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유역단위 화강암/편마암 기원 토양 연접군(catena)에 따른 토양 유실 평가
Assessment of Soil Loss Estimated by Soil Catena Originated from Granite and Gneiss in Catchment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0 no.5, 2007년, pp.383 - 391  

허승오 (농업과학기술원) ,  손연규 (농업과학기술원) ,  정강호 (농업과학기술원) ,  박찬원 (농업과학기술원) ,  이현행 (농업과학기술원) ,  하상건 (농업과학기술원) ,  김정규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계 내 농경지로부터의 비점오염은 토양유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토양침식 정도를 산정하는 것은 비점오염 관리의 기초가 될 수 있으며 환경오염 예측모델의 정도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표준유역단위인 소유역에서 토양연접군에 따라 소유역을 분류하고 소유역별로 토양침식 위험성을 산정해 통합적 수계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건설교통부 소유역 분류에서 토양조사가 되어 있는 10개의 소유역을 선정해 토양연접군에 따른 분류를 통해 금강본류 21, 남강 03, 동진천, 가평천 01, 경안천 02 소유역은 편마암 유래토양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편마암 유래토양 소유역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금강본류 16, 병성천 01, 대신천, 북천 02, 영상강 본류 08 소유역은 화강암 유래토양 면적이 60% 이상인 화강암 유래토양 소유역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대상유역의 경지이용 형태는 편마암 유래토양이 주로 분포하고 있는 소유역 그룹에서 화강암 유래토양이 주로 분포하는 소유역보다 산림의 면적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밭의 분포면적 비율이 그다지 높지 않은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토양도 상의 경사도 분포는 편마암 유래토양이 주로 있는 소유역에서는 산림면적이 많은 관계로 경사 60% 이상인 E와 F slope이 많았고 화강암 유래토양이 주로 분포하는 소유역에서는 대부분의 유역이 경사도에 따라 고르게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각각의 소유역별 토양유실량 산정에 따른 면적별 분포는 산림이 포함된 관계로 편마암이나 화강암 유래토양 대부분에서 A나 B 등급이 많았으나 전체적으로는 편마암 유래토양이 주가 되는 소유역은 B와 C 등급이 많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화강암 유래토양이 주가 되는 소유역에서는 영산강 08을 제외하면 A와 B 등급에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산림을 제외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토양유실 등급의 면적분포가 A 등급이 많아졌고 편마암 유래토양 소유역에서 상대적으로 G 등급의 면적분포가 상승하고 등급별 분포가 고르게 되었다. 소유역에서 경지이용형태별 토양유실량은 논이 가장 작은 값을 보였고, 다음이 산림이었으며 제일 큰 토양유실량을 보인 것은 밭이었다. 토양유실량 산정에 따른 토양연접군별 소유역단위 특성을 살펴보면 송산지곡 연접군으로 분류할 수 있는 편마암 유래토양이 주로 분포하고 있는 소유역들의 연간 평균 토양유실량은 $7.66ton\;ha^{-1}\;yr^{-1}$이었고, 삼각상주 연접군으로 분류되는 금강본류 16, 병성천 01, 대신천, 북천 02 소유역의 평균 토양유실량은 $5.55ton\;ha^{-1}\;yr^{-1}$이었다. 송정백산 연접군으로 분류할 수 있는 영산강 08 소유역의 토양유실량은 $9.6ton\;ha^{-1}\;yr^{-1}$ 이었으나 이 연접 소유역군은 다른 소유역군들처럼 더 많은 분류가 있어야 평균 토양유실량을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결과로 보아 토양연접군에 따른 소유역의 분류와 유역그룹별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면 토양연접군별 소유역그룹의 비점오염 기여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수문 환경 모형들의 적용성을 확대시켜 수계 내 수질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an assessment through the estimation of soil loss by each catchment classified by soil catena. Ten catchments, which are