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중왕산 지역 낙엽활엽수림과 낙엽송 조림지에서 수관통과우와 수간류 및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 유입의 차이
Differences of Nutrient Input by Throughfall, Stemflow and Litterfall between Deciduous Forest and Larix kaempferi Plantation in Mt. Joonwang, Kangwon-do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0 no.2, 2007년, pp.136 - 144  

정문호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이돈구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엄태원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산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낙엽활엽수림과 낙엽송 조림지에서 양분 유입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중왕산 지역에서 임내강우와 임외강우,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 유입량과 토양수 내 양분 농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연평균 강우 차단율은 낙엽활엽수림에서 12%, 낙엽송 조림지에서 36%로 낙엽송 조림지에서 높았다. 수관통과우 내 양이온 농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음이온 농도는 낙엽송 조림지에서 더 높았으며, 수간류에서는 $Cl^-$ 이온이 낙엽송 조림지에서 높았으며, 다른 이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관통과우와 수간류에 의한 양분 유입량은 $Cl^-$ 이온을 제외한 다른 이온들의 유입량이 낙엽송 조림지보다 낙엽활엽수림에서 더 많았다. 토양수 내 이온 농도는 A층에서는 $Cl^-$, $NO_3{^-}$, $SO{_4}^{2-}$ 이온이, B층에서는 $Ca^{2+}$, $Cl^-$ 이온이 낙엽송 조림지에서 다소 높았다. 연간 낙엽낙지량은 낙엽활엽수림에서 $2,589kg\;ha^{-1}$로, 낙엽송 조림지의 $1,046kg\;ha^{-1}$보다 많은 유입량을 보였다. 낙엽낙지내 이온 함유량은 N의 경우 낙엽송 조림지와 낙엽활엽수림에서 각각 1.6%와 1.1%로 낙엽송 조림지에서 더 높았으나, 양이온 함량은 낙엽활엽수림에서 더 높았다.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 유입량은 N의 경우, 낙엽활엽수림에서 $36.81kg\;ha^{-1}yr^{-1}$, 낙엽송 조림지에서 $16.16kg\;ha^{-1}yr^{-1}$였으며, 양이온의 유입량 역시 낙엽활엽수림에서 많았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수관통과우와 수간류 및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유입량은 낙엽활엽수림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nutrient input by throughfall, stemflow and litterfall and concentration of nutrient in soil water between deciduous forest stand and Larix kaempferi plantation at Mt. Joongwang, Pyongchang-gun, Gangwon-do. The amount of rainfall interception during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중왕산 지역을 대상으로 활엽수림의 60%를 차지하는 낙엽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35.1%를 차지하는 낙엽송 조림지를 비교하여 두 임분 간 수관통과우, 수간류 및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의 유입량이 차이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생태계의 양분유입 경로 중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 유입에 관해 설명하시오. , 2000; Shibata and Sakuma, 1996). 낙엽낙지에 의한 양분 유입은 산림생태계 내 양분의 자체순환 기능을 하는데, 여러 토양 생물 및 미생물에 필요한 에너지와 양분을 공급하고, 산림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쳐 (Kim et al., 1997), 수목의 생장이나 생산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Albrektson, 1988; Kavvadias, 2001). 따라서 양분유입에 대한 정보는 궁극적으로 생태적으로 안정하며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를 하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산림쇠퇴나 양분의 용탈 등으로 인한 조림 실패지의 복구나 훼손된 산림지역을 복원하는데도 활용 될 수 있다.
산림생태계는 어떻게 안정적으로 유지하는가? 산림생태계는 물질순환의 일환인 앙분유입을 통해 산림생태계 내 물질 생산량을 축적시키고 산림생태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Chang, 2001). 산림생태계의 양분유입 경로는 크게 강우에 의한 유입과, 낙엽낙지에 의한 유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림생태계의 양분유입 경로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산림생태계는 물질순환의 일환인 앙분유입을 통해 산림생태계 내 물질 생산량을 축적시키고 산림생태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Chang, 2001). 산림생태계의 양분유입 경로는 크게 강우에 의한 유입과, 낙엽낙지에 의한 유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우는 생태계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된 후, 다양한 경로를 거쳐 토양으로 이동하는데, 일부는 수관층에서 가지와 수피, 잎 등과 접촉한 후 수관통과우의 형태로, 일부는 나무줄기를 따라 수간류의 형태로 유입되며, 수관과 수간은토양으로 유입되는 물질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Matzner and Meiwes, 1994; Roberst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brektson, A. 1988. Needle litterfall in stands of Pinus sylvestris in Sweden, in relation to site quality, standage and latitude. Scand J Forest Res. 3:333-342 

  2. Cappelato, R., E.P. Norman, and L.R. Harvey. 1993. Acidic atmospheric deposition and canopy interactions of adjacent decidious and coniferous forests in the Georgia Piedment. Can. J. For. Res. 23:1114-1124 

  3. Chang, K.S. 2001. Pattern of nutrient fluxes in deciduous forest ecosystem impacted by acidic deposition. Kor. J. Env. Eco. 15:240-236 

  4. Harding, R.J., C. Neal, and P.G. Whitehead. 1992. Hydrological effects of plantation forestry in North-Western Europe. P. 445-455 In Teller, A. et al.(ed.) Responses of forest ecosystems to environmental changes. Elsvier Applied Science of New York 

