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1, 2007년, pp.14 - 23  

권홍진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찬종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이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6년 1급 정교사 자격 연수를 받고 있는 지구과학 교사 116명을 대상으로 야외 지질 학습의 필요성과 교육적 가치,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경험, 야외 지질 학습의 어려운 점과 바람직한 야외 지질 학습의 방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은 지구과학에서 야외 지질 학습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사양성과정에서 야외 지질 답사를 경험하였지만,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하는 방법을 배운 교사는 많지 않았다. 교직에 들어와서 야외 지질 답사를 다녀본 경험이나 학생들을 인솔하여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한 경험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지구과학 교사들이 야외 지질 학습을 지도하기 어렵다고 인식하였으며, 가장 어려운 이유로 교사 자신의 경험 부족이라고 인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직 교사 연수를 통한 야외 지질 학습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야외 지질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야외 지질 학습의 사전 활동으로 야외 지질 학습 장소의 지질학적인 소개나 설명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활동 중에는 교사의 안내와 학생들의 협동학습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사후 활동으로는 야외 지질 학습 결과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The hundred and sixteen high school earth science teachers who were in the training for their promotion answered the questionnaire of Learning in Geologic Field Trip. I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직 경력이 5년 이하인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이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야외 지질 학습의 필요성과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하여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부영역으로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교사들의 인식, 교육적 가치, 지도 경험, 어려운 점 그리고 바람직한 야외 지질 학습의 지도 방식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교사들에게 아외 지질 학습의 사전활동, 야외 지질 학습 활동, 야외 지질 학습 후 활동으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어떠한 활동이 필요한지를 알아보았다. 교사들은 야외 지질 학습 사전 활동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사전활동으로는 야외지질 학습 장소의 사진이나 비디오를 통한 소개 (39.
  •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야외학습과 과학 교사의 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오경진 외, 1999; 박선희, 2003; 김수민, 2000; 홍정수와 장남기, 1997)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과학교육 전공 교수 1명과 . 박사 과정생 4명으로부터 안면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지현, 2002, 야외 학습 모듈을 이용한 제주도 송악산 일대 야외 학습장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2 p 

  2. 김수민, 2000, 전북지역 중등과학교사의 탐구학습에 대한 인식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 조사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0 p 

  3. 김정수, 2000, 초등학교 자연 교과 중 지구과학 분야 야외 학습의 운영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8 p 

  4. 김해경, 김정길, 장병주, 1994, 초등학교의 야외 현장 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3(2), 195-205 

  5. 맹승호, 2005,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의 야외 지질 탑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9-29 

  6. 박선희, 2003, 지구과학 야외학습에 대한 지구과학 교사와 고등학생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6 p 

  7. 박정웅, 전영호, 조후자, 이덕만, 2000, 눈을 돌리면 자연이 보인다-한탄강으로 떠나는 지질 탐사-. 시그마프레스, 서울, 176 p 

  8. 박정웅, 조원주, 전영호, 맹승호, 박창용, 박정희, 2002, 지질답사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 지구과학교육연구회, 서울, 100 p 

  9. 박종규, 1987, 야외 학습 지도의 이론과 실제. 과학교육, 271, 41-48 

  10. 박진홍, 2001, 야외 지질 학습장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암석과 지질구조 동정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7 p 

  11. 박진홍, 정진우, 조규성, 이병주, 2000, 중.고등학생을 위한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야외 활도 지도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1(1), 13-21 

  12. 박현주, 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신과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21-430 

  13. 오경진, 조광희, 박상우, 박승재, 1999, '한국 역사 속 과학 탐방' 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61-470 

  14. 윤성효, 장정일, 고정선, 2005, 고등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야외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6(7), 611-623 

  15. 이문원, 1985,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626 p 

  16. 전영호, 1996, 충북 영동 지역의 야외 지질 학습 자료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4 p 

  17.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 지질 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49-658 

  18. 지호선, 2004, 격포 지역의 야외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생들의 반응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4 p 

  19. 최영산, 2001, 광주 지방의 중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2 p 

  20. 홍정수, 장남기, 1997, 중등학교 과학과 야외활동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85-92 

  21. Kern, E.L. and Carpenter, J.R., 1984, Enhancement of student values, interests and attitudes in earth science through a field-oriented approach.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2, 299-305 

  22. Manner, B.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128-131 

  23. Orion, N. and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 (10), 1097-1119 

  24.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 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25.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 325-331 

  26. Orion, N., 2003, The outdoor as a central learning environment in the global science literacy Framework: From theory to practice. In Mayer, V.J.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Ohio State University Press, OH, USA, 53-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