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마 끝순 추출물의 항균 및 항돌연변이 효과
Antibacterial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Sweetpotato Tips Extract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2 no.3, 2007년, pp.303 - 310  

이준설 (작물과학원 목포시험장) ,  신미진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양균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영섭 (작물과학원) ,  정미남 (농촌진흥청) ,  김학신 (호남농업연구소) ,  김정목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구마 용도 다양화와 지상부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하여, 괴근에서 자라난 싹 중 부드러운 잎과 잎자루를 포함한 줄기끝 10 cm의 끝순을 수확하여, 끝순 추출물의 페놀화합물 함량, 식중독균인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 활성, 식품안전성과 관련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구마 끝순에는 6종의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이 총페놀함량의 $89{\sim}9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용매분획별 페놀화합물 함량은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2. 고구마 끝순의 80% ethanol 조추출물의 수율은 12.5 g이었고, 용매분획별로는 water 분획물이 8.9 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chloroform 분획물이 1.6 g이었고, 나머지 용매 분획물은 $0.7{\sim}1.1g$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3. 고구마 끝순에는 6종의 페놀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그 중 chlorogenic acid와 caffeic acid의 함량이 총페놀 함량의 $89{\sim}9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용매분획별 페놀화합물 함량은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4. Listeria monocytogenes에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 추출물을 첨가한 결과 16시간까지는 3 log 이상 균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20 mg/ml butanol 추출물은 균의 성장을 억제시키다 12시간 이후에는 완전히 균을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도 고구마 끝순 추출물은 $0.5{\sim}1$ log 정도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5. 고구마 끝숱 추출물의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에 대한 돌연변이 활성을 조사한 결과 TA98은 $29{\sim}33$ CFU/plate이었고, TA100은 $159{\sim}188$ CFU/plate로 돌연변이 활성이 없었다. 6. 직접 돌연변이원 물질인 2-NF와 MMS를 처리하여 복귀돌연변이수를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및 buthyl alcohol에서 돌연변이로 인한 복귀변이원성 집락수가 낮게 나타남으로써 고구마 끝순 추출물이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weetpotato shoot tops (leaves, tips and petioles) are known to be very useful parts as vegetables because of their high nutritive values and great biomass yield. In this study,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s, antibacterial activity, mutagenic activity, and antimutagenic activity were investigat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구마 끝순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하여, 끝순 추출물의 페놀화합물 함량, 식중독균인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항균 활성, 그리고 식품안전성과 관련된 돌연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urea, M. A, B. Fatima, and J. Colette. 1997. Nutritional quality of sweet potato greens from greenhouse plants. J. Food Compo. Analy. 10 : 246-253 

  2. Ames, B. N. and D. M. Maro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 173-215 

  3. Ames, B. N., J. McCann, and E. Yamasaki. 1975. Methods for detecting carcinogens and mutagens with salmonella/mammalian microsome mutagenicity test. Mutat. Res. 31 : 347-364 

  4. FDA. 1995.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8 

  5. Hagerman, A. E., K. M. Riedl, G. A. Jones, K. N. Sovik, N. T. Richard, P. W. Hartzfeld, and T. L. Riechel. 1998. High molecular weight plant polyphenolics (tannins) as biological antioxidants. J. Agric. Food Chem. 46 : 1887-1892 

  6. Ha, M. H., W. P. Park, S. C. Lee, H. J. Heo, and S. H. Cho. 2007. Antimicrobial characteristic of methanolic extranolic extracts from prunus mune byproducts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Preserv. 14(2) : 183-187 

  7. Islam, M. S., M. Yoshimoto, Y. Shoji, O. Shigenori, K. Ishiguro, and O. Yamakawa. 2002.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oliar polyphenolic composition in sweetpotato (Impomea balalas L.) genotypes. J. Agric. Food Chem. 50 : 3718-3722 

  8. Jung, D. S. and N. H. Lee.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leaf and stem) extrac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 Korean medicinal herb.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5(1) : 30-35 

  9. Kaul, A. and K. L. Khanduja. 1998. Polyphenols inhibit promotional phase of tumorigenesis: relevance of superoxide radicals. Nutr. Cancer. 32 : 81-85 

  10. Kim, Y. K. and Y. K. Kim. 1977. Free Redical Biology. Yeomungak. Seoul. pp. 359-363 

  11. Kim, M. K., Y. S. Kim, S. I. Heo, T. H. Shin, J. H. Sa, and M. H. Wang. 2006.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effect, antimicrobial activity in acanthopanax senticosus harms. Korean J. Pharmacogn. 37(3) : 151-156 

  12. Lee, J. S., H. S. Kim, Y. S. Ahn, M. N. Chung, and J. M. Kim. 2004. Studied on Sweetpotato tips Cultivation Methods. Annual report. NICS. RDA 

  13. Robard, K., P. D. Prernzler, G. Tucker, P. Swatsitang, and W. Glover. 1999.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role in oxidative processes in fruits. Food Chem. 66 : 401-436 

  14. Woolfe, J. A. 1992. Sweet potato. Cambridage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92-93 

  15. Yoshimoto, M., Y. Shoji, O. Shigenori, M. S. Islam, K. Ishiguro, and O. Yamakawa. 2002. Antimutagenicity of mono-, di- and tr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isolated from sweetpotato (Impomea balalas L.) leaf. Biosci. Biotechnol. Biochem. 66(11) : 2336-23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