  5. Houle, D., R. Quiment, R. Paquin, and J.G. Laflamme. 1999. Interactions of atmospheric deposition with a mixed hardwood and a coniferous forest canopy at the Lake Clair Watershed (Duchesnay, Quebec). Can. J. For. Res. 29:1944-1957 

  6. Gower, S.T., and Y. Son. 1992. Differences in soil and oeaf litterfall nitrogen dynamics for five forest plantations. Soil Sci. Soc. Am. J. 56:1959-1966 

  7. Joo, K.Y. 1999. Nutrient input from rainfall into soils and its flow in the stands of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Quercus species located at Kwangju-Gun, Kyonggi-Do.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 Kavvadias, V.A., D. Alifragis, A. Tsiontsis, G. Brofas, and G. Stamatelos. 2001. Litterfall, litter accumulation and litter decomposition rates in four forest ecosystems in northern Greece. Forest Ecol Manag. 144:113-127 

  9. Korea Forest Service. 1999.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9th ed. Seoul, Korea 

  10. Korea Forest Service. 200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36th ed. Seoul, Korea 

  11. Kim, J.H. 2006. Soil Carbon Accumulation and Soil Respiration of a deciduous Stand, Larix kaernpferi and Pinus koraiensis Plantations in Mt. Jungwang, Pyungchang-gun, Gangwon-do.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 Kim, J.S., Y.H. Son, J.H. Lim, and Z.S. Kim. 1996. Aboveground Biomass, N and P distribution, and litterfall in Pinus rigida and Larix leptolepsis plantations. Jour. Korean For. Soc. 85:416-425 

  13. Kim, C.S. K.S. Koo, Y.K. Kim, W.K. Lee, J.H. Jeong, and H.S. Seo. 1997. Dynamics of litterfall and nutrient inputs in Quercus acutissima and Pinus koraiensis stands. Fri. J. For. Sci. 55:13-18 

  14. Kim, K.H. 1993. A Simulation model for estimating rainfall interception loss in a forest stand.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5. Kwak, Y.S., and J.H. Kim. 1992. Nutrient cycling in mongolian oak(Quercus mongolica) forest. Korean J. Ecology 15:35-46 

  16. Lee, D.K. 1996. Ecosystem Management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Forest Resources. 96 International Sysmposium on Forest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59-82 

  17. Lee, D.K, G.T Kim, K.Y. Joo, and Y.S. Kim. 1997. Throughfall, stremflow and rainfall interception loss i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Larix leptolepis(Sieb, et Zucc) gordon and quercus species stand at Kwangju-gun, Kyunggi-Do. Jour. Korean For. Soc. 86:200-207 

  18. Matzner, E., and K.J. Meiwes. 1994. Long-term development of element fluxes bulk precipitation and througfhall in two German forest. J Environ Quaq. 26:162-166 

  19. McColl, J.G. 1972. Dynamics of ion transport during moisture flow from a Douglas-fir forest floor. Soil Sci. Soc. Am. Proc. 36:668-674 

  20. Otto, H.J. 1992. Waldokologie. Ulmer, Stuttgart 391pp 

  21. Park, J.H., and B.M. Woo. 1997.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es from rainfall to stream water quality in small forested watershed. Jour. Korean For. Soc. 86:789-501 

  22. Park, Y.D., D.K. Lee, and D.Y. Kim. 1999. Nutrient dynamics in the throughfall, stemflow and soil solution in Korean pine, Japanese larch and hardwood stands at Kwanju-gun, Kyonggi-do. Jour. Korean. For. Soc. 88:541-554 

  23. Pedersen, L.B., and J.B. Hansen. 1999. A comparison of litterfall and element fluxes in even aged Norway spruce, Sitka spruce and beech stand in Denmark. Forest Ecol Manag. 114:55-70 

  24. Remezov N.P. 1959. Method of studying the biological cycle of elements in forest. Pochvovedenie 1959:71-79 

  25. Robertson, S.M.C., M. Hornung, and V.H. Kennedy. 2000. Water chemical of throughfall and soil water under four tree species at Gisburn, Northwest England, before and after felling. Forest Ecol Manag. 129:102-117 

  26. Shibata, H., and H. Sakuma. 1996. Canopy modification of precipitation chemistry i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affected by acidic deposition. Soil Sci Plant Nutr. 42:1-10 

  27. Thurow, T.L., W.H. Blackburn., S.D. Warren, and C.A. Taylor Ur. 1987. Rainfall interception by midgrass, shortgrass, and live oak mottes. J Range Manage. 40:455-460 

  28. Toba, T., and T. Ohta. 2005. An observational study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interception loss in boreal and temperate forests. J. Hydrol. 313:208-220 

  29. Toman, M.A., and P.M.S. Ashton. 1996. Sustainable forest ecosystem and management : A Review Article. Forest Sci. 42:336-377 

  30. Yoo, J.H., M.J. Yi, Y.K. Kim, Ch.H. Lee, J.K. Byun, S.W. Lee, and Ch.S. Kim. 2002. Throughfall and stemflow chemistry of coniferous and deciduous stands in Seoul, Ulsan and Hongcheon regions. Jour. Korean For. Soc. 91:102-110 

  31. Woo, B.M. 1993. Influences of Forest Environment on the Water Yield from Small Forested Watersheds. Jour. Korean For. Soc. 82:283-2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