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성산일출봉 일대 현무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Petrology of the Basalts in the Seongsan-Ilchulbong area,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3, 2007년, pp.324 - 342  

고정선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  정은주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동부 성산 일출봉 일대 현무암류에 대한 암석기재, 암석화학적 특징 및 마그마 성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지역의 지질은 층서적으로 최하부에 표선리현무암이 놓이며, 그 위에 성산리현무암이 분포하는데, 이는 라필리스톤층 및 고토양층에 의해 하부용암류와 상부용암류로 구분된다. 본 지역에서 산출되는 용암류는 반정 광물의 종류 및 조직에 따라 크게 침상장석 감람석 현무암과 비현정질 현무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지역의 화산암류는 TAS분류도에서 알칼리계열 현무암과 비알칼리계열 현무암으로 분류되며, 비알칼리 계열 현무암은 쏠리아이트암으로 분류된다. 쏠리아이트 현무암은 알칼리현무암에 비하여 $SiO_2,\;FeO^T$, CaO 함량이 높고, $TiO_2,\;K_2O,\;P_2O_5$ 함량과 다른 불호정성원소 함량의 낮은 값을 가지는 특징을 보인다. MgO 함량 변화에 따른 미량 원소 변화에서 호정성 미량 원소의 변화 경향은 대체로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고, Th을 마그마 분화 척도로 사용한 불호정성 미량 원소의 변화 경향도 정(+)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다. 암석화학적 고찰 결과는 본 지역의 암석이 동질기원 마그마 물질의 부분용융의 차이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ports petrograph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salt lava flows in Seongsan-Ilchulbong area, the easternpart of Jeju island, Korea, to understand the evolutionary processes of magma. Basalt lavas are classified into the Pyoseon-ri basalt and the Seongsan-ri basalt. The Pyoseo...

주제어

참고문헌 (43)

  1. 고정선, 윤성효, 현경봉, 이문원, 길영우, 2005, 제주도 우도 단성화산의 현무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4(1), 45-60 

  2. 고정선, 윤성효, 김석연, 2007, 제주도 섭지코지 선돌 분석구의 화산작용과 현무암. 한국지구과학회지, 28(4), in press 

  3. 김봉균, 1969, 제주도 신양리 및 고산리 지구의 신양리층에대한 층서 및 고생물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5(2), 103-121 

  4. 김석연, 2001, 제주도 동부 섭지코지 일대 현무암의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 p 

  5. 박기화, 이병주, 조등룔, 김정찬, 이승렬, 최현일, 황재하, 송교영, 최범영, 조병욱, 김유봉, 1998, 제주-애월도폭 지질조사. 제주도, 290 p 

  6. 박준범, 1994, 제주도 화산암의 지화학적 진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5 p 

  7. 박준범, 권성택, 1991, 제주도 화산암의 암석화학적 진화(II): 제주 동부 월라봉부근 시추코아 연구. 대한지질학회 제 46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지질학회지, 27, 531 p 

  8. 박준범, 권성택, 1996, 제주도의 솔리아이트 화산활동. 암석학회지, 5, 66-83 

  9. 원종관, 1976, 제주도의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인 연구. 지질학회지, 12, 207-226 

  10. 원종관, 길영우, 이문원, 1998a, 제주도 동북사면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19, 329-342 

  11. 원종관, 이문원, 윤성효, 고보균, 1998b, 제주도 남동부 표선 지역 화산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지질학회지, 34, 172-191 

  12. 원종관, 이문원, 윤성효, 이동영, 고보균, 1995, 표선도폭(1:100,000) 지질설명서. 건설부, 제주도, 59 p 

  13. 원종관, 이문원, 이동영, 박계헌, 1993, 성산도폭설명서. 제주도청, 59 p 

  14. 윤상구, 한대석, 이동영, 1986, 제주도 남부 지역의 제4기 지질 조사 연구. 동력자원연구소 지질보고서, KR-86-2-(B)-2, 223-278 

  15. 윤성효, 원종관, 이문원, 고정선, 이정숙, 1997, 제주도 동부지역의 쏠레이아이트 용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암석학회 발표요약문, 14, 42p 

  16. 윤성효, 고정선, 안지영, 1998, 제주도 동부 알칼리 현무암내 스피넬-레졸라이트 포획체의 연구. 자원환경지질, 31(5), 447-458 

  17. 윤성효, 고정선, 박정미, 2002, 제주도 남동부 태흥리 용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11(1), 17-29 

  18. 이문원, 원종관, 이동영, 박계헌, 김문섭, 1994, 제주도 남사면 화산암류의 화산층서 및 암석학적 연구. 1992년도 과학재단 자유공모과제 보고서, 65 p 

