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지역 잎들깨 시설하우스에서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가해양상
Degree of Injury Caused by Larva of Pyrausta panopealis Walker (Lepidoptera: Pyralidae) in Green Perilla Polyvinyl House at Chungnam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46 no.2, 2007년, pp.193 - 199  

최용석 (충남농업기술원) ,  박덕기 (바이인섹트㈜) ,  김병련 (충남농업기술원) ,  한광섭 (충남농업기술원) ,  윤영남 (충남대학교 농생물학과) ,  최광렬 (충남대학교 농생물학과)

초록

본 연구는 시설 잎들깨재배시 진딧물과 함께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피해양상을 밝힘으로써 들깨잎말이명나방의 경제적피해수준과 요방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한 정량적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대전 유성의 충남농업기술원(구)과 충남 예산의 충남농업기술원 포장, 충남 금산의 농가포장에서 2004년부터 2006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잎들깨를 가해하는 주요해충은 4목 5과 6종이었으며, 이중 들깨잎말이명나방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들깨잎말이명나방은 무방제시 48.5%의 피해엽율로 들깨진딧물과 함께 가장 피해가 높았으며 2004년과 2005년에 걸친 들깨잎말이명나방 성충의 황색트랩 조사결과 8월 상순과 9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발육단계별 섭식량은 1령부터 3령까지 고른 섭식량을 보였으나 4령은 3령보다 약 3.7배 증가한 $3.71 cm^2$의 섭식량을 보였다. 들깨잎말이명나방의 발육기간이 가장 짧은 $27.5^{\circ}C$에서 알에서 부화한 유충의 섭식량을 매일 조사한 결과, 4 령충으로 탈피하는 시기인 7 째부터 섭식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10주를 1반복으로 하여 들깨잎말이명나방 1령충을 1마리부터 7마리까지 접종한 후 피해주율과 피해엽율을 조사하였다. 1마리 접종구와 3마리 접종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4마리 접종구부터 피해주율과 피해엽율이 증가하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실제포장에서 피해받은 주의 유충밀도를 조사한 결과, 피해주에 대하여 3마리 이상의 유충은 조사되지 않았다. 따라서 들깨잎말이명나방 성충은 잎들깨에 산발적으로 산란하는 습성을 보이며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이동하지 않고 그 주에서 피해를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본 결과는 들깨잎말이명나방 유충의 경제적피해수준 설정과 요방제수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degree of injury caused by P. panopealis larva which is the key component to develop economic injury level or control threshold in green perilla and was carried out in polyvinyl houses at Yuseong Daejeon, Geumsan and Yesan Chungnam from 2004 to 2006. Of 5 major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Choi, 2006). 이러한 농약의 무분별한 사용은 농약잔류문제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파괴까지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살포되는 농약의 살포 횟수를 줄이고 적기방제를 위한 들깨잎말이명나방의 경제적 피해 수준과 요방제수준 설정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정량적지 표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e, S.D., H.J. Kim and H.J. Jo. 2002. Study on the ecology and resistance of insects on perilla under greenhouse. HARI, RDA, Examination & Research Report, 623-645 

  2. Cheong, H.S., S.H. Kim, H.S. Kim, W.J. Choi, H.S. Kim, S.Y. Chung, S.H. Kim and H.S Kim. 1991.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J. Kor. Soc. Food & Nutri. 22(5): 418-425 

  3. Choi, Y.S. 2007. Pest control for environmental friendly green perilla leaves in polyvinyl houses. 3pp. Ph. D. thesis, Chungnam Nat'l Univ 

  4. Choi, Y.S., D.K. Park, I.S. Han and G.R. Choe. 2006. Determination of economic injury levels (EILs) and control thresholds (CTs) of Aphis egomae (Horn.: Aphididae) in green perilla. Korean J. Appl. Entomol. 45(3): 317-325 

  5. Ezaki, O., M. Takahashi, T. Shigematsu, K. Shimamura, J. Kimura, H. Ezaki and T. Gotoh. 1999. Long-term effects of dietary alpha-linolenic acid form perilla oil on serum fatty acids composition and on the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Japanese elderly subjects. J. Nutri. Sci. & Vitaminol. 45(6): 759-772 

  6. Jeon, H.Y., M.S. In and I.S. Woo. 1989. Seasonal occurrence and control of green perilla. Annual research paper of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pp. 145-147 

  7. Jo, W.S., S.B. Ahn, S.H. Lee, M.H. Lee and G.M. Choi. 1986. Insect pest species of major crops (new income crops). Annual Report of RDA. pp. 467-481 

  8. Park, D.K., I.S. Oh and K.H. Han. 1999. Insect pests of major crops in Chungnam province. Report for Insect pests & phytopethogen of crops. Chungnam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pp. 546-551 

  9. SAS Institute. 2004. SAS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Sed. SAS Institute, Inc., Cary, NC 

  10. Seol, K.Y. and H.G. Goh. 1990. Artificial diet for mass-rearing of the perilla leaf pyralid, Pyrausta panopealis Walker (Lepidoptera: Pyralidae). Kor. J. Appl. Entomol. 29(3): 190-193 

  11. Song, J.H. and H.S. Park. 1994. Effect of perilla oil on colon tumor incidence and its relation to eicosanoid levels and fatty acid profiles of tissues in chemical carcinogen-treated rats. Kor. Biochem. J. 27(6): 550-557 

  12. Yin, C. and B. Li. 1993. Nutritional studies on seed, stem and leaf of purple common perilla (perilla frutescens). Acta Agriculturae Shanghai. China. 9(1): 55-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