 

  15. Reese, S.O. (1998). Summary if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1985-1997) from Pennsylvania'a ambient and fixed station network (FSN) monitoring program; Selected groundwater basins in soudwestern, south-central and southeastern Pennsylvania. DEP publication 3800-BK-DEP2246, http.//www.dep.state.pa.us 

  16. Risser, D.W., and S.F. Siwiec (1996). Water quality assessment of the lower Susquehanna river basin; Pennsylvania and Maryland: Environmental setting. U.S. Geological Survey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 Report 94-4245, U.S. Geological Survey, p, 70 

  17. USGS (1999). The quality of our nation's water -nutrients and pesticides.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225, U.S. Geological Survey, p. 82 

  18. Wakida, F.D. (2005). : 'erner DN. Non-agricultural sources of groundwater nitrate: a review and case study.' Water research, Vol. 39, pp. 3-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