Geumgang21, Namgang03, Dongjincheon, Gapyongcheon01, Gyongancheon02, Geumgang16, Byongsungcheon01, Daesincheon, Bukcheon02, Youngsangang08, were s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우리나라와 같은 환경에서 이 토양연접군은 모암과 지형에 따라 연접해 있는 토양통을 설명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표준유역 단위에서 분류될 수 있는 몇 개의 토양연접군을 통해 그 토양 그룹들의 토양침식 위험성이 구분되고 비교될 수 있는지, 경지이용형태에 따라 어떤 양상으로 발현되는지를 파악해 유역단위의 수계관리에 도움이 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수계 내 농경지로부터의 비점오염은 토양유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토양침식 정도를 산정하는 것은 비점오염 관리의 기초가 될 수 있으며 환경오염 예측 모델의 정도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표준유역단위인 소유역에서 토양연접군에 따라 소유 역을 분류하고 소유역별로 토양침식 위험성을 산정해 통합적 수계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보전관리인자(P) 토양보전 관리방법에 의해 토양유실을 얼마나 삭감할 수 있는지를 반영하는 보전관리인자는 상하경 재배시의 토양유실량에 대한 보전관리방법 적용시의 토양유실량의 비로 계산하며, 여러 연구자들(Jung et al., 2004; Kim et al., 1991; Oh et al., 1991; Shin et al., 1980)에 의해 제안된 각 보전관리 방법별 인자 값은 등고선 재배 0.54, 등고선 재배+ 부초 0.14, 계단전 0.08, 초생대 0.16이나 본 연구에서 소유역 단위 토양유실량을 계산하는데는 밭은 등고선 재배를, 논은 계단전을 가정했으며 산림, 초지, 과수원은 보전관리가 없다고 가정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경지로부터의 비점오염원은 대부분 무엇과 연계되어 발생하는가? 이러한 유역중심의 수자원 관리는 수질관리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비점오염원으로 우려되는 농업지역에서의 수질관리 방안에는 이런 유역관리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경지로부터의 비점오염원은 대부분 강우 유출수와 유실토양과 연계되어 발생되므로 (Ann et al., 1996; Jung et al.
비점오염원으로 우려되는 농업지역에서의 수질관리 방안에는 어떤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그러나, 통합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지닌 대유역 중심의 유역관리는 실제 정책집행 효과를 분석하거나 판단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어 대유역이나 중유역외에도 소유역 중심의 유역관리를 수자원 관리정책의 한 줄기로 삼고 있다. 이러한 유역중심의 수자원 관리는 수질관리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며, 특히 비점오염원으로 우려되는 농업지역에서의 수질관리 방안에는 이런 유역관리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경지로부터의 비점오염원은 대부분 강우 유출수와 유실토양과 연계되어 발생되므로 (Ann et al.
유역에서의 토양유실은 강우가지면에 도달하는 순간에 전해지는 운동에너지의 토양표면에 대한 타격으로부터 발생하는데, 이런 특성은 모든 토양에서 동일하게 반응하지 않고 무엇에 따라 영향을 받게되는가? 유역에서의 토양유실은 강우가지면에 도달하는 순간에 전해지는 운동에너지의 토양표면에 대한 타격으로부터 발생하는데, 타격을 받은 토양입자는 견지력(토양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저항) 이하의 힘에는 자신의 형상을 유지하지만 그이상의 힘에는 타격받은 부분이 토양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된다(Fox and Bissonnais, 1998; Ward and Elliot, 1995;). 이런 강우타격에 의한 토양의 탈리특성은 동일한 강우에 대해 모든 토양이 동일하게 반응 하지는 않고 입단, 구조, 수분함량, 입도 등의 다양한 토양의 물리적 특성(Scott, 2000; Sharratt et al., 2006; Yoo, 2000)과 지형 및 피복된 식생의 영향도 받는다(Gabet et al., 2003; Scott, 2000; Ward and Elliot,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D. M., Y. C. Yoon, K. S. Lee, and K. S. Lee. 1996. The evaluation of agricultural functions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public benefits. Result Report for Agriculture Specific Study Thema. RDA. 

