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두리 해안사구의 미지형별 식생의 대상구조와 다양성 변화 - 천연기념물 지정지를 중심으로 -
Diversity and Zonation of Vegetation Related Micro-Topography in Sinduri Coastal Dune, Korea - Focused on the Natural Monument Area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1 no.3, 2007년, pp.290 - 298  

송홍선 (민속식물연구소)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신두리 해안사구를 대상으로 TWINSPAN 분류법과 DECORANA 배열법에 의한 미지형과 식생의 대상구조 및 변화를 예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안사구의 미지형과 식생은 해안선에서 내륙을 향해 뚜렷한 띠모양의 대상구조를 이루었다. 해안선 방향의 사빈은 수송나물의 출현이 많았고 일차사구는 갯그령이 우점하였다. 사구저지는 좀보리사초와 띠가 군락을 이루었으며 사구습지는 산조풀이 넓게 분포하였다. 이차사구는 띠와 갯쇠보리가 주종을 이루는 가운데 순비기나무와 해당화가 분포하는 양상이었고 내륙방향의 배후구릉지는 아까시나무와 곰솔이 우점하였다. 그러나 해안사구는 해안선 방향의 선구종으로 알려진 통보리사초가 후방의 이차사구에서 우점하였고 내륙성의 억새와 귀화식물의 겹달맞이꽃이 해안사구 전체에서 불규칙하게 덮고 있어 미지형의 안정화가 불확실하였다. 특히 억새는 해안사구의 안정화가 진행될수록 유집성이 높은 사구저지, 이차사구, 일차사구의 우점종으로 변화가 예측되었으며 일차사구와 이차사구 사이의 도로와 사구습지의 확대는 식물분포의 대상구조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the diversity, zonation of vegetation and micro-topography by TWINSPAN classification and DECORANA ordination, executed with Sinduri coastal dunes of Korea, are as follows: The vegetation and micro-topography of coastal dunes formed a noticeably clear zonation struc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곳의 교란이나 해안사구의 발달과정에 따른 미지형별 식물상과 식생구조의 변화를 예측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연구는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띠모양으로 형성된미지형의 종조성을 바탕으로 식생의 대상구조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미지형의 발달 및 식생구조의 다양성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식생과 지형 변화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과유집분석(cluster analysis)은 식생의 군락분류가 아니라 해안사구 미지형의 식생변화에 따른 유형 구분과 결합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인용하였다. 즉 요인분석의 환경요인에 따른 배열은 식생의 대상구조 배열로 해석하였으며, 유집분석은 미지형별 식생의 유사성을 입증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대균(2006) 천연기념물 신두리 해안사구의 지형과 식생. 한국지형학회지 13(3): 35-44, 

  2. 김대현(2004) 식생의 공간적 분포와 토양.지형.거리 요소들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신두리 해안사구지대를 사례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3. 김문홍,신용만(2000) 제주의 육상식물. 제주자연식품회지 9 

  4. 김성민,신동일,송홍선,윤성탁(2006) 갯방풍의 식물사회학적 생육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18(2): 121-127 

  5. 류평우(2004) 해안사구의 경관에 따른 식생관리방안에 관한 연구-신두 해안사구지대를 사례로. 경원대 석사학위논문 

  6. 민병미(2004) 통보리사초의 생육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7(1): 49-55 

  7. 서종철(2002) 원격탐사와 GIS 기 법을 이용한 신두리 해안사 구지대의 지형변화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1): 98-109 

  8. 신창성(2002) 해안사구 보전.관리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신두리 해안사구지대를 대상으로. 경원대 석사학위논문 

  9. 안영희(2003) 신두리 해안사구지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6): 29-40 

  10. 전승훈(1998) 충청남도 태안군 신두 해안사구의 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연구. 경원대 환경계획연구소 논문집,16: 79 101 

  11. 정용규,김종원(1998) 경북의 해안사구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1(3): 257-262 

  12. 최충호(2004) 신두리 해안사구지역 일대의 관속식물상 및 식물군집구조. 전북대 석사학위논문 

  13.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2002) 태안반도 신두리 사구습지 (두웅습지)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1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Verlag, Wien, pp.631 

  15. Costa, C. S. B., C, V. Cordazzo and U. Seeliger. (1996) Shore disturbance and dune plant distribution. J. Coastal Res 12: 133-140 

  16. Crawford, R. M. (1989) Studies in Plant Survival. Blackwell Scientific Pub., Oxford, pp. 296 

  17. Gauch, H. G. (1982) Multivariate analysis in community ecolog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Greig-Smith, P.(1983) Quantitative plant ecology. 3rd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arkeley, CA 

  19. Hill, M. O. (1994) DECORANA and TWINSPAN, fo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multivariate species data; a new edition, together with supporting programs, in FORTRAN 77. Huntingdon, England 

  20. Ishikawa, S. I. and N. Kachi(1998) Shoot population dynamics of Carex kobomugi on a coastal sand dune in relation to its zonal distribution. Aust. J. Bot. 46: 111-121 

  21. Kachi, N. and T. Hirose(1979) Multivariate approaches of the plant communities related with edapic factors in the dune system at Azigaura, Ibaraki Pref. I. Association analysis. Jpn, J, Ecol, 29: 17-27 

  22. McCune, B. and M. J. Mefford(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en, USA 

  23. Miyawaki, A, (1977) Vegetation of japan compared with other region of world, Kakgen, Tokyo 535. Kyushu(vol, 2), Shibundo, Tokyo, 484 

  24. Miyawaki, A, (1981) Vegetation of japan Kyushutvol 2), Shibundo, Tokyo, 484 

  25. Miyawaki, A., K. Suzuki, K. Fujiwara and S. Okuda(1980) Potentielle naturliche vegetation des ChugokuGebietes(west Honshu). Bull. Ins. Enviro. Sci. Techno. Yokohama Univ, 6(1): 77-118 

  26. Nakanishi H. and H. Fukumoto(1987) Zonation of coastal vegetation and coastal topography in southern Japan. Jpn. J. Ecol. 37: 197-207 

  27. Nakanishi H. and H. Fukumoto(1991) Zonation of sand dune vegetation and depositional topography in the San-in district, western Honshu, Japan. Jpn. J. Ecol, 41: 225-235 

  28. Van der Laan, D. (1979)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the vegetation of dune slack in relation to the groundwater regime. Vegetatio 39: 43-51 

  29. Van der Maarel E., J. G. M. Janssen and J. M. W. Louppen(1978) TABORD: a program for structuring phytosociological tables. Vegetatio 38: 143-156 

  30. Van der Maarel, E. (1979)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tio 39: 97-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