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겨주시 단독주택지역의 주거유형 및 생활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Patterns and Living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Single-Family Residential Areas in Gyeongju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8 no.5, 2007년, pp.93 - 102  

이종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  손철수 (계명대학교 건축학부) ,  이윤정 (대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space structure in urban residential areas, bas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Gyeongju area. In order to clarify its residential and cultural properties, the residential patterns and living characteristics identifying its his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슬라브 변화형, 등의 주택들과 혼재하고 있다. 그중 70 년대의 원형에 가까운 주택을 예로 평면구성의 변화와 생활적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경주지역 도심주거지의 공간구조 변화를 분석 하고, 나아가 경주지역 의 시대적 상황을 담고 있는 주택 유형들을 대상으로 유형학적, 생활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경주지역의 주거 문화적 속성을 규명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는 무엇보다 경주 시민들의 생활 환경적 욕구를 충족시키면서도 경주의 역사 .
  • 그러나 이들 지역의 주거형식은 외형적으로는 유사한 한옥형식을 유지하고 있으나 거주자의 생활적 내용에 따라 많은 부분이 변형되어졌음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지역 한옥유형의 평면구성이 현재적 주생활을 어떤 모습으로 수용하고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 문화적 관점에서의 주거유형 개발에 관한 접근6)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경주의 역사 . 문화 도시 의 경 관적 측면과 주거유형 개발에 관한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경주지역의 단독주택지를 대상으로 도심 주거지의 공간구조의 변화를 이해하고, 주택개발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담고 있는 주택 유형들의 유형학적, 생활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경주지역의 주거 문화적 속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되어진다. 1.
  • 이 지역은 80년대에 도심 주택지로 개발되면서 대부분 , 슬라브 변화형, 등의 외부계단실 2층 주택24)들이 대부분이며, 평면구성의 특성과 생활적 내용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54%로 확장되는 반면 녹지지역은 그 비중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경주시의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기능의 약화를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의 확장을 통하여 도시기능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함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경주시(2004), 2020 경주 도시기본계획 

  2. 경주시(2005), 경주 쪽샘지역 생활문화 조사연구(상) 

  3. 김국선, 미래주거공간을 위한 전통주거공간의 정체성, 건축0406, 54-57 

  4. 김대익 , 중소도시의 도시.건축에 관하여, 건축9902, 17-20 

  5. 김왕배(2000), 도시, 공간, 생활세계, 한울 

  6. 김지민(2006), 지속 가능한 '한옥' 평면형 개발,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계획계, 22(3), 211-218 

  7. 박병식.이종렬(1999), 역사.문화.관광도시로서의 경주시 도시계획발전방안, 경주문화연구, 2 

  8. 신재억.최일(1990), 전통주거건축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4), 135-147 

  9. 이완건(2005), 서울의 역사성 표현을 위한 근대건축 보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왕기, 농촌 문화환경의 보전과 경관가치의 재생산 방안, 건축 0506, 43-48 

  11. 이주형.장석하(2006), 한국근대건축물 보존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3), 107-115 

  12. 임창복(1988), 한국도시단독주택의 유형적 지속성과 변용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13. 임창복.서기영(2000), 도시주거지내 주거유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6(11), 121-128 

  14. 정무웅, 고인룡(1994), 주거문화적 배경에서 본 주거의 특성 및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0), 73-87 

  15. 정성대(2002), 역사도시 경주의 경관선호 특성, 성균관대학 교박사학위 논문 

  16. 정준현.이중우(1993), 도시 대중주택 외관형태의 의장적 특성 및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9(9), 67-79 

  17. 정준현(1993), 도시단독주택의 공간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조세환(1993), 경주의 역사성과 도시개발의 조화방향, 도시 문제, 28(301) 

  19. 최무현(2001), 경주 기성시가지내 새로운 주택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경주문화연구, 4 

  20. 최재영(1997), 경주의 문화.관광도시 활성화를 위한 도시 경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논문집, 9 

  21. 최효승(1986), 도시대중주택에 나타난 유전적 건축공간언어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한필원(2004), 대전 구도심 주거지의 필지체계 및 주택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4) 

  23. 한필원(2006), 공주 도심주거지의 재래주택 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8), 179-190 

  24. 신상화(1998), 慶州の都市形成と風水地理說の關係についての硏究, 日本建葉學會近畿支部硏究報告集 

  25. Rossi, A. (1982), The Architecture of the city, MIT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