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리적 처리에 따른 낙엽송 방부원주목의 표면할렬 방지효과
Surface Checking Reduction Effect of Preservative-treated Korean Larch Round-woods with Various Physical Treatments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1, 2017년, pp.107 - 115  

방성준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오정권 (전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이상준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박준호 (삼성SDI 소재R&D센터) ,  장성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이전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산 낙엽송 방부원주목을 대상으로 물리적 처리(인사이징, 배할, 열기건조)에 따른 표면할렬 방지효과와 장기 사용연한 확보 가능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표면할렬이 목재 내 외부의 급격한 수분경사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저 평형함수율 조건[온도($2^{\circ}C$), 습도(44.6%)]에서 시험편이 평형함수율(8.6%)에 도달할 때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물리적 처리에 따른 표면할렬 방지효과를 검토한 결과, 무처리 시험편(Type C)의 경우, 모든 시험편에서 약제 침투 깊이보다 깊은 할렬이 발생하여 장기 내부후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약제침투도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인사이징 처리만으로도 시험편의 80%에서 약제침투깊이보다 깊은 표면할렬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할렬을 방지하고자 사용하는 배할 처리는 인사이징 처리에 비하여 약제 침투깊이보다 깊은 표면할렬을 야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urface check reduction effect of preservative-treated Korean larch round-wood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three physical treatments, such as incising, kerfing, and kiln-drying. Moreover, the possibility of long-term service life was also checked by comparing the depth of surfa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산 낙엽송 방부원주목을 대상으로 물리적 처리에 따른 표면할렬 방지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약제침투도 개선을 위해 사용하는 인사이징 처리만으로도 시험편의 80%에서 약제침투깊이보다 깊은 표면할렬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산 낙엽송 방부원주목의 깊은 표면할렬을 방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인사이징, 배할, 열기건조)을 대상으로 표면할렬 방지효과를 구명하였다.
  • 특정 지역환경에서의 실험은 그 지역에 한정된 결과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 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실험조건에서 표면할렬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가장 가혹한 조건이 국내 전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이라 가정하였다.

가설 설정

  • 3. Criteria for evaluating the probability oflong-term service life. (a / b <1)
  • 특정 지역환경에서의 실험은 그 지역에 한정된 결과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 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실험조건에서 표면할렬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가장 가혹한 조건이 국내 전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이라 가정하였다. 목재가 국내 최저 평형함수율(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조건에 노출될 때 목재 내외부의 수분경사가 가장 크고, 이 조건이 국내 전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가혹한 조건이라 가정하였다.
  • ,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면할렬이 목재 내외부의 급격한 수분경사로 인해 발생한다고 가정하였다.
  • 그리고 국내에서 가장 가혹한 조건이 국내 전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이라 가정하였다. 목재가 국내 최저 평형함수율(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조건에 노출될 때 목재 내외부의 수분경사가 가장 크고, 이 조건이 국내 전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가혹한 조건이라 가정하였다. 실제로는 목재 표면에 일시적인 고온, 저습 조건이 형성되어 평형함수율이 더 낮아지는 경우가 있겠지만, 이는 지속적이지 않으므로 수분경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목재가 국내 최저 평형함수율(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조건에 노출될 때 목재 내외부의 수분경사가 가장 크고, 이 조건이 국내 전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가장 가혹한 조건이라 가정하였다. 실제로는 목재 표면에 일시적인 고온, 저습 조건이 형성되어 평형함수율이 더 낮아지는 경우가 있겠지만, 이는 지속적이지 않으므로 수분경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일평균 최저 평형함수율을 국내 최저 평형함수율로 설정하였다.
  • (2)로 항온항습기의 EMC와 시험편의 MC를 각각 계산하였다. 표면할렬 측정용 시험편(Fig. 1의 A)의 평형함수율 예측을 위해 Fig. 1의 B에서 측정한 초기함수율을 표면할렬 측정용 시험편의 초기함수율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시험편이 평형함수율에 도달할 때까지 발생하는 표면할렬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제 환경에서 장기간 야외노출실험을 수행하여 통계적으로 사용연한을 예측하는 방법의 단점은 무엇인가? , 2005)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는 해당 실험 환경에 한정된다는 한계와 더불어 시간의 제약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Pang et al.
해외에서 방부 처리 목재의 사용연한을 구분해서 제공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해외에서는 사용자의 편의 및 목재 성능의 직관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방부 처리 목재의 사용연한(desired service life)을 15년, 30년, 60년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다(BS 8417, 2011). 국내에도 방부처리 규정이 있지만 방부 처리 목재의 사용연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구조용 재료의 사용연한이 중요한 요소인 이유는 무엇인가? 구조용 재료의 사용연한은 재료를 선정함에 있어서 그 재료의 구조적 성능과 함께 중요하게 고려된다. 왜냐하면, 재료의 사용연한은 구조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경제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대개 토목에서 적용하는 재료의 사용연한은 30년 이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ritish Standard (BS) 8417. 2011. Preservation of wood. Code of Practice. 

