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사문화적 관점에서의 치악산국립공원 구룡계곡 소나무림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Guryong Valley, Chiak National Park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0 no.6, 2017년, pp.117 - 131  

오희영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강현경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김명섭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백승준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홍점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원예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raw vegetation landscape elements in the ancient literature, investigate plant community structure, understand vegetation structure, and suggest reasonal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As a result of analyzing ancient literatur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in Guryo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구룡계곡의 소나무는 인문학적, 현상학적으로 중요한황장금표(黄腸禁標) 식생경관이었으며 식생군집구조 분석결과, 아교목층과 관목층에 참나무류중심의 천이가 예상되었으므로 식생관리가 필요하였다. 또한, 소나무 생육지 내부에 조릿대 피복율이 높아 소나무 치수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므로 이에 따른 적극적 관리방안의 모색이 필요하였다. 주요한 역사문화 식생경관인소나무 경관 유지를 위한 적극적 관리를 위하여소나무 하층부의 참나무류 관리지역(84,029㎡)과 조릿대 관리지역(21,443㎡)으로 구분하였다.
  • 안석경(安錫儆, 1717∼1774)은 충주 가흥에서 태어나 과거에 실패한후 마흔부터 48세에 삽교로 옮기기 전까지 원주의 손곡에서 살았다. 이 문헌은 1752년 안석경이 치악산 대승암에서 9박 10일간 머물며 독서와 산수완상(山水玩賞)을 병행하던 때의 기록으로 상원사, 구룡사, 대승암을 유람한 내용이다.이와 같은『유치악대승암기(遊雉岳大乘菴記)』에서 기록된 내용 가운데 식생경관요소를 추출하였다.
  • 주로 치악산국립공원의 식생상관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구간별 식생변화양상 및 천이계열 예측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 악산국립공원 입구부에 위치한 황장금표(黃腸 禁標) 소나무림을 포함한 구룡계곡부를 대상으 로 역사문화자원으로서 고문헌과 고지도 분석과 생태문화자원으로서 주요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 구조 조사를 실시하여 합리적인 보전,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대상지인 치악산국립공원 구룡계곡은고문헌, 고지도 분석을 통하여 소나무 보존을 위한 금산(禁山)으로서의 역사적 장소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황장목 소나무 보존을 위하여구룡계곡 주변의 식생군집구조 분석을 시행, 현황을 파악하고 역사․문화적 소나무 식생경관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문헌 고찰을 통하여 치악산 구룡계곡을 중심으로소나무 경관이 우세하였으며 하부식생으로 철쭉종류가 분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지정된 국립공원은 어디인가? 국립공원은 한 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자연 생태계의 보고임과 동시에 수려한 자연경관과 역사문화자원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국립공원의 보호 및 보전과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하여 1967년 지리산국립공원을 시작으로 22개의 국립공원을 지정하였으며, 1986년 자연공원법을 개정하여 1987년 국립공원관리공단을 설립하였다(http:// www.knps.
국립공원이 역사적 자연경관, 인문학적인 문화경관으로서 가치가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국립공원내에 존재하는 역사적 자연경관, 인문학적인 문화경관으로서 가치가 높은 생태문화자원에 대한 유지 및 관리에 대한 요구도는 높아 가고 있다. 이는 국립공원이 우리나라 고유의 역사자연경관을 유지하면서 주요 경관 요소들과 관련된 설화와 전설 등 무형적 문화 요소들을 현장에서 연계하여 가시적 경관 요소들과 결합된 스토리텔링의 장소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주요한 지역이기 때문이다(Wonju-si, 2014).
국립공원의 식생관리의 연구가 중점을 두는 것은 무엇인가?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 생태계 복원 및 자연 보전 중심의효율적인 자연자원 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식생관리에 있어서는 국립공원별 식생자원 조사 및 군집구조 특성 분석 등을 통해 기본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운영 모니터링을 진행 중에 있다. 국립공원의 식생관리에 관한 주요 연구동향은 식물상, 식물군집구조를 중심으로 생태적 특성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국립공원은 많은 역사산림문화자원이 보존되어 있어 문화, 지형, 식생 경관적 측면에서 다각적 접근에서의 가치평가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ck SJ.Kang HK and Kim SH. 2013.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Yongha Gugok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4) : 487-49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 476-496. 

  3. Gratzer, G..Rai, P.B. and Glatzel, G. 1999. The Influence of the Bamboo Yushania Microphylla on Regeneration of Abies densa in Central Bhutan. Can. J. For. Res. 29 : 1,518-1,527. 

  4. Han BH.Kwak JI.Jang JH and Bae JH. 2009. A Study on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Improvement of Gugok Landsacpe of Hwayang Valley in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2) : 194-20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Hill, M.O. 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d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6. Jang JS. 2014. 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Sansu Landscape Using Ecological Analysis : A Case Study on the Gugok Landscape of Songnisan(Mt.). Ph.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ang HM.Choi SH.Lee SD.Cho HS and Kim JS. 2012. Vegetation Structure of the Bulguksa Buddhist Temple Forest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 787-80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Kim HC. 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s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Ph. D. thesis,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103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Kim DH. 2016. Study on Vascular Plants in Mt. Chiak : Area in Guryongsa and Hwanggol. MS Thesis, Sangji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im DW.Han BH.Kim JY and Yeum JH. 2015.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Community from Sinseongam to Jungdaesa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6) : 895-90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Kim YS.Kim GT.Kim JS and Yim KB. 1988. Evaluation on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 : 9-1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oo JW. 2014.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Gayasan National Park. M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3.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06. Chiaksan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s Survey, Wonju.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Lee EY. 2013. A Study on the Changes o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Yeongsil, Hallasan Mountain National Park for Twenty-two Years(1990-2012), Korea. M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Lee KJ.Kim JS.Choi JW and Han BH. 2008. Vegetation Structure of Abies holophylla Forest near Woljeong Temple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2) : 173-18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Lee SJ and Ahn YH. 2014.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about Shrine Forest in Jirisan National Park with Regard to Global Warming.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3(11) : 1863-1879. 

  17. Lee SW. 2014.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Control of Oak Wilt Infected according to Climate Change -area in Chiaksan National Oark. MS Thesis, Sangji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19. McCune, B. and Mefford M.J.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for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20. Nam SY. 2001.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 of Abies holophylla Forest at Woljongsa Area in Mt. Odae National Park.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1. Oh KK.Kwon TH and Jo IW. 1988.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 : 19-3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Park BW. 1992. Pine Tree, Hwangjangmog, Hwang- jang-geumpyo. Forests & Culture. (in Korean) 

  23. Park IH.Lee KJ and Jo JC. 1988.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Guryong Temple-Birobong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1-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Sin HT.Park SG.Yi MH and Yoon JW. 2012.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Properties of Sasa borealis (Hack.) Makino Community and Effect its Dis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Lower Vegetation in J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1) : 82-9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5. Society for Forests & Culture. 2013. 16 Sites with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Nominated as Candidates. Forests & Culture 22(5) : 50-5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Song HS and Cho W. 2007. Vegetation of Chiaksan National Park in Gangwo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4) : 356-36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7. Wonju-si. 2014. A Study of Scenic Sites Designation in Guryong Valley in Chiak National Park. (in Korean) 

  28. http://www.knps.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