  2. Box, J. E. 1981. The effect of surface slaty fragment on soil erosion y water. Soil Sci. Soc. Am. J. 43: 111-116 

  3. Foster, G. R., L. D. Meter, and C. A. Onstad. 1977. A runoff erosivity factor and variable slope length exponents for soil loss estimates. Trans. ASAE 20:683-687 

  4. Fox, D. M., and Y. L. Bissonnais. 1998. Process-based analysis of aggregate stability effects on sealing, infiltration, and interrill erosion.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2:717.724 

  5. Gabet, E. J., O. J. Reichman, and E. W. Seabloom. 2003. The effects of bioturbation on soil processes and sediment transport. Annu. Rev. Earth Planet. Sci. 31 :249.274 

  6. Jung, J. B., M. K. Kim, and B. J. Kim. 2000. Surface runoff loss of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peach orchard. Journal of the Korean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3: 124-129 

  7. Jung, K. H., W. T. Kim, S. O. Hur, S. K. Ha, P. K. Jung, and Y. S. Jung. 2004. USLE/RUSLE facotrs for national scale soil loss estimation based on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 Korean J. Soil Sci. Fert. 37:199-206 

  8. Jung, P. K, M. H. Ko, J. N. Im, K. T. Urn, and D. U. Choi. 1983. Rainfall erosion factor for estimation soil loss. Korean J. Soil Sci. Fert.16:112-118 

  9. Jung, Y. S., J. E. Yang, C. S. Park, Y. G. Kwon, and Y. K. Joo. 1998. Changes of stream water quality and loads of N and P from the agricultural watershed of the Yulmunchon tributary of the Buk-Han River Basin. Korean J. Soil Sci. Fert 31: 170-176 

  10. Kim, K. D. H. Yeom, S. K. Lee, J. H. Kim, Y. H. Kim, and C. K. Park. 1997. Study on pesticide runoff from soil surface - III , Runoff of pesticides by simulated rainfall in field, Journal of the Korean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0:334-341 

  11. Kim, Y. H., P. K. Jung, and S. J. Oh. 1991. Effects on soil erosion control with different levels of barley straw mulches. Res. Rept. ORD(S&F) 33:29-33 

  12. MOCT. 2000. The hydrologic unit map.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formation. Seoul. Korea 

  13. NIAST. 1999. Soil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of Korea. Nation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4. NIAST. 2003. Monitoring project on agri-environment quality in Korea. Nation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5. OECD. 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Vol. 3 Methods and Results. OECD. Paris. France 

  16. Oh, S. J., P. K Jung, and Y. H. Kim. 1991. Study on soil erosion control with soil management in sloped farming land. Res. Rept. ORD(S) 33:68-72 

  17. Park. J. H., H. S. Woo, C. K. Pyun, and K. I. Kim. 2000. A study of distribution of rainfall erosivity in USLE/RUSLE for estimation of soil lo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ater Resources. 33:603-610 

  18. Scott, H. D. 2000. Soil Physics-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p. 262.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USA 

  19. Sharratt, B., M. Zhang, and S. Sparrow. 2006. Twenty years of tillage research in subarctic Alaska I. Impact on soil strength, aggregation, roughness, and residue cover. Soil & Tillage Research 91:75-81 

  20. Shin, J. S., Y. S. Jung, and Y. H. Shin. 1980. The effects on erosion control practices factor value on soil loss. Res. Rept. ORD(SP&M) 22:36-41 

  21. Sonn, Y. K., S. O. Hur, M. C. Seo, S. J, Jung, B. K. Hyun, and K. C. Song. 2007. Pattern classification of standard catchments with soil catena characteristics. Workshop for effective use of hydrologic soil group.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Press. Suwon, Korea 

  22. Ward, A. D., and W. J. Elliot. 1995. Environmental Hydrology. p. 178-179. CRC Press. Florida. USA 

  23. Wischmeier, W. H., and D. D. Smith. 1978. Predicting rainfallerosion losses: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 Dep. Agric., Agric. Handbook No. 537 

  24. Yoo, S. H. 2002. Soil encyclopedi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