  2. Eslyn, W.E. 1970. Utility pole decay.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 97-103. 

  3. Evans, P.D., Urban, K., Chowdhury, M.J.A. 2008. Surface checking of wood is increased by photodegradation caused by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3): 251-265. 

  4. Freeman, M.H., Crawford, D.M., Lebow, P.K., Brient, J.A. 2005. A comparison of wood preservatives in posts in southern mississippi : results from a half-decade of testing. Proceedings, American Wood-Preservers' Association: 136-143. 

  5. Helsing, G., Graham, R.D. 1976. Saw Kerfs Reduce Checking and Prevent Internal Decay in Pressure-treated Douglas-fir Poles. Holzforschung-International Journal of the Biology, Chemistry, Physics and Technology of Wood 30(6): 184-186. 

  6. Kang, S.-M., Kim, G.-H., Paik, K-H. 1995.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arch heartwood with CCA or CCFZ and improving its CCA treatability by incising techniques. Mokchae Konghak 23(4): 60-66. 

  7. Kang, S.-M., Paik, K-H., Kim, G.-H. 1997. Studies on improving preservative treatability of Japanese larch heartwood by presteaming. Mokchae Konghak 25(1): 15-22. 

  8. Kim, Y.-S., Hong, S.-I., Yoon, J.-H. 2006. Effects of post individualities on treatability of small diameter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with ACQ and CCA. Mokchae Konghak 34(1): 52-60. 

  9.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Kofpi). 2012. Standard test methods for wood products. 

  1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IFoS) notification No. 2006-6. 2006. Standard and specification of wood products. 

  11.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IFoS) notification No. 2016-2. 2016. Standard and specification of wood products. 

  12. Lee, C.-J., Lee, N.-H., Oh, S.-W. 2016. Effects of the knife-incising and kerfing pretreatment on moisture content and surface check occurrence of douglas-fir heavy timber.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4(3): 302-314. 

  13. Lee, J.-S., Yoon, S.-M. 2002. Effects of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for improvement of preservative penetration and prevention of drying check of preservative treated round post. Mokchae Konghak 30(4): 27-32. 

  14. Pang, S.-J., Hong, J.-P., Lee, J.-J., Oh, J.-K. 2015. Service Life Estimation of ACQ-treated Wood Based on Biodeterioration Resistance.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3(5): 641-651. 

  15. Pang, S.-J., Oh, J.-K., Hong, J.-P., Lee, S.-J., Lee, J.-J. 2017. Effect of incising on the long-term biodeterioration resistance of alkaline copper quaternary (ACQ) treated wood. European Journal of Wood and Wood Products (in print). 

  16. Perrin, P.W. 1978. Review of Incising and its effects on strength and preservative treatment of wood. Forest Products Journal 28(9): 27-33. 

  17. Ra, J.-B. 2014. Determination of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outdoor woods by using Hailwood-Horrobin Equation in Korea.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6): 653-658. 

  18. Rowell, R.M., Feist, W.C., Ellis, W.D. 1981. Weathering of chemically modified southern pine. Wood Science 13(4): 202-208. 

  19. Stamm, A.J. 1965. Modification of wood for improved finishing. Official Digest. Journal of Paint Technology 37: 707-7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