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적 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upport Group Intervention on the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7 no.5, 2007년, pp.693 - 702  

유은광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전상희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경외과 병동, 한양대학교 간호학) ,  양정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경외과 병동,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 support group intervention on the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36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를 위한 집단적 지지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 수발자가 가지는 부담감을 줄이기 위하여 집단적 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통해 입원 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를 위한 집단적 지지 간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로 구성된 집단적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들이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현 상황에 적응하고 대처하는 것을 돕고 가족 수발자 스스로의 자가 간호 관리기술증진 도모를 돕고자 하였고, 집단적 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하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로 구성된 집단적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들이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현 상황에 적응하고 대처하는 것을 돕고 가족 수발자 스스로의 자가 간호 관리기술증진 도모를 돕고자 하였고, 집단적 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을 비교하여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들이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이들의 간호요구에 맞는 집단적 지지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 가족 수발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아 임상에서의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 한편 본 연구에서는 집단적 지지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구체적 영역별 부담감 감소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후 실험군의 영역별 부담감은 시간의존적 부담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발달과업적, 사회적, 재정적, 신체적, 정서적 부담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on, C. S., Linto, J., & Stewart- Wynne, E. G. (1995). A population - based assessment of the impact and burden of caregivmg for long-term stroke survivors. Stroke, 26, 843-849 

  2. Bethoux, F., Calmels, P., Gautheron, V., & Minaire, P. (1996). Quality of life of the spouses of stroke patients: Preliminary study. Int J Rehabil Res, 19, 291-296 

  3. Cho, B. H. (1999).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in family functioning of stroke patients. J Rehabit Nur, 22(6), 1159-1165 

  4. Chung, C. J. (1992). An impact that social support groups have on the sense of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family who take care of brain-and spinal cord-impaired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5. Cho, Y. H. (2000). Assessment for self-care level of stroke patient and care needs of family caregivers. J Rehabit Nur, 7(2), 225-239 

  6. Dressen Kinney, C. K. (1980) Support group, nursing interventions: Treatments for nursing diagnosis. Philadelphia. W. B.: Saunders Co 

  7. Evans, R. L., & Northwood, L. (1983). Social support needs in adjustment to stroke. Arch Phys Med Rehabit, 64, 61-64 

  8. Jang, I. S. (1995). A study on the sense of burden of family with elderly chronic invalids in some rural are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Kang, H. S. (1997). Need assessment for home nursing of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Nurs, 27(3), 550-562 

  10. Kim, B. L. (2000). The effect of support group intervention on various adaptations primary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buk University, Daegu 

  11. Kim, H. M., & Jang, G. J. (1998). A study on perceived sense of burden and quality of life of family members of stroke patients. J Korean Nurs Edu, 4(1), 81-94 

  12. Kim, S. S. (1992).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3.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1996). Neurosurgery. Seoul: Jin-su publication 

  14. Korean Statistical Office. (2005). Death statistics. http://www.nso.go.kr 

  15. Lee, D. H. (1998). Stroke prevention. J Korean Med Assoc, 41(12), 1258-1266 

  16. Lee, E. O., Lim, N. Y., & Park, H. A. (1991). Nursing 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umunsa 

  17. Lee, Y. S. (1993). A study on the family burden on chronically III patient at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 Mahoney, F. I., & Barthel, D. (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56-61 

  19. Novak, M. N., & Guest, C. (1989). Application of a multidimens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 29(6), 798-803 

  20. Oh, K. S. (1997). Effect of a social support group on burden and well-being of mothers of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J Korean Acad Nurs, 27(2), 389-400 

  21. Park, M. H. (1991). An analytical study on perceive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and its associated variables. J Catholic Med College, 44(3) 949-958 

  22. Park, Y. H. (1999). The effect of an arbitration program of collective support nursing on the senses of burden and well-being of spouses of stroke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Park, Y. H., Yu, S. J., & Song, M. S. (1999). An investigation of the sense of burden of family members who take care of storke patients and the demand for an arbitration program of collective support nursing. J Korean Acad Adult Nurs, 11(1), 119-134 

  24. Prinz-Federson, V. (1990). Group process effect on caregiver burden. J Neurosci Nurs, 22(3), 164-168 

  25. Ryu, M. J. (2002). The effect of a group support program on the burden of family primar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6. Scholte op Reimer, W. J. M., de Haan, R. J., Rijnders, P. T., Limburg, M., & van den Bos, G. A. M. (1998). The burden of caregiving in partners of long-term stroke survivors. Stroke, 29(8), 1605-1611 

  27. Yang, Y. H. (1992). A theoretical structural model of role stress and health of family members who take care of chronic in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 Yoo, E. J. (2002). The effect of group support program for the family caregivers of dementia pati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9. Zarit, S. H., Reever, K. E., & Bach-Peterson, J. (1980).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dings of burden. The Geronto, 20(6), 649-6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