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악산국립공원의 식생
Vegetation of Chiaksan National Park in Gangwo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1 no.4, 2007년, pp.356 - 365  

송홍선 (민속식물연구소) ,  조우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상관에 의한 현존식생 및 종조성표 분류법과 배열법의 군집분류법을 적용하여 치악산국립공원 구역의 식생천이 경과에 따라 변화된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하였다. 현존식생은 신갈나무림(33.1%)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혼효림(16.2%), 일본잎갈나무림(15.6%), 낙연활엽수림(14.7%), 소나무림(11.1%), 잣나무림(2.3%), 리기다소나무림(0.1%)순이었다. 식생은 당단풍-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까치박달군락, 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및 식재림으로 분류되었다. 당단풍-신갈나무군락은 하위단위 군락으로 서어나무-조릿대군락, 물푸레나무군락, 노린재나무-대사초군락이 구분되었다. 종조성표의 분류법과 배열법의 식물군락 분류는 유사하였다. 식생천이는 산중턱 이상에서 신갈나무(교목층)-당단풍(아교목층)-철쭉(관목층)이 결합하여 극상림을 이룰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d vegetational community structure according to vegetational succession in Chiaksan National Park of Korea by applying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method of floristic composition along with the actual vegetation by correlation. As for the ratio of 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배열법의 식생분류를 위한 유집분석(cluster analysis) 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은 Z-M학파의 종조성 표 분류법에 따른 유형구분과 결합양상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 분석을 위한 자료는 조사구의 종 조성을 나타내는 Braun—Blanquet(1964)의 우점도를 Van der Maarel(1979)의 식생등급계급치(1, 2, 3, 4, 5, 6, 7, 8, 9)로 환산하여 자료를 작성하였다.
  • 이에 본 연구조사는 앞선 연구의 추정처럼 그동안 식생천이가 진행되었을 것으로 가정한 후 그에 따른 식생구조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physiognomy) 에 의한 현존식생과 식물사회학적 군락구조를 분석한 바 목적하는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 치악산국립공원 내의 상관적 식생조사는 식물사회 학적 군락구조의 분석을 위한 대표성의 조사구 선정과 현존식생의 추정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층상과 해발고 도에 따른 주요 우점종은 Tabl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상준(1989) 89자연생태계 전국조사(II-1)- 제4차연도(강원도의 식생),환경처,47-91쪽 

  2. 권태호,오구균,권영선(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훼손과 주변 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 응용생태 연구 2: 50-65 

  3. 길봉석,김창환,김영식,유현경(1996) 방태산 남사면 일대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연구보고서 37: 43-76 

  4. 김성종(1999) 치악산 삼림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52쪽 

  5. 김용식,김갑태,김준선,임경빈(1988)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 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2: 9-18 

  6. 김윤동(1977) 광릉삼림군집내 주요수종의 직경계급분표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20: 141-149 

  7. 김준민,신창남(1980) 치악산 이차림의 보호를 위한 비교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 보고서 2: 35-48 

  8. 박인협,이경재,조재창(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삼림군집 구조-구룡사-비로봉 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 2(1): 1-8 

  9. 송호경,우인식,이수옥,남이(1987)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한 덕유산 삼림식생 연구. 충남대 환경연구보고 5: 29-73 

  10. 오구균,권태호, 조일웅(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주연부식생구조. 응용생태연구 2(1): 19-36 

  11. 이우철,이철환(1989) 한국산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2(4): 257-284 

  12. 이우철,임양재(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부): 1-33 

  13. 이호준(1996) 치악산 국립공원 자원조사(식물생태계), 국립공원관리공단,31-103쪽 

  14. 이호준,홍문표(1999) 원주횡성 소권역의 식생-제2차 전국 자연환경조사,환경부. 96-141쪽 

  15. 임경빈,이경재,김갑태,오구균(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관리개선 방안. 응용생태연구 2: 86-104 

  16. 임양재,김정언(1992) 지리산의 식생. 중앙대출판부,서울 467쪽 

  17. 조무연,이우철,박문규,배병호(1976) 치악산의 관속식물.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9: 41-63 

  18.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 Aufl, Springer-Verlag, Wein. New York, 865pp 

  19.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orung,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ugen Ulmer, Stuttgart, 136pp 

  20. Gauch, H. G. (1982) Multivariate analysis in community ecology, Cambridge Univ, Press, New York, 298pp 

  21. Hill, M, O. (1994) DECORANA and TWINSPAN, fo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multivariate species data. Huntingdon, England, 58pp 

  22. Kim, J. W. (1990) A syntaxonomical scheme for the deciduous oak forest of South Korea. Abstr. Bot. 14: 51-81 

  23. Kim, J. 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 D. Thesis. Wien Univ., Wien. 314pp 

  24. McCune B. and M. J. Mefford(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221pp 

  25. Miyawaki A., T. Ohba, S. Okuda, K. Nakayama and K. Fujiwara(1968) Pflanzensoziologische studion ubcr dicvegetation der Umgebung von Echigo Sanzan und Okutadami. Sci. Rep. Nature Conservation Soc, Jap. 34: 57-152 

  26. Muella-Domboi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547pp 

  27. Song, J. S. (1988)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mixed coniferous and deciduous broad-leaf forests in South Korea. Hikobia 10: 145-156 

  28. Suzuki, T. (1966) Preliminary system of the Japanese natural forest communities. Shinrin Ritchi. 8: 1-12 

  29. Takeda, Y., S. Nakanishi and D. Choe(1994) Phytosociological study on natural summer-green forests in South Korea. Ecol. Res. 9: 21-32 

  30. Van der Maarel E. (1979) Multivariate methods in phytosociology with reference to the Netherlands. in M. J. A. Werger(ed.), The study of vegetation, 161-225pp 

  31. Whittaker, R. H. (1962) Classification of natural communities. Botanical Review, 28: 1-239 

  32. Yim, Y. J. and T. Kira(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 1.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33. Zechmeister, H. and L. Mucina(1994) Vegetation of european springs-High rank syntaxa of the Montio-Cardaminetea. J. Veg. Sci, 5: 385-4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