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마 끝순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es of Extracts of Sweetpotato Tip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2 no.2, 2007년, pp.228 - 238  

이준설 (작물과학원 목포시험장) ,  박양균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산업기술센터) ,  안영섭 (작물과학원) ,  김학신 (호남농업연구소) ,  정미남 (농촌진흥청) ,  정병춘 (작물과학원 목포시험장) ,  방진기 (작물과학원 목포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구마의 이용성을 증대하고, 고구마 끝순의 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해 페놀화합물의 함량, 지질산화 억제 효과,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ACE저해활성 등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구마에 함유된 phenolics는 gallic, chlorogenic, gentisic, caffeic, couramic, ferulic acid 등 6종이었고, 이중 간독성 회복 및 항산화 효능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chlorogenic acid, gentisic acid, caff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부위별로는 괴근에 비하여 잎과 끝순의 함량이 높았고, 고구마 끝순이 콩나물이나 들깨잎, 시금치보다 $16{\sim}122$배 높은 함량이었다. 용매분획별로는 총 함량 175.8 mg/g 중에서 EtOAc층에 55%, BuOH층에 39%가 함유되었다. 2. Rancimat를 이용하여 산패 유도기간을 조사한 결과,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력은 옥배유, 팜유 및 돈지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토코페롤이나 BHT보다 높았고, 용매분획별로는 EtOAc>BHT>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았다. 3. 과산화물가에의한 항산화 활성은, 각 추출물별로는 끝순, 괴근, 토코페롤이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낮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고, 이중 끝순은 토코페롤보다 더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냈다. 고구마 끝순의 용매분획별 항산화활성은 대두유와 옥배유 및 팜유에서 BuOH와 water층의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4. 전자공여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고구마 끝순의 항산화 활성은 78.2%로 괴근 42.3%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들깨잎, 시금치, 콩나물은 $28.9{\sim}18.0%$로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구마 끝순에 다량 함유된 페놀화합물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BuOH>Tocopherol>Water>$CHCl_3$>Hexane층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5. 아질산염소거능은 끝순, 들깨잎, 콩나물이 우수하였고 그중 들깨잎이 저해율 72%로 가장 높았으며, 용매분획 중에는 BuOH과 water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6. ACE 저해 효과는 고구마 부위별로는 끝순이 괴근에 비하여 1.5배 높았고, 들깨잎, 콩나물, 시금치보다 $1.9{\sim}3.7$배 높았다. 용매분획별로는 EtOAc, BuOH, water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7.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고구마 끝순에는 페놀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아질산염소거능 및 ACE저해활성과 같은 생리적 효과도 높아 기능성 채소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crease sweetpotato utilization and to determine the vegetative value of sweetpotato tips by investigating the phenolic compounds, antioxidative effect in oil,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 scavenging effect and ACE inhibition activities. The phenolic compounds p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구마의 이용성을 증대하고, 고구마 끝순의채소적 가치를 구명키 위해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지질산화억제 효과,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ACE 저해활성 등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hn, S. I., J. H. Bok, and J. Y. Son. 2007.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 : 19-24 

  2. AOA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2(16). Arlington, VA, USA 

  3. Bang, M. H., J. C. Song, S. L. Kim, H. S. Hur, and N. I. Baek. 2001.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rom the root of Zingiber officinale R.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3) : 202-205 

  4. Brand, W., M. E . Cuvelier, and C. Berset.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 Wiss. Technol. 28 : 25-30 

  5. Chae, S. K, S. H. Kim, D. H. Shin, H. G. Oh, S. J. Lee, M. H. Jang, and U. Choi. 2000. Food Chemistry. Hyoil. Seoul. pp. 557-560 

  6. Choi, U., D. H. Shin, Y. S. Chang, and J. I. Shin. 1992.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hus javanica Linne on edible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24(4) : 320-325 

  7. Cushman, D. W., H. S. Cheung, E. F. Sabo, and M. A. Ondetti. 1997. Design of potent competitive inhibitor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carboxyalkanoyl and mercapoalkanoyl amino acids. Biochem. 16 : 54-84 

  8. Han, S. H., W. Nariyah, S. D. Lee, and M. H. Kang. 2006. Antioxidait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ndemic plants extracts in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1) : 49-55 

  9. Han, J. T., S. Y. Lee, K. N. Kim, and N. I. Baek, 2001. Rutin, antioxidant compound isolated from the fruit of Prunus mem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1) : 35-37 

  10. Heo, J. C., J. Y. Park, S. M. An, J. M. Lee, C. H. Yun, H. M. Shin, T. K. Kwon, and S. H. Lee. 2006. Anti-oxidan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Preserv. 13(1) : 83-87 