  19. 이동영, 윤상규, 김주용, 김윤종, 1987, 제주도 제 4기 지질조사연구,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33-278 

  20. 이정숙, 1998, 제주도 동부 지역의 쏠레이아이트 용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2 p 

  21. Armstrong, R.L. and Nixon, GT., 1981, Chemical and Sr isotopic composition of igneous rocks from DSDP LEGS 59 and 60, in; initial reports of the Deep Sea Drill Project 59, 719-727 

  22. Frey, F.A., Green, D.H. and Roy, S.D., 1978, Integrated models of basalt pedogenesis a study of quartz tholei-ites to olivine melilites from south eastern Australia utilizing geochemical and experimental petrological data. Journal of Petrology, 19, 463-513 

  23. Hanson, GN., 1989, An approach to trace element modeling using a simple igneous system as an example. In Lipin, B.R and McKay, GA. (eds.) Geochemistry and mineralogy of rare earth elements. Review of Mineralogy, 21, 79-97 

  24. Hyndman, D.W., 1985, Prtrology of igneous and metamor-phic rocks. (2nd ed.) McGrow-Hill, 786 p 

  25. Irvine, T.N. and Baragar, W.R.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 8, 523-548 

  26. Kim, D.H., Hwang, J.H., and Hwang, S.K., 1986, Tuff rings and cones o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2, 1-9 

  27. Kuno, H., 1966, Lateral variation of basalt magma across continental margins and island arcs. Bulletin of Volca-nology, 29, 195-222 

  28.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ournal of Petrology, 27, 745-750 

  29. Lee, M.W., 1982,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eju volcanic Island, Korea. Science Report Tohoku University Series, 3, 15, 177-256 

  30. MacDonald, GA. and Katsura, T. 1964, Chemical composition of Hawaiian Lavas. Journal of Petrology, 5, 82-133 

  31. Macdonald, R., 1980, Trace Element Evidence for Mantle Heterogeneity Beneath the Scottish Midland Valley in the Carboniferous and Permian, Phil. Trans. R. Soc. Lond.,. Series A, Mathematical and Physical Sciences, 297 (1431), The Evidence for Chemical Heterogeneity in the Earth's Mantle (Jul. 24, 1980), 245-257 

  32. Middlemost, E.A.K., 1975, The basalt clan. Earth Science Review, 11, 337-364 

  33. Miyashiro, A, 1978, Nature of alkalic volcanic rock series.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66, 91-104 

  34. Mullen, E.D., 1983, $MnO/TiO_2/P_2O_5$ : a minor element discriminant for basaltic rocks of oceanic environments and its implications for petrogenesi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 62, 53-62 

  35. Pearce, J.A. and Cann, J.R., 1973, Tectonic setting of basic volcanic rocks determined using trace element analysi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 19, 290-300 

  36. Pearce, J.A., 1983, Role of the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t active continental margins, in Hawkeswoth, C.J. and Norry, M.J. (eds.)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s, Shiva Publishing Limited, 230-249 

  37. Taylor, S.R., and McLennan, S.M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 p 

  38. Treuil, M. and Joron, J.M., 1975, Utilisation des elements hygro-magmatophiles pour la simplification de la mod-elisation quantitative des processus magmatiques. Soci-eta' Italiana di mineralogia et petrologia, 31, 125 

  39. Weaver, B.L., Wood, D.A., Tarney, J. and Joron, J.L., 1987, Geochemistry of ocean island basalts from the south Atlantic: Ascension, Bouvet, St. Helena, Gough and Tristan da Cunha. In Fitton, J.G and Upton, B.GJ. (eds.), Alkaline igneous rocks, Geological Survey Special Publication, 30, 253-267 

  40. Winchester, J.A. and Floyd, P.A., 1977, Geochemical discrimination of different magma series and their differ-ertiation products using immobile elements. Chemical Geology, 20, 325-343 

  41. Wilson, M., 1989, Igneous petrogenesis. Unwin Hyman, London. 466 p 

  42. Wood, D.A., 1980, The application of a Th-Hf-Ta diagram to problems of tectonomagmatic classification and to establishing the nature of crustal contamination of basaltic lavas of the British Tertiary volcanic provinc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 50, 11-30 

  43. Zhi, X., Song, Y, Frey, F.A., Reng, J., and Zhai, M., 1990, Geochemistry of Hannuoba basalts, eastern China; Con-traints on the origin of continental alkali and tholeiitic basalt. Chemical Geology, 88, 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