  11. Hertog, M. G. L., E. J. M. Feskens, and D. Kromhout. 1997. Antioxidant flavonol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Lancet. 349 : 699 

  12. Hwang, E. J., S. Y. Lee, S. J. Kwon, M. H. Park, and H. O. Boo. 2006.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ch extract in germinated seed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1) : 1-7 

  13. John Shj, G. Mazza, and M. L. Maguer. 2002. Functional foods. Crc Press. USA 

  14. Kang, W. S., J. H. Kim, E. J. Park, and K. R. Yoon. 1998 Antioxidative property of turmeric (Curcumae rhizoma)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2) : 266-271 

  15. Kang, Y. H., Y. K. Park, and G. D. Lee.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 : 232-239 

  16. Kato, H., I. E. Lee, N. V. Chuyen, S. B. Kim, and F. Hayase.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 1333-1338 

  17. Kim, J. S., G. D. Lee, J. H. Kwon, and H. S. Yoon. 1993.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ether extract in crataegus pinnatifida bunge and terminalia chebula retz. Korean J. Agric. Chem. Soc. 36(3) : 203-207 

  18. Kim, K. B., K. H. Yoo, H. Y. Park, and J. M. Jeong. 2006.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Korean J. Soc. 49(4) : 328-333 

  19. Kim, U. S., E. M. Choi, and S. J. Koo. 2002. Effects of the addition of vegetables on oxidized frying oi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 : 557-561 

  20. Kim, Y. S., C. H. Rhee, and H. D. Park. 200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um from Korean soy paste Doenjang producing inhibi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1) : 84-88 

  21. Kumar A., P. pant, S. Basu, G. R. K. Rao, and H. D. Khanna. 2006. Oxidative stress in neonatal hyperbilirubinemia. Journal of Tropical Pediatrics. 53(2) : 95-102 

  2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DI). 1999. Provisions of functional foods for their effective management Korean. p. 113 

  23. Kwon, E. K., Y. E. Kim, C. H. Lee, and H. Y. Kim. 2006. Screening of nine herbs with biological activities on ACE inhibition,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nd fibrin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5) : 691-698 

  24. Lee, F. Z., K. H. Park, and J. B. Eun. 2004. Antioxidative effect of bamboo smoke distillates in palm oil and lard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6) : 905-910 

  25. Lee, S. J., M. J. Chung, J. H. Shin, and N. J. Sung. 2000. Effect natural plant components on the nitrite-scavenging. Korean J. Fd Hyg. Safety. 15(2) : 88-94 

  26. Lee, Y. J. and J. P. Han. 2000.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of extracts from Ulmus devidiana. Korean J. Soc. Food Sci. 29(5) : 893-899 

  27. Ma, S. J. 2000. Inhibitory effect of onion seasoning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Korean J Soc. Food Sci. 29(3) : 395-400 

  28. Maeng, Y. S. and H. K. Park. 1991.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odok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 : 311-316 

  29. Islam, M. S., Y. Makoto, T. Norihiko, and Y. Osamu. 2002. Anthocyanin compositions in sweetpotato (impomoea batatas L.) leaves. Biosci. Biotechnol. Biochem. 66(11) : 2483-2486 

  30. Woo, N. R. Y., M. S. Ahn, and K. Y. Lee. 1995. Antioxidative effect of aloe (aloe arborescences) extracts on linoleic acid and soybean oil. Korean J. Food Sci. 11(5) : 536-541 

  31. Oh, S. H., Y. W. Kim, and M. A. Kim. 2005.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ree solvent (ether, butanol, water) extrats from chestnut inner shell in soybean oil. Korean J. Food Culture. 20(6) : 703-708 

  32. Park, D. C., J. H. Park, Y. S. Gu, J. H. Han, D. S. Byun, E. M. Kim, Y. M. Kim, and S. B. Kim. 2000. Effects salted-fermented fish products and their alternatives on nitrite scavenging activity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4) : 942-948 

  33. Park, S. W., C. J. Woo, S. K. Chung, and K. T. Chung. 1994.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 from Humulus japonic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4) : 464-470 

  34. Rhi, J. W. and H.S. Shin. 199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tioxidant fractions extracted from freeze-dried coffee by various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1) : 109-116 

  35. Ryu, I. W. and Y. S. Shin. 1997. Inhibition effect of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kinetics of aloe ace-thylmann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6) : 1269-1274 

  36. Sohn, S. M. 1996. Nitrate and overuse of organic fertillzer. Organic Agriculture Copenhagen. Ifoam Sci. Conference. 